과속방지턱규격
페이지 정보
본문
턱! 턱! 걸리는 과속방지턱…불량, 서울만 7800개 / YTN
[앵커]
운전자라면 도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과속방지턱.
그런데 서울 내에 설치된 과속방지턱 중 규격에 맞지 않게 설치된 과속방지턱만 무려7천8백여 개라고 합니다.
한동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닿을까 말까 아슬아슬, 과속방지턱 앞에선 한없이 작아지는 슈퍼 카!
이런 도로 위 굴곡을 극복하기 위해 특수 장치까지 개발되기도 하는데요.
보행자한텐 참 좋은데 운전자에겐 골칫거리인 요놈! 우리 주변의 과속방지턱은 어떨까요?
서울시 내 골목길을 찾아가 봤습니다.
차량이 쿵! 또 쿵! 쿵쿵쿵! 충격이 꽤 커 보이는데요.
높이를 재봤더니 어휴~ 무려 13cm! 규정 높이의 130%나 되네요.
도색도 엉망이고 중간중간 푹 파인 데다, 미리 방지턱을 알려주는 표지판이나 도로 문구조차 전혀 없습니다.
다른 곳을 한 번 가볼까요?
제가 지금 차를 타고 달리고 있는 곳은 서울의 한 학교 근처 골목길입니다.
어이쿠! 방금 제가 탄 차가 과속방지턱을 지났는데요.
차에서 내려서 자세히 살펴볼까요?
한눈에 딱 봐도 꽤 높아 보이는데요.
줄자로 확인해보겠습니다.
높이가 무려 15cm입니다.
국토부 지침에 따르면, 높이는 10cm를 넘으면 안 됩니다.
이렇게 비교해보니 확실히 차이가 나죠?
옆으로 가볼까요.
과속방지턱 역할을 하는 횡단 보도가 있는데요.
높이가 무려 20cm가 넘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과속방지턱에서 최소 30m 앞에는 안내표지판을 세우거나 경고 문구를 도로에 칠해야 하는데요.
보시는 것처럼 안내표지판은 전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규정에 어긋나는 부분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이쪽으로 따라오시죠.
국토부 지침에는 방지턱을 연속으로 설치하려면 최소 20m 간격을 둬야 한다고 돼 있는데요.
이 방지턱 사이 거리는 12m에 불과합니다.
하늘에서 한 번 바라볼까요.
250m 길이의 골목길에 방지턱만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무려 9개나 됩니다.
밤에는 상황이 더 심각합니다.
도색이 벗겨진 방지턱이 태반이고 안내 표지판은 거의 없다시피 하기 때문입니다.
서울시 내 도로에 설치된 과속방지턱은 모두 3만 천여 개!
이 가운데 24%인 7천8백여 개가 규격에 맞지 않았습니다.
경기도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라서, 부적합 과속방...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3_20151205155146126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전 세계에 있다는 과속방지턱인데, 유독 우리나라만 불편하게 느껴졌던 결정적인 이유
국내 과속방지턱이 유독 불편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었던 이유
네이버포스트 채널 구독하기▶http://naver.me/5ZTyUqkw
시승견적 사이트 바로가기▶http://kccautomktr.co.kr/trial_ride
주행하다 보면 과속방지턱이 너무 높아 불편할 때가 있다. 왜 어느 지역의 과속방지턱은 편안하고 어느 지역의 과속방지턱은 불편하게 느껴지는 걸까?
높은 과속방지턱을 넘다 보면 차량이 덜컹거려 승차감도 떨어지고 차도 상할까 걱정이 될 수밖에 없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과속방지턱 실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한국과 스웨덴의 과속방지턱 비교!!
우리나라 과속방지턱 중 무려 62%가 규격과 다르다??!!!
모양과 크기가 제각각인 과속방지턱 때문에
사고의 발생률이 오히려 증가!!
특히, 저상버스 등 차체가 낮은 차량일수록 위험한데요
일반 과속방지턱에 비해 비규격 과속방지턱은
차체에 그 충격이 5배에 달한다는 사실..!
규격과 맞지 않는 과속방지턱은
운전자와 차량을 모두 위험하게 합니다.
그렇다면 유럽의 과속방지턱은 어떤 모습일까요?
스웨덴의 한 학교 앞에서는
차량의 속도를 줄이게 하는
특별한 장치를 볼 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것은 바로 "액티범프(Actibump)"
2016년 스웨덴이 개발한 '내려가는 과속방지턱'으로
과속한 차량의 우전자에게 충격을 주는 장치 입니다.
운전자가 주행 중 속도를 높이면,
방지턱을 내려가게 해서 속도를 낮추는 원리인데요!
실제로 과속차량은 크게 줄었으며
시민들의 만족도도 굉장히 높다고 합니다.
교통사고 0%를 목표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스웨덴
이러한 많은 노력들이 모여
안전한 나라를 만듭니다.
#과속방지턱 #액티범프 #교통안전
[앵커]
운전자라면 도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과속방지턱.
그런데 서울 내에 설치된 과속방지턱 중 규격에 맞지 않게 설치된 과속방지턱만 무려7천8백여 개라고 합니다.
한동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닿을까 말까 아슬아슬, 과속방지턱 앞에선 한없이 작아지는 슈퍼 카!
이런 도로 위 굴곡을 극복하기 위해 특수 장치까지 개발되기도 하는데요.
보행자한텐 참 좋은데 운전자에겐 골칫거리인 요놈! 우리 주변의 과속방지턱은 어떨까요?
서울시 내 골목길을 찾아가 봤습니다.
차량이 쿵! 또 쿵! 쿵쿵쿵! 충격이 꽤 커 보이는데요.
높이를 재봤더니 어휴~ 무려 13cm! 규정 높이의 130%나 되네요.
도색도 엉망이고 중간중간 푹 파인 데다, 미리 방지턱을 알려주는 표지판이나 도로 문구조차 전혀 없습니다.
다른 곳을 한 번 가볼까요?
제가 지금 차를 타고 달리고 있는 곳은 서울의 한 학교 근처 골목길입니다.
어이쿠! 방금 제가 탄 차가 과속방지턱을 지났는데요.
차에서 내려서 자세히 살펴볼까요?
한눈에 딱 봐도 꽤 높아 보이는데요.
줄자로 확인해보겠습니다.
높이가 무려 15cm입니다.
국토부 지침에 따르면, 높이는 10cm를 넘으면 안 됩니다.
이렇게 비교해보니 확실히 차이가 나죠?
옆으로 가볼까요.
과속방지턱 역할을 하는 횡단 보도가 있는데요.
높이가 무려 20cm가 넘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과속방지턱에서 최소 30m 앞에는 안내표지판을 세우거나 경고 문구를 도로에 칠해야 하는데요.
보시는 것처럼 안내표지판은 전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규정에 어긋나는 부분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이쪽으로 따라오시죠.
국토부 지침에는 방지턱을 연속으로 설치하려면 최소 20m 간격을 둬야 한다고 돼 있는데요.
이 방지턱 사이 거리는 12m에 불과합니다.
하늘에서 한 번 바라볼까요.
250m 길이의 골목길에 방지턱만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무려 9개나 됩니다.
밤에는 상황이 더 심각합니다.
도색이 벗겨진 방지턱이 태반이고 안내 표지판은 거의 없다시피 하기 때문입니다.
서울시 내 도로에 설치된 과속방지턱은 모두 3만 천여 개!
이 가운데 24%인 7천8백여 개가 규격에 맞지 않았습니다.
경기도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라서, 부적합 과속방...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3_20151205155146126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전 세계에 있다는 과속방지턱인데, 유독 우리나라만 불편하게 느껴졌던 결정적인 이유
국내 과속방지턱이 유독 불편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었던 이유
네이버포스트 채널 구독하기▶http://naver.me/5ZTyUqkw
시승견적 사이트 바로가기▶http://kccautomktr.co.kr/trial_ride
주행하다 보면 과속방지턱이 너무 높아 불편할 때가 있다. 왜 어느 지역의 과속방지턱은 편안하고 어느 지역의 과속방지턱은 불편하게 느껴지는 걸까?
높은 과속방지턱을 넘다 보면 차량이 덜컹거려 승차감도 떨어지고 차도 상할까 걱정이 될 수밖에 없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과속방지턱 실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한국과 스웨덴의 과속방지턱 비교!!
우리나라 과속방지턱 중 무려 62%가 규격과 다르다??!!!
모양과 크기가 제각각인 과속방지턱 때문에
사고의 발생률이 오히려 증가!!
특히, 저상버스 등 차체가 낮은 차량일수록 위험한데요
일반 과속방지턱에 비해 비규격 과속방지턱은
차체에 그 충격이 5배에 달한다는 사실..!
규격과 맞지 않는 과속방지턱은
운전자와 차량을 모두 위험하게 합니다.
그렇다면 유럽의 과속방지턱은 어떤 모습일까요?
스웨덴의 한 학교 앞에서는
차량의 속도를 줄이게 하는
특별한 장치를 볼 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것은 바로 "액티범프(Actibump)"
2016년 스웨덴이 개발한 '내려가는 과속방지턱'으로
과속한 차량의 우전자에게 충격을 주는 장치 입니다.
운전자가 주행 중 속도를 높이면,
방지턱을 내려가게 해서 속도를 낮추는 원리인데요!
실제로 과속차량은 크게 줄었으며
시민들의 만족도도 굉장히 높다고 합니다.
교통사고 0%를 목표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스웨덴
이러한 많은 노력들이 모여
안전한 나라를 만듭니다.
#과속방지턱 #액티범프 #교통안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