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설치방법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서유리 조회 10회 작성일 2022-02-07 18:58:28 댓글 0

본문

케이블 트레이. 강남 래미안 포레스트 케이블트레이 설치

개포시영아파트 재건축 아파트 케이블트레이 설치
리야쿠 : 이야 ㅎㅎ 진짜 일 멋지게 하시네요. 잘 봤습니다.
마인크래프트 : 와 수고하셨습니다 전문가들이네요
곽현진 : 안녕하세요~ 영상 잘 봤습니다!
혹시 제품명 좀 알 수 있을까요??
사신 : 전기 포설 빼고 그렇게 많이 힘든건 없나요
김창희 : 에어리프트 어디서구매하신겁니까??궁금합니다

1편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_개요

#케이블트레이#CableTray #Ladder Tray

◆ 1편 -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_Ladder Type)_개요

케이블트레이(cable tray)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금속재나 불에 잘 타지 않는 불연성 재질을 이용해 제작된 유닛 또는
유닛의 집합체 및 그에 부속하는 부속재로 구성된 견고한 구조물을 말함.
(김기사의 e-쉬운 전기-성안당)

◎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통풍이 원활하고, 단가도 저렴하며, 설치, 증설, 보수 및 유지가 간편.
양쪽의 사이드레일(side rail)과 렁(rung_가로장)을 용접으로 결합.
rung 사이의 간격은 300mm.

◎ 호칭: (너비_width), (길이_length), (높이_height) mm

w100 100 3,000 100
w150 150 3,000 100
w200 200 3,000 100
w300 300 3,000 100
w400 400 3,000 100
w450 450 3,000 100
w500 500 3,000 100
w600 600 3,000 100


건물 안에 케이블이 여러 가닥으로 지나갈 때는 사다리같이 생긴
케이블트레이를 천장이나 벽에 시공하여 지나가게 한다.
보통 강철, 알루미늄합금제 등으로 제작되며 높은 강도와 낮은 비용이
가장 큰 장점이다. 또한 케이블의 추가 증설이나 고장 시 수리가 간편하다.
더욱이 오픈되어 있어서 케이블이 쉽게 발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감전 및 화재사고가 발생할 때 큰 사고로 확산될 수 있다.


아파트, 큰 건물 등에는 여러 가닥의 케이블이 있는데 이러한 케이블을
모두 벽 속에 매립시키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찾아내기 어렵고
추가로 증설할 때도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건축물에 케이블을
쉽게 포설할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유지 관리하고 증설을 쉽게 하기 위해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한다.


※케이블 트레이의 종류

1. 사다리형(ladder type): 사다리 형태로 통풍이 원활하고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

2. 펀칭형(바닥통풍형_perforated type): 사다리형보다 케이블을 잘 보호하고
밀폐형 보다는 통풍에 강점.

3. 바닥밀폐형(solid bottom type):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시켜
주는 장점이 있으나 통풍이 원활하지 않다는 단점도 있다.

4. 메시형(mesh type): 저렴하고 가벼워 설치가 용이하나 무거운 케이블
고정시 변형될 수 있음.

◎ 재질: 용융 아연도금 강판 및 강대

◎ 케이블 트레이 및 부속 (Cable Tray \u0026 Fittings)
※ 300width 기준

1. 케이블트레이 몸체 (Cable Tray Body) : #C01
사이드레일(Side Rail)과 렁(Rung)으로 된 사다리형.
렁과 렁 사이의 거리는 300mm. 길이는 3M이며 넓이는 다양.
높이는 100mm 또는 150mm, 200mm. 용융아연도금처리

2. 수평 엘보 (Horizontal Elbow) : #C02
수평으로 90도 구부러진 부분 연결에 사용. (설치 환경에 따라 60도, 45도, 30도 제품 사용)
용융아연도금 처리

3. 수직 엘보 (Vertical Elbow) : #C03
수평에서 수직으로, 수직에서 수평으로의 접속에 사용. 용융아연도금 처리
- In Side Type: 가로대(Rung)가 사이드레일의 밑바닥 쪽에 붙어 있는 것을
기준으로 안쪽으로 노말진 것.
- Out Side Type; 받침대가 밑에 있고 노말이 바깥쪽으로 잡힌 것.
(설치 환경에 따라 60도, 45도, 30도 제품 사용)

4. 수평 티 (Horizontal Tee) : #C04
수평 상태에서 3군데 방향으로 갈라질 때 사용.

5. 수평 크로스 (Horizontal Cross) : #C05
수평상태에서 4군데 방향으로 갈라질 때 사용.

6. 수직 티 (Vertical Tee) : #C06
수평에서 수직으로 꺾이는 부분에 사용
아래에서 위로(입상) 또는 위에서 아래로(입하) 3방향으로 분기시 사용.
ㅗ(up), ㅜ(down), ㅏ(side)

7. 수직 크로스 (Vertical Cross) : #C07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4군데로 갈라질 때 사용.

8. 레듀셔 S (Straight Reducer) : #C08
폭이 서로 다른 트레이 2개를 연결시 직선방향으로 줄어드는 구간에 사용.

9. 레듀셔 L (Left Hand Reducer): #C09
폭이 서로 다른 트레이 2개를 연결시 왼쪽으로 줄어드는 구간에 사용.

10. 레듀셔 R (Right Hand Reducer) : #C10
폭이 서로 다른 트레이 2개를 연결시 오른쪽으로 줄어드는 구간에 사용.

11. 분리대 (Seperator) : #C11
전선(cable)포설시 칸막이(Divider Strip) 역할을 하며
전력선과 통신선 등을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

12. 분리대 크램프 (Seperator Clamp) : #C12
케이블트레이 rung에 설치되어 격벽을 고정.

13. 수평 엘보 분리대 ( Horizontal Elbow Seperator) : #C13
수평 엘보 부분에 설치되어 분리대 역할.

14. 수직 엘보 분리대 ( Vertical Elbow Seperator) : #C14
수직 엘보 부분에 설치되어 분리대 역할.
- In Side - Out Side

15. 홀드 다운 크램프(Hold Down Clamp) : #C15
스프링너트 일체형.
케이블트레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C찬넬에 고정시킬 때
케이블 트레이 안쪽에 사용. 보통, 벽에 고정시킨 C 찬넬에
크램프를 이용해 트레이를 고정.
홀드 다운 크램프, 볼트, 스프링너트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편리.

16. 조인트 콘넥터 (Joint Connector) : #C16 트레이끼리 연결할 때 이음매 역할.

17. 수평 콘넥터 (Horizontal Connector) : #C17 경첩역할

18. 수직 콘넥터 (Riser Connector) : #C18 상하방향 연결시

19. 높이 조정 콘넥터 (Step Down Connecor) : #C19 높이가 다른 몸체 상호 연결

20. 레듀싱 콘넥터 S (Reducing Connector Straight Type) : #C20

21. 레듀싱 콘넥터 O (Reducing Connector Offset Type) : #C21
폭이 다른 케이블트레이를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줄어드는 형태로 연결시 사용.

22. 박스 콘넥터 (Box Connector) : #C22
분전함이나 정보, 통신용판넬 상부에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할 때 사용.

23. 엔드 캡 (End Cap) : #C23
케이블트레이 말단의 마감에 사용.

24. 근각 볼트 \u0026 플랜지 너트(Shank Bolt \u0026 Flange Nut) : #C24

25. 접지 본딩 점퍼(Ground Bonding Jumper) : #C25
14sq, 250mm / 22sq, 250mm / 38sq, 250mm
3종류가 있으며 편조선 양끝에 구리단자(Terminal Lug)가 결합된 형태.

26. 케이블트레이 몸체 커버 (Solid Cover Straight) :
길이는 몸체와 같이 3M 이며
케이블 보호를 위해 덮개가 필요한 경우 사용.
GI 및 용융도금 재질이 있으며
몸체와 커버는 높이에 맞는 Cover Clamp(100, 150, 200mm)로
고정한다.

27. 케이블트레이 행거 (Cable Tray Hanger) :
전산볼트 설치를 고려하여
케이블트레이 폭보다 100mm가 넓은 것을 사용하고,
밑면 좌우측에 장공이 있으며 사각와셔 및 플랜지너트로 고정.
전산볼트 하단 마감에는 전산볼트 캡을 끼워주고,
행거의 좌우 끝은 찬넬캡으로 막아준다.

28. 케이블트레이 싱글 브라켓 (Cable Tray Single Bracket) :
벽면과 나란히 케이블트레이 설치시
까치발과 같은 형태로 몸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C/T의 폭보다 50mm 넓은 것을 사용한다.
또한, 홀드 다운 크램프를 이용하여 몸체와 싱글 브라켓을 고정한다.



◎ BGM

1. 잔잔히 깨어나는 봄 - www.mewpot.com

2. BGM
Track - DayFox\u0026VladGluschenko - Waterfalls
Soundcloud - https://soundcloud.com/dayfox
나눔뮤직 - https://tv.naver.com/v/14484570

3. Song: Ikson - Cloudy
Music promoted by Vlog No Copyright Music.
Video Link:

이현구 : 영상들을 볼때마다 자세한 설명과 더블어
명칭및 부속 결합등을 볼수 있어 좋아요
지금은일쩜오 : 트레이와 부속품의 이해가 쉬워요~
감사합니다
이현주 : 기존의 전기설비기술기준에 있는케이블트레이공사시 케이블 점유율, 단층배선, 고압게이블과 이격거리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KEC에는 없습니다.
케이블트레이공사는 무엇을 기준으로 해야 합니까?
대봉이엔지 : 안녕하세요 대봉입니다.
우선 문의 하신 내용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구체적인 설비기준에 관한 사항은 아래 협회 쪽으로 문의해 주시면
정확한 답변을 들으실 수 있으리라 판단되어 안내 드리는 바 입니다.
- 대한전기협회 https://www.kea.kr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https://www.keea.or.kr
- 한국전기공사협회 https://www.keca.or.kr
감사합니다.

[핑크대디TV]극한직업 전기공사 트레이설치및포설_TRAY

#TRAY #electricworks #포설#전기공사#논산#통신공사#전기소방#유튜버 #전기공사 #댓글 #극한직업 #내셔널지오그래픽 #용접 #소통 #electric #electricworks #Korea #DISCOVERY

전기공사 문의:
e-mail:ojhlover3866@gmail.com
:akdxo9942@naver.com
계좌후원:211-031-562-417-36
농협 오 정현
매일이앤아이 : 케이블트레이 작업 쉽지않으실텐데 대단하십니다 ^^
정천 : 트레이 하시는거보니 조만간 포설 하시겠네 만능재주꾼 입니다 ^^
화이팅 입니다
유플러스 : 대디님 명절 인사도 못하고 늦은감은
있지만 명절 잘보네셨죠 ^^
요즘 마감이라서 정신이 없네요
언제 대전이나.논산에서 저녁식사 해요
날씨 가 쌀쌀해졌네요 몸챙기시고요
화이팅요 ~~
윤킴YoonKim : 크 케이블 정리 깔끔하네요 슨배님!ㅎㅎㅎ
이재석 : 싸부님 케이블트레이나 덕트45도나 90도 꺾거나 접는법 가공법도 알고싶습니다ㅜㅜ
반장님들한테 여쭤봐도 잘 이게 안됩니다 ㅜㅜ

... 

#트레이설치방법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853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