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정보시스템입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로스터리정 조회 12회 작성일 2022-02-28 15:08:14 댓글 0

본문

단, 20분에 끝내는 지리정보시스템 (GIS) 개념 총 정리!!

[Dr. CY의 Risk 강의 시리즈]
전문가가 알려드리는, 단, 20분에 끝내는 지리정보시스템 (GIS) 개념 총 정리!!

지리정보시스템, GIS를 막 접하기 시작한 분들이나, 현재 캐드 작업을 하고 계신 분들, 네비게이션 작업을 하시는 분들, 지리정보시스템 자체가 뭔지 오리무중이었던 분들에게, 22분에 단숨에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동영상 속도가 느리게 느끼시는 분은, 스피드 조절을 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장원석 : 공부가 막연하였는데 이렇게 짧은 시간ㅔ 전체 개념을 간단명료하게 설명하여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K Hana : 좋은 강의 만들어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GIS에 대해 자세히 공부하고 싶어 여러 책과 자료들을 찾아보던 중에 이 영상을 접해 답답했던 부분들이 많이 해결된듯 합니다. 추가적으로 혹시 이에 대해 잘 정리되어있는 GIS관련 기본서 중에 추천해주실만한 것이 있을지요. 감사합니다ㅠㅠ
Dr.CY- Risk College : 구독과 좋아요, 감사합니다.
GIS관련 책 소개를 원하는 분들이 계셔서 추가 설명을 드립니다.
우선,
1편에서 제 자신을 한국에서 통용되는 공간 분석가라고 표현했는데, 영어로는 GIS Analyst라고 쓰는 게 더 적절할 것 같습니다.
* 파일 크기를 1/5 이하로 줄이는 변환 작업을 했더니, 역시 화상이 많이 흐릿하네요. 시행 착오의 결과이니, 이해를 부탁합니다.

이하, 이미 댓글에 대댓글로 답을 한 내용과 같습니다. ‐ - - - - ‐ - - - -
GIS에 관한 책은 이미 많이 나와 있습니다만, 저는 영어로 시작을 해서 그런지 자연스럽게 영문서를 권해드리고 싶은데요,
만약 지금부터 시작이라면,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혹은 사용할 예정인 소프트웨어를 먼저 확인한 후에 책을 권하고 싶습니다.
GIS분석을 한다는 것은, 역시 hands on skill, 즉 GIS 소프트웨어를 다룰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인데, 이왕이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에 익숙해 지면서 개념을 터득해 갈 수 있다면, 아~주 조금 지름길을 택하게 되는 것일테니까요.
염두에 두셔야 할 것들은 많으나, 우선 자신의 전문 분야, 즉 무엇을 분석할 것인지를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가령 도시계획 분야가 전문인데 홍수 분석법에 집중한 책은 소용이 없을 것이고, 맨홀의 위치나 도로 정보, 점포 정보를 입력하는 일을 하는 분에게 기후 분석 방법은 도움이 안 될 것이며, 프로그래머나 통계 분석가에게 지구표면 변화를 추적하는 이미지 해석 (리모트센싱)을 하라고 할 수도 없으며, 금융 리스크를 분석하는 분에게 customized tool을 개발하라고 할 수도 없으니까요.

이 점을 참고하셔서 추천을 해 드리는 책을 둘러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1. "Introduction t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KANG-TSUNG CHANG (Author) (2007) (https://www.amazon.ca/Introduction-Geographic-Information-Systems-Kang-Tsung/dp/0070658986/ref=sr_1_54?dchild=1&keywords=introduction+to+geographic+information+system&qid=1607968258&sr=8-54)
이 책은, 좀 오래된 책이나 여러모로 정리가 잘 되어 있습니다. 각 챕터의 연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하면 좋겠지만,
그간에 소프트웨어의 진화가 있어서, 현재의 소프트웨어로 연습 문제를 풀려고 하면 혼돈이 올 수 있으므로, "어디까지나 개념 정리를 위한 책"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2. "Springer Handbook of Geographic Information", by Wolfgang Kresse (Editor), David M. Danko (Editor) (2012) (https://www.amazon.ca/Springer-Handbook-Geographic-Information-Wolfgang/dp/3540726780/ref=sr_1_23?dchild=1&keywords=Environment+or+GIS&qid=1607970471&s=books&sr=1-23)
Springer는 학술 논문과 전문 서적을 출판하는 회사로 정평이 나 있는 곳이죠. Springer라는 이름 자체가 브랜드이므로, 이 곳에 저자로서 글을 쓰는 사람들은 당시의 (2012년) 자신의 실력을 마음껏 뽑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내용을 확인하지 못한 책이지만, 개념 정리와 기술 습득을 위해서는 좋을 책이겠지만, 난이도가 높은 책일 수 있습니다.

3. "GIS for the Urban Environment", by Juliana Maantay (Author), John Ziegler (Author), John Pickles (Foreword) (2006) (https://www.amazon.ca/GIS-Urban-Environment-Juliana-Maantay/dp/1589480821/ref=sr_1_1?dchild=1&keywords=GIS+for+the+Urban+environment&qid=1607970917&s=books&sr=1-1)
도심 환경 분야의 GIS 활용을 알기 쉽게 정리한 책이라면 제가 좋아하는 책이 있습니다. 이 또한 오래된 책이므로 개념 정리를 위한 책으로 참고하시면 될 듯 합니다.

스킬을 익히기 위해서,
4. 만약에 ESRI사의 ArcGIS Desktop을 사용할 예정이라면, 아래의 책으로 시작을 하면 좋을 것입니다.
한국 ESRI를 둘러보면, 아래의 책들의 번역판이 나와 있을 것입니다.
2.1 "Getting to Know ArcGIS Desktop", Michael Law and Amy Collins (Author) (https://www.amazon.ca/Getting-Know-ArcGIS-10-3-10-3-1/dp/1589485106/ref=sr_1_13?dchild=1&keywords=introduction+to+geographic+information+system&qid=1607969173&sr=8-13)
2.2 "The Esri Guide to GIS Analysis", Volume 1 ~ Volume 3 (총 3권), Andy Mitchell (Author) (https://esripress.esri.com/display/index.cfm?fuseaction=display&websiteID=382&moduleID=0)

: Volume 1: Geographic Patterns and Relationships

Volume 2: Spatial Measurements and Statistics

Volume 3: Modeling Suitability, Movement, and Interaction

5. 오픈 소스형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신다면,
예를 들어서, QGIS를 사용할 예정이라면, 아예 인터넷상에서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는 매뉴얼 (Tutorial)를 보면서 따라하면서, 중간 중간에 모르는 관련 개념을 찾아다니면서 공부하면서 깨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5.1 QGIS Training Manual (https://docs.qgis.org/2.14/en/docs/training_manual/)
5.2 GRASS GIS tutorials (https://grass.osgeo.org/learn/tutorials/)

6. 데이터베이스 쪽에서 GIS분석을 하시려면,
"Pro Oracle Spatial for Oracle Database 11g", by Ravikanth Kothuri (Author), Albert Godfrind (Author), Euro Beinat (Author) (2007) (https://www.amazon.ca/Pro-Oracle-Spatial-Database-11g/dp/1590598997/ref=sr_1_1?dchild=1&keywords=Oracle+spatial&qid=1607971248&s=books&sr=1-1)
혹은,
"Applying and Extending Oracle Spatial", by Simon Greener (Author), Siva Ravada (Author) (2013) (https://www.amazon.ca/Applying-Extending-Oracle-Spatial-Greener/dp/184968636X/ref=sr_1_3?dchild=1&keywords=Oracle+spatial&qid=1607971338&s=books&sr=1-3)


물론 한국어로 출판된 책의 기본 개념 정리 내용도 이들과 다르지 않을 것입니다. 꾸준히 찾아다니면 본인에게 잘 맞는 책을 발견하는 기쁨을 맛보실 수도 있을 거라고 믿습니다.
다만, 분석 단계에 들어가면, 의외로 이끌어 줄 책이 없어서 많이 고생할 수도 있습니다.
저의 이 동영상은, GIS 개념 중 일부를 전체적인 개념인양 잘못 설명하고 있는 동영상도 많아서, GIS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자 제작되었으므로,
GI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며 그 안의 어떠한 분석 기능으로 분석/해석을 하려는 지, 관련 전문 지식의 습득 정도에 따라서 이 이후의 길이 갈리게 됩니다.
저의 답변이 참고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Philips Park :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세특에 시달리는 고3에게 너무나도 도움이 되었네요 ㅎㅎ
Jae Min Lee : GIS라는 또 다른 세상으로 인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지리 정보 시스템

설명
Spehs : 프사 무슨일이지
1302김동하 : ㅋㅋㅋㅋㅋㅋㅋㅋㄹㅃㅃ
1302김동하 : 쿠쿠루쿠쿠루 ㄹㅃㅃ

답답해서 내가 가르치는 ArcGIS -- Ep01 코로나 지도 --

오늘은 ArcGIS Pro를 이용해서 코로나 현황 지도를 만들어 보도록 할게요.
이번 강의에서 배우실 내용은
0:38 한국 행정구역 shp파일 구하기
1:18 엑셀로 코로나 데이터 준비하기
3:13 ArcGIS Pro에 shp파일 불러오기 (Import Shapefile)
5:14 좌표계 바꾸기 (Project)
8:07 ArcGIS Pro에 엑셀파일 불러오기 (Excel to Table)
11:24 데이터 합치기 (Data Join)
13:59 심볼 바꾸기 (Change Symbology)

다음 강의에서는 레이아웃을 이용해서 이번에 만든 지도로 보고서를 제작해볼게요.

생각보다 편집하고, 중간중간에 제 헛소리랑 실수를 지우는데 시간이 오래걸려서 정기적인 업로드나 이런거는 아직 확정하기가 어렵네요. 그래도 최대한 여러분이 원하는 내용을 버무려 보도록할게요.

현재 계획중인 주제들로는
-ArcGIS Pro 인터페이스 둘러보기
-데이터 다루기 기초 (Editing)
-데이터 다루기 중급 (GeoProcessing Tools)
-데이터 다루기 상급 (Python, Arcade)
-Symbology 좀 자세히 알아보기
-Analytics
-3D
-ML, DL
-Python연동
등등 대충 이정도 입니다.

질문과 댓글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
Som : 진짜 속성만 잘 골라서 설명해주셔서 너무 재밌네요ㅠㅠㅠ
안그래도 gis는 영어강의도 몇개 없는데 감사합니다 흑흑
절대 삭제하지 말아주세욜,,,,
JAY_K : 너무 감사합니다... 진짜 배울데가 없었는데 덕분에 시작할 수 있을 것같습니다. 정주행 시작합니다.
코꾸뇽 : 와 너무 잘알려주시는데요? 웬만한 강사보다 훨씬 잘하십니다!
배신영 : 이번에 gis 배울 예정인데 이런 금같은 강의가 있다니.. 감사합니다 ㅜㅜㅜ
솔깃 : 이런 값진 강의를 들을 수 있다니 너무 감사해요 진짜 도움 많이 됩니다 설명도 너무 잘하세요

... 

#지리정보시스템입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838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