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글로벌 어학원
페이지 정보
본문
바리스타 학원은 어떤 자격증들이 있을까?? 부산cnt바리스타학원 2부 !! #부산씨엔티바리스타학원 #바리스타자격증 #국내국제바리스타자격증
1부! 부산 cnt 바리스타학원
커피학원에서는 어떤걸 가르칠까??
국민내일배움카드란?
cnt바리스타학원의 장점은?
2부! 바리스타학원은 어떤 자격증들이 있을까?
국내 국제 자격증에 대해서 알아보자
2급자격증과 1급자격증의 다른점
바리스타로써 잘 할수 있는 팁
#0:08 학원에서 자격증의 종류는?
#1:57 2급바리스타 자격증과 1급 바리스타 자격증은 뭐가 다를까?
#5:07 바리스타로써 잘할수 있는 팁 !
#6:28 카페창업의 팁!
#8:59 또 다른 수업?
니힐커피 : 형 실장님 잘 봤어요~ ㅋㅋ ㅎ
권태로운 커피생활 : ㅋㅋㅋ 이거 아닙니다 다음주 올라오는거 봐봐요 ㅋㅋㅋㅋㅋㅋ
권태로운 커피생활 : 커피사망토론이라고 찍은게 있는게 그때 실장님 강점이 나옵니다 ㅎㅎ
니힐커피 : @권태로운 커피생활 아하!!! 알겠습니다~ ㅋㅋ
영어유치원 효과: 서른이 되어 올리는 후기
안녕하세요, 저는 만 4세 때 처음으로 영어유치원에 갔던 30세 직장인 에리카입니다.
*부모님의 업데이트에 따라 만 3세로 정정합니다. (만3세: 회화학원 오후반, 만4세: 종일반 전환)
요즘 영어유치원이나 그 효과에 대한 관심이 뜨겁더라구요!
저는 영어유치원을 제외하고는 제 인생을 논하기 힘들만큼, 그 영향을 정말 많이 받은 사람입니다. 제 경험담을 통해 아이들을 영어유치원에 보낼지 말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도움을 받으시기 바라며 영상을 제작해 보았습니다.
제가 영어유치원을 다닌 것은 90년대 중반이었구요, 지금 학원의 시스템이 많이 달라졌을 수는 있으나 저 때는 100% 미국식 교육을 받았고 선생님들은 미국 또는 캐나다 출신이셨습니다. 한 번은 뉴질랜드 선생님도 계셨었어요.
한 개인의 경험이나 후기인 점 참고 부탁드리며, 궁금하신 점은 편히 댓글로 남겨주세요 :)
Thanks for watching!
S : 6:15 영유의 최고 장점이죠
10:29 단점 시작
EH0601 : 전 지금 6살 아이 키우고 있고 저도 중학교때 북미로 유학가서 중,고,대학 10년넘게 있다왔지만 저는 아이들 영유는 안보낼 생각이에요..말씀하신 단점 tck가 생각보다 큰 문제라고 판단됐기 때문이에요..생각보다 나의 뿌리, 내 정체성은 중요한 문제에요. 북미에서 나고 자란 소위 한국인 2세들도 사춘기 심지어 성인이 되어서까지 미국인과 한국인의 사이에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꽤 혼란스러워 하는 모습을 많이 봐왔기 때문이에요. 저는 제 아이가 영어를 잘하는것보다 정서적으로 안정된 삶을 살게 하는게 더 중요하다 판단이 됐고 부모로서 아이가 영어를 즐겁게 배울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게 맞다고 생각해서 영유 보내지 않고 일반 유치원 보내고 있어요.. 이 영상을 보고 많은 분들이 아이의 원어민 수준의 효과를 기대하고 영유를 보내신다면 꼭 아이의 정체성의 관한 문제도 간과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넘나 유용한 영상 감사합니다! :)
Yumin Lee : 저도 정확히 똑같은 성장환경을 겪은 케이스인데 장점 단점 모두 100번 공감합니다. 특히 tck는 20살인 지금도 제가 여전히 매일 고민하고 생각하는 부분이에요. 물론 전 영어유치원을 보내주신 부모님께 정말 정말 너무 감사드려요. 모국어가 아닌 언어를 모국어처럼 자연스럽게 구사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게 정말 큰 경쟁력이거든요. 근데 저도 제 일기장을 돌아보면 항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정말 많았어요. 특히 13-15살 시기에 절정을 찍었던 것 같네요. 지금은 그냥 저를 제 자신 그대로 받아들이게 되었지만 영어유치원을 고민하고 계신 부모님이시라면 진지하게 한번쯤은 생각해보시면 좋은 문제일 것 같아요.
thinkplannjoy : 아이 키우는 사람도 아닌데 첨부터 끝까지 너무 흥미롭게 본 30대입니다. 정보공유 영상이면서 에리카님의 인생사가 담긴 것 같네요!☺️ 생각해보지 못한 부분을 생각해보게 해주네요. 감사합니다!
Yejin Lee : 저는 청소년기를 한인이 얼마 없는 지역에서 보냈는데, 제 3세계 이야기가 너무 공감되네요ㅠㅠ 좋은 영상 감사해요! :)
국내 국제학교, 2가지는 꼭 확인하세요!
#국제학교#제주국제학교#국제학교입학
해외로 나갈 수 있는 상황이 어려워진 요즘,
국내의 국제학교는 어떤지에 대한 문의가 많아요
국제학교의 선택부터 입학전형까지..
엄마가 고스란히 혼자 하려면? 쉽지 않죠
국제학교 알아볼 때,
꼭 체크해야하는 것이 2가지알려드려요
조기유학 \u0026 자녀교육 Advisor 홍혜진
11년차 조기유학 전문 상담 워킹맘
내 아이는 어떻게 교육할까? 고민중인 이안맘
조기유학 및 관련 교육정보 영상은 주1회
이안맘 일상 vlog는 수시로 업데이트 됩니다
구독, 알림설정 부탁드려용
김현정 : 캐나다를 대표하는 OSSD라는 학력 인증도 있어요~나중에 한번 다뤄 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TheMingj :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A level 과 ib 에서 교육과정이랑 방법이 어떻게 다른가요?
필두김 : sd*는 절대 가면 안됩니다.
교회와 학교 결합해놓고
목사가 거의 절대권력이고
이상해요
슈퍼디제이 : 제주에 있는 국제학교 보내는건 사실상 한국학생들 바글바글 모아놓고 영어사교육시키는거랑 똑같은거 아닌가요? 실질적으로 외국자녀들이 제주도가서 학교다니지는 않을것같고...이태원에 있는 찐 국제학교를 보내야하는데ㅠ
Jany Jeong Hyun Kuan : 안녕하세요! 지나가는 IB 학교 졸업생입니다. A-level 에 대해서는 좀 얄팍한 지식이 있지만 그래도 교육과정의 차이점에 대해 어느정도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답글 답니다!
둘의 공통점은 일반적으로 2년의 과정을 거친다는 것인데 대신 학년으로 치면 IB (정확히는 IB 디플로마) 는 11, 12학년 그리고 A 레벨은 12, 13학년으로 되어있다는 것입니다. 즉 A 레벨이 전체 교육과정에서 1년이 늦은 편이죠.
근데 늦은만큼 본인이 대학교에서 지원하고자 하는 전공을 어느정도는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할 수 있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합니다, 보통 그 전공 관련 3과목 정도를 하게 되니까요. (예를 들어서 이과 관련 전공을 결정한다면 과목들을 다 수학이나 과학계열로만 구성한다는 것)
그에 반해 IB 디플로마는 나름 다양한 (?) 6가지 계열 (1. 언어와 문학 과목 2.언어 취득 과목 3. 개인과 사회 과목 4. 실험 과학 과목 5. 수학과 컴퓨터과학 과목 5. 예술 과목) 에서 각 한과목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제가 당시 했었던건: 1. Korean A HL 2. English B HL 3. History SL 4. Physics SL 5. Math HL 6. Chemistry SL 이런식으로 문과이과 다 걸쳐져있어서 시작 전에 전공에 대한 확신이 없어도 시작할 수 있고 더 다양한 지식을 쌓알 수 있지 않았나하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현재 제가 국제학교 교사를 하고 있다보니 깊지 않은 지식이지만 조금 오지랖을 피게 되었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
1부! 부산 cnt 바리스타학원
커피학원에서는 어떤걸 가르칠까??
국민내일배움카드란?
cnt바리스타학원의 장점은?
2부! 바리스타학원은 어떤 자격증들이 있을까?
국내 국제 자격증에 대해서 알아보자
2급자격증과 1급자격증의 다른점
바리스타로써 잘 할수 있는 팁
#0:08 학원에서 자격증의 종류는?
#1:57 2급바리스타 자격증과 1급 바리스타 자격증은 뭐가 다를까?
#5:07 바리스타로써 잘할수 있는 팁 !
#6:28 카페창업의 팁!
#8:59 또 다른 수업?
니힐커피 : 형 실장님 잘 봤어요~ ㅋㅋ ㅎ
권태로운 커피생활 : ㅋㅋㅋ 이거 아닙니다 다음주 올라오는거 봐봐요 ㅋㅋㅋㅋㅋㅋ
권태로운 커피생활 : 커피사망토론이라고 찍은게 있는게 그때 실장님 강점이 나옵니다 ㅎㅎ
니힐커피 : @권태로운 커피생활 아하!!! 알겠습니다~ ㅋㅋ
영어유치원 효과: 서른이 되어 올리는 후기
안녕하세요, 저는 만 4세 때 처음으로 영어유치원에 갔던 30세 직장인 에리카입니다.
*부모님의 업데이트에 따라 만 3세로 정정합니다. (만3세: 회화학원 오후반, 만4세: 종일반 전환)
요즘 영어유치원이나 그 효과에 대한 관심이 뜨겁더라구요!
저는 영어유치원을 제외하고는 제 인생을 논하기 힘들만큼, 그 영향을 정말 많이 받은 사람입니다. 제 경험담을 통해 아이들을 영어유치원에 보낼지 말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도움을 받으시기 바라며 영상을 제작해 보았습니다.
제가 영어유치원을 다닌 것은 90년대 중반이었구요, 지금 학원의 시스템이 많이 달라졌을 수는 있으나 저 때는 100% 미국식 교육을 받았고 선생님들은 미국 또는 캐나다 출신이셨습니다. 한 번은 뉴질랜드 선생님도 계셨었어요.
한 개인의 경험이나 후기인 점 참고 부탁드리며, 궁금하신 점은 편히 댓글로 남겨주세요 :)
Thanks for watching!
S : 6:15 영유의 최고 장점이죠
10:29 단점 시작
EH0601 : 전 지금 6살 아이 키우고 있고 저도 중학교때 북미로 유학가서 중,고,대학 10년넘게 있다왔지만 저는 아이들 영유는 안보낼 생각이에요..말씀하신 단점 tck가 생각보다 큰 문제라고 판단됐기 때문이에요..생각보다 나의 뿌리, 내 정체성은 중요한 문제에요. 북미에서 나고 자란 소위 한국인 2세들도 사춘기 심지어 성인이 되어서까지 미국인과 한국인의 사이에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꽤 혼란스러워 하는 모습을 많이 봐왔기 때문이에요. 저는 제 아이가 영어를 잘하는것보다 정서적으로 안정된 삶을 살게 하는게 더 중요하다 판단이 됐고 부모로서 아이가 영어를 즐겁게 배울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게 맞다고 생각해서 영유 보내지 않고 일반 유치원 보내고 있어요.. 이 영상을 보고 많은 분들이 아이의 원어민 수준의 효과를 기대하고 영유를 보내신다면 꼭 아이의 정체성의 관한 문제도 간과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넘나 유용한 영상 감사합니다! :)
Yumin Lee : 저도 정확히 똑같은 성장환경을 겪은 케이스인데 장점 단점 모두 100번 공감합니다. 특히 tck는 20살인 지금도 제가 여전히 매일 고민하고 생각하는 부분이에요. 물론 전 영어유치원을 보내주신 부모님께 정말 정말 너무 감사드려요. 모국어가 아닌 언어를 모국어처럼 자연스럽게 구사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게 정말 큰 경쟁력이거든요. 근데 저도 제 일기장을 돌아보면 항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정말 많았어요. 특히 13-15살 시기에 절정을 찍었던 것 같네요. 지금은 그냥 저를 제 자신 그대로 받아들이게 되었지만 영어유치원을 고민하고 계신 부모님이시라면 진지하게 한번쯤은 생각해보시면 좋은 문제일 것 같아요.
thinkplannjoy : 아이 키우는 사람도 아닌데 첨부터 끝까지 너무 흥미롭게 본 30대입니다. 정보공유 영상이면서 에리카님의 인생사가 담긴 것 같네요!☺️ 생각해보지 못한 부분을 생각해보게 해주네요. 감사합니다!
Yejin Lee : 저는 청소년기를 한인이 얼마 없는 지역에서 보냈는데, 제 3세계 이야기가 너무 공감되네요ㅠㅠ 좋은 영상 감사해요! :)
국내 국제학교, 2가지는 꼭 확인하세요!
#국제학교#제주국제학교#국제학교입학
해외로 나갈 수 있는 상황이 어려워진 요즘,
국내의 국제학교는 어떤지에 대한 문의가 많아요
국제학교의 선택부터 입학전형까지..
엄마가 고스란히 혼자 하려면? 쉽지 않죠
국제학교 알아볼 때,
꼭 체크해야하는 것이 2가지알려드려요
조기유학 \u0026 자녀교육 Advisor 홍혜진
11년차 조기유학 전문 상담 워킹맘
내 아이는 어떻게 교육할까? 고민중인 이안맘
조기유학 및 관련 교육정보 영상은 주1회
이안맘 일상 vlog는 수시로 업데이트 됩니다
구독, 알림설정 부탁드려용
김현정 : 캐나다를 대표하는 OSSD라는 학력 인증도 있어요~나중에 한번 다뤄 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TheMingj :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A level 과 ib 에서 교육과정이랑 방법이 어떻게 다른가요?
필두김 : sd*는 절대 가면 안됩니다.
교회와 학교 결합해놓고
목사가 거의 절대권력이고
이상해요
슈퍼디제이 : 제주에 있는 국제학교 보내는건 사실상 한국학생들 바글바글 모아놓고 영어사교육시키는거랑 똑같은거 아닌가요? 실질적으로 외국자녀들이 제주도가서 학교다니지는 않을것같고...이태원에 있는 찐 국제학교를 보내야하는데ㅠ
Jany Jeong Hyun Kuan : 안녕하세요! 지나가는 IB 학교 졸업생입니다. A-level 에 대해서는 좀 얄팍한 지식이 있지만 그래도 교육과정의 차이점에 대해 어느정도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답글 답니다!
둘의 공통점은 일반적으로 2년의 과정을 거친다는 것인데 대신 학년으로 치면 IB (정확히는 IB 디플로마) 는 11, 12학년 그리고 A 레벨은 12, 13학년으로 되어있다는 것입니다. 즉 A 레벨이 전체 교육과정에서 1년이 늦은 편이죠.
근데 늦은만큼 본인이 대학교에서 지원하고자 하는 전공을 어느정도는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할 수 있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합니다, 보통 그 전공 관련 3과목 정도를 하게 되니까요. (예를 들어서 이과 관련 전공을 결정한다면 과목들을 다 수학이나 과학계열로만 구성한다는 것)
그에 반해 IB 디플로마는 나름 다양한 (?) 6가지 계열 (1. 언어와 문학 과목 2.언어 취득 과목 3. 개인과 사회 과목 4. 실험 과학 과목 5. 수학과 컴퓨터과학 과목 5. 예술 과목) 에서 각 한과목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제가 당시 했었던건: 1. Korean A HL 2. English B HL 3. History SL 4. Physics SL 5. Math HL 6. Chemistry SL 이런식으로 문과이과 다 걸쳐져있어서 시작 전에 전공에 대한 확신이 없어도 시작할 수 있고 더 다양한 지식을 쌓알 수 있지 않았나하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현재 제가 국제학교 교사를 하고 있다보니 깊지 않은 지식이지만 조금 오지랖을 피게 되었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