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틱장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에너자이저 조회 11회 작성일 2022-05-04 10:58:40 댓글 0

본문

틱장애 치료 전후에 부모님이 주의해야 할 3가지 사항

안녕하세요 아이두한의원 이승협원장입니다.
아이들의 틱장애 치료 시 부모님이 주의하셔야 할 부분을 설명드릴게요.

첫째는 스트레스를 무조건 제거하지 않는 것입니다.

틱장애를 처음 관찰할 때 부모님들이 쉽게 접하는 조언이
“아이들의 틱장애에 스트레스가 나빠, 스트레스는 무조건 피하게 해야 해”입니다.
새 학기나 훈육 등 스트레스 상황이 틱장애 증상을 실제로 쉽게 악화시키기 때문에 아이가 약간의 스트레스를 느끼는 상황도 민감하게 느끼십니다.
대개 이런 부모님들의 부모 양육태도 검사(PAT)를 수행해보면 성취 압력이 나이 기준에 비해 지나치게 낮게 나옵니다. 스트레스가 우려되어 더 어린 아이 수준으로 기준을 변경해버리는 경우입니다.

문제는 스트레스가 부모님에게만 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친구들과 선생님의 관계에서 오는 심리적인 압력에 쉽게 상처를 받습니다.
같은 상황에 낮은 자신감, 자존감의 아이가 스트레스를 잘 느끼는 것과 비슷합니다.

무조건적인 스트레스 제거는 아이에게 독이 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부모님이 아이의 틱장애 증상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멈추는 것입니다.

아이의 틱장애 증상은 특별한 이유 없이도 오르내리고, 증상이 변할 수 있습니다.
틱장애가 나타난 부위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고개를 젖히던 증상이 배를 꿀렁이는 증상이나 목을 가다듬는 음성틱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어제는 분명 손을 꼽을 수준이던 빈도가 쉴 새 없이 하는 날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변화에 부모님이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다 보면, 아이에게
“너의 틱은 부정적인 거야”
라는 신호를 주시는 겁니다. 부모님의 표정 변화나 목소리 톤을 통해 금방 알아차리게 되고, 가장 가까운 부모님 앞에서도 틱증상을 숨겨서 하거나 보여주지 않으려고 합니다.

틱증상을 보더라도, 부모님의 포커페이스를 유지해 주세요.
아이가 자신의 증상을 인식하고 있다면 차라리 틱증상 때문에 힘들지 않은지 물어보세요.

세 번째는 치료 후 틱장애 증상이 더 이상 관찰되지 않을 때 관리는 꾸준히 해야한다는 겁니다.

틱장애 증상은 지금은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심리, 운동부족, 영양불균형이 오랫동안 누적되면 다시 재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 나이일수록 틱증상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꾸준한 식단과 운동관리, 대화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배경음악 출처

BGM
✔Track - Spring Flowers - Emotional Piano
✔Soundcloud - https://soundcloud.com/keysofmoon
✔나눔뮤직 - https://tv.naver.com/v/10551973



#틱장애 #틱 #틱치료
데이지 : 구독하고 선생님 영상 계속 보고있는데 너무 많이 도움이 되고 너무 감사하단 말씀 드리고 싶어요.
vera j : 선생님 말씀듣고 맘을 다잡아가며 열심히 운동시키고 식이요법 했어요. 6개월 정도만에 완전 거의 사라졌습니다.
제가 했던거는 매일 40분산책, 눈운동, 평균대 중심잡고걸어가기, 간식끊고 귀리밥 먹이기, 고기를 먹이더라도 양념없이 구워먹이고 유기농달걀먹이기 우유끊기,생선먹이기,과일끊고 브로콜리 케일 먹이기, 오메가3 멀티비타민 매일85%쵸코렛1조각 꾸준한 학습과 훈육.
그리고 감기와 같이 잠시 걸리는거라 성장 균형맞춰주면 해결된다 엄마말 믿어라 했어요. 포커페이스 정말 힘들었지만 최대한 노력했고요.
현재 힘들어 하시는 부모님들께 제경험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어요.
아! 그리고 아동신경정신과 선생님께 방문해서 상담받고 아이를 함께 지켜보고 있습니다.첨엔 2달에 1번 앞으로는 6개월에 1번씩 방문해서 지속적으로 전문가분께 아이의 변화양상을 보여드리고 확인받으며 위안을 받기로 했습니다.
Jude Lee : 너무 좋은 영상들 감사드립니다.
선생님의 모든 영상이 큰 힘과 정보가 됩니다.
Only One :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너무 도움이 되는 설명이예요~
단단하게 : 늘 감사합니다^^
저희 아이는 중2 남학생이구요
증상이 나타난지는 3달쯤 되는것 같아요
처음에는 공부하다가 발을 쿵쿵구르고 혀끝차는소리를 내고해서 사춘기가 시작되서 감정조절이 안되서 그렇게 표출하는즐 알았습니다.
자기방에 혼자 있을때만 그러고 공부할때 특히 빈도나 강도가 심해져서 이젠 치료를 받아야 되겠다 싶습니다.
부산인데 청소년틱 전문 병원을 찾기도 쉽지 않고 아이가 치료기관방문을 원치도 않아서 고민스럽습니다.
아이를 어떻게 설득시킬수 있을까요?
그리고 혹시 부산에 추천해주실만한 병원이 있으실까요?

나도 모르게 '큼큼'...음성 틱 장애 발병 원인 찾았다 / YTN

[앵커]
자신도 모르게 이상한 소리를 반복적으로 내는 걸 '음성 틱' 장애라고 하는데요.

지금까지는 정확한 원인을 알지 못했던 음성 틱의 발병 원인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밝혀냈습니다.

양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자신도 모르게 신체 일부를 움직이거나 이상한 소리를 내는 틱 장애.

틱 장애는 어린이 10명 가운데 1~2명이 일시적으로 증상을 보일 만큼 흔하지만, 일부는 성인이 돼도 증상이 계속됩니다.

[손보경 / 서울대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틱 장애는) CT나 MRI를 찍었다고 해서 병변이 눈에 띄게 드러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러 연구를 종합해볼 때 뇌 질환의 기전으로 기저핵이라는 운동에 관련된 부분에 도파민이라는 물질을 교란돼 나타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한국뇌연구원 연구팀이 음성 틱 장애의 발병 원인을 밝혀냈습니다.

뇌 안쪽에 감정과 보상을 담당하는 '중격의지핵'이라는 부위가 있는데 여기서 나오는 알파파가 인지나 운동 영역에서 나오는 알파파와 일치했을 때 음성 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케빈 맥케언 /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 책임연구원 : 뇌에서 나오는 알파파의 수치가 정상보다 높아지고, 중격의지핵과 두 영역의 알파파와 동기화가 일어나면서 음성 틱 장애가 일어납니다.]

연구팀은 원숭이 모델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중격의지핵의 이상이 음성 틱 발병의 주원인임을 확인했습니다.

[정성진 /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 책임연구원 : 현재 신경망 중에서도 운동이 잘못된다거나 음성이 잘못되는 거에 대해서 아직 치료법이 없는데, (음성 틱의) 원인을 알았기 때문에 뇌에 있는 심부를 전기적으로 자극해서 이런 것들을 치료할 수 있도록….]

음성 틱 치료를 위한 치료제는 물론 외과적 시술법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는 이번 연구결과는 신경과학분야 국제학술지인 '뉴론'에 실렸습니다.

YTN science 양훼영[hwe@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5_20160121020245511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AMWS : 이야 대단하네요 조금 쉽게 설명해줬으면 하지만 국내연구진이라 자랑스럽네요.
빱카츄 : 틱장애를 겪었다 치료한 1인으로 첨엔 몸도 부르르떨고 눈도 깜빡거리고 어깨도 들썩거렸는데 즐거울때 좀 줄어들더라구요 ㅎㅎ 예로 들면 게임할때,운동할때,친구들과 놀때 자신의 취미를 찾아서 즐기면 치료할수있을거에욯ㅎㅎㅎ
키워 : 기침 계속해서 병웠갔더니 틱이래서 놔뒀는데 알고보니 폐렴이였음ㅋㅋ..
이멋짐 : 제발 자식에게 감당못할만큼의 스트레스주지마세요..
저틱장앤데 성인되서도 못고치고있습니다.
진짜 평생가요
monew06 : 소고기가 증상완화에 도움이 되는것 같은데 연구 부탁드립니다

틱장애에 대한 이해와 도움주기

[틱장애에 대한 이해와 도움주기]

강사: 이주연(전남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틱은 소아청소년기에서 매우 흔한 질병이지만, 이 틱장애를 둘러싼 오해와 편견이 많습니다.
틱을 올바로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이 영상을 제작하였습니다.



TIMELINE

01:17 틱이란 무엇인가요?

02:05 틱은 얼마나 흔한가요?

03:14 틱은 언제 나타나나요?

03:50 틱의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요?

05:26 틱장애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06:20 틱장애의 진단은 어떻게 하나요?

07:27 틱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09:00 약물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10:02 가정에서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요?

12:02 학교에서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요?

13:24 주변 사람들의 반응에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까요?

14:24 정리하기




#정신건강 #아동청소년 #틱 #교육 #광주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모여라마음친구
샌도리치 : 너무 유용한 영상인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광주틱장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791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