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패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달려라하니 조회 17회 작성일 2022-06-17 06:18:37 댓글 0

본문

[인포그래픽] 패스트패션의 두 얼굴 (Two Faces of Fast Fashion)

[패스트패션의 두 얼굴 (Two Faces of Fast Fashion)]

서울여자대학교 콘텐츠디자인학과
지도교수 : 고혜영교수님 (kohy@swu.ac.kr)
제작 : 김나영, 박민하, 유경, 정규은


패션에 관심이 많은 당신. 혹시 오늘 아침에도 입을 옷이 마땅치 않아 고민하셨나요? 옷을 끊임없이 구매하는 우리의 행동으로 인해 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문제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 영상은 우리 스스로가 패스트패션의 이면에 가려진 가치를 바로 알고 현명한 소비를 통해 옷을 구매하자는 취지에서 제작되었습니다.

오늘 당신은 무슨 옷을 입으셨나요?
킹받네 진짜 못하네 : 너무 잘 만드셨어요 ㅠㅠ진짜 한눈에 딱 알아보기 쉬워요 ㅠㅠ 기가 수행하는데 도움 엄청 됬어요❗️
허진만 : 멋진 작품입니다. 제작하신 분들께 박수를 보냅니다. 짝짝짝!!
정담 : 대학생 수준이 디자인, 기획 구성 메시지...모두 높은 수준입니다.
송햇살 : 요즘 대학생들 과제 퀄리티가 장난 아니네요 ^^
힙합팬 : 진짜 잘 만드셨어요 ㅠㅠ

[글로벌K] 사막에 ‘쓰레기 옷 산’이?…패스트 패션의 그늘 / KBS 2021.11.11.

우리가 버리는 옷들은 어디로 갈까요? 대부분은 칠레와 인도 등 개발도상국으로 수출되는데요. 최근 몇 년 새 급격히 늘어난 의류 폐기물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가 되면서, 산처럼 쌓여가고 있다고 합니다.

지구촌인에서 살펴 보시죠.

[리포트]

지구상에서 가장 건조한 사막으로 알려진 칠레 북부 아타카마.

노란 모래밭에 얼룩덜룩한 언덕이 눈에 띕니다.

각국에서 버려진 옷들이 쌓여 이룬 거대한 쓰레기 산입니다.

이곳을 찾는 건 주변 빈민들뿐인데요.

입거나 내다 팔만한 옷을 찾기 위해 옷더미를 뒤집니다.

[제니/베네수엘라 이민자 : "우린 가진게 아무것도 없어서 입을 만한 옷을 찾으려고 왔어요. 배낭 하나만 들고 떠나왔거든요."]

이곳에 쌓인 의류 대부분은 패스트패션 폐기물입니다.

유행에 맞춰 빠르게 소비되고 쉽게 버려지는 옷을 말하는데요.

대게는 중국과 방글라데시의 공장에서 생산된 뒤, 유럽과 아시아, 미국 등의 소비처를 거쳐 중고 의류 허브라 불리는 칠레에 도착합니다.

매년 약 5만 9,000톤의 의류가 칠레 북부 이키케 항구를 통해 들어오는데요.

이 중 일부는 중고 의류 상인에게 되팔리지만, 절반 이상의 옷들이 아타카마 사막에 그대로 버려집니다.

문제는 이 옷들이 화학처리가 돼 있는 탓에 생분해되는데 수백 년이 걸린다는 건데요.

오랜 시간 방치되면서 대기나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모이라 로하스/환경부 관계자 : "의류 쓰레기 더미가 지역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과 피해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다행히 버려진 옷을 재활용하는 공장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헌 옷을 잘게 찢어서 세탁하고 건조해 새로운 섬유로 재탄생시키는데요.

가방이나 공책, 실 등을 만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루게 다르게 빠른 속도로 사막에 쌓여가는 의류 폐기물을 감당하기엔 역부족입니다.

[로사리오 헤비아/의류 재활용업체 CEO : "더 나은 세상을 만들겠다고 반복해서 이야기하고 있지만, 옷을 소비하는 데 있어서 사람들은 여전히 패스트패션을 찾습니다."]

2019년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의류 생산량은 2000년에서 2014년 사이 2배로 증가했습니다.

버려지는 것도 문제지만, 옷은 생산 과정에서도 여러 환경 문제를 야기하는데요.

패션 산업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0%, 전 세계 폐수의 20%를 만들어냅니다.

예를 들어 청바지 한 벌을 만들기 위해서는 7500리터의 물이 필요합니다.

[크리티 툴라/인도 의류재활용업체 CEO : "염색과정만 봐도, 많은 양의 화학물질이 지하수로 흘러 들어갑니다. 분명히 먹이 사슬에 의해 우리에게 돌아옵니다."]

해마다 전 세계에선 약 1,000억 벌의 옷이 만들어지고, 330억 벌의 옷이 버려지고 있습니다.

이 헌 옷들은 인도, 칠레, 가나 등과 같은 개발도상국으로 수출되는데요.

유입되는 의류 폐기물이 지역 처리 시스템으로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가 되면서 이들 \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322682\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패스트패션 #의류폐기물 #쓰레기
구름이 : 코로나로 알았다 옷이 많이 필요 없다는 것을
그래도 올해는 몇개 샀는데
영상보니 최대한 안사야 할듯
daniel J : 난...스님이나 수녀님같이 다들 획일화된 옷 입고 살았으면 좋겠다..그럼 옷버리는 일도 없을텐데.
yi john : 질좋은 옷을 오래입는게 좋은데 패션이니, 개성이라는 이름으로 이런게 좌시되는듯. 오히려 같은옷 계속입으면 놀리고, 1년이상입으면 놀라는 친구들도 있죠. 교육과 규제로 잡아야된다고봅니다
tata V : 스티브잡스 마크저커버그 같은 부자의 패션을 본받자
shl akd : 과소비가 나은 폐해
나부터 절약해야겠다

[탄며들다] 이중인격 패스트 패션의 실체

유행에 따라 한철 입고 버리는 패스트 패션이 환경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제는 지속가능한 패션에 대해 생각해보아야 할 때입니다 :)
패스트 패션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봐요~!

#국가환경교육센터 #환경교육포털 #탄소중립 #패스트패션 #섬유폐기물 #합성섬유 #미세플라스틱 #지속가능한패션 #비건패션 #컨셔스패션 #슬로우패션 #중고거래 #아나바다

... 

#패스트패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755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