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소득공제상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윈도우십자 조회 20회 작성일 2022-07-01 02:28:59 댓글 0

본문

연말정산 상품 5가지 (소득공제,세액공제,비과세)

연말정산시 도움되는
절세상품 5가지를 설명한 영상입니다.

연말정산 최대 환급 꿀팁 대방출 (소득공제, 세액공제, 신용카드, 체크카드, IRP, 청약통장) [누이떠 EP.43]

이제 곧 연말정산 시즌이죠! 그런데 연말정산 때 20대 후반, 미혼이어도 최소 300만원 돌려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 누이떠에선 연말정산, 우리가 놓치고 있었던 사실들을 하나하나 짚어보고 연말정산에서 최대한 많이 땡길(?)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궁금하시다면 영상시청!

[누워서 연 2000만원 떠먹기]

0:00 인트로
0:25 [연금상품] 연금상품 가입은 어떤 상품으로?
1:53 [연금상품] IRP에 매년 700만원 불입, 적당한가?
2:25 [연금상품] 연금상품, 연말에 가입해도 혜택을 받을까?
2:45 [청약통장] 연말에 또 챙길 만한 것이 있다면?
3:39 [카드황금비율] 체크카드와 신용카드 사용 비율?
6:05 [카드황금비율] 카드 공제 한도, 올해는 얼마?
6:43 [카드황금비율] 공제율 높게 적용받는 소비항목은?
7:11 [카드황금비율] 카드 사용 시 추가공제와 중복공제란?
8:17 [카드황금비율] 맞벌이 부부, 카드를 합쳐서 사용하는 게 낫다?
9:07 [전·월세] 월세는 세액공제를 위해 어떤 걸 챙길까?


※ 해당 콘텐츠는 코로나 방역 지침을 준수해 안전하게 촬영되었습니다.
※ 본 콘텐츠는 2021년 11월 4일에 촬영되었습니다.
※ 본 방송에서 제공하는 투자 정보는 출연자 개인의 의견입니다. 투자 결정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소득공제 #세액공제 #연말정산
꼴깍 : 감사합니다~!
용이 : 용이
좋은 내용 잘 들었습니다.
남편이 근로 소득이 있는 부인의 카드사용액을 소득이 큰 자녀에게로 공제 가능할까요?
남편에게 부양가족으로 하지 않았다면요.
만약 부양가족수당을 받았을때 연먈 정산만 자녀에게 가능할까요?
모는 60세미만이고 자녀는 세대구성하여 따로 살고 있습니다.
tree pine : 연말정산은 1년간 낸 세금만큼만 돌려받는겁니다..
월 급여 200되는 분들이 왜 나는 환급세금이 100만원 안나와요 이러면 곤란합니다….
셜록홈즈 : 1년간 소득세 300만원 정도 나올려면 한달 평균 소득세가 25만원이상 내야하는건데 소득세 25만원 기준이면 한달 평균 월급이 세전 430만원 벌어야함 그러면 1인가구 기준 평균 1년연봉이 5160만원 이상 벌어야 연간 소득세 300만원 나오겠구만.... 그러면 연말정산으로 300만원 돌려받으려면 공제혜택을 먼저 찾아볼게 아니라 내 연봉부터 올려야 기준치가 되지...,
신궁동맨 : 소득공제, 세액공제를 알아야 이해할듯 ... 청약 96만원 환급해주는게 아니라, 소득공제를 해주는것인디. 오해할만하게 표현을 해놨네

연말정산에 집착하다 벌어진 일, 연금저축과 IRP에 절대 돈 넣어선 안되는 분, 치명적 독소 有

연금저축과 IRP, ISA에 관한 해설 영상입니다. (*고정댓글 필독! 방송에서 미진한 부분을, 한 구독자 분이 상세히 보충해 주셨습니다. )


#연말정산 #세액공제 #연금저축_IRP_ISA
민트초코환자 : 오늘도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다만 제가 알고 있는 부분과 다른 부분, 그리고 첨언하고 싶은 내용이 있어, 몇 글자 적습니다.

1. 2:30 나은퇴씨의 소득이 오직 연금소득 1,500만원만 있는 경우에는 보수적으로 소득공제에서 본인인적공제(-150만원),표준세액공제(7만원)만 적용하여도 유효세율은 약 6.5%로 그리 높게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연금소득 1,200만원 아래인 경우에도, 무조건 분리과세가 아닌 선택적분리과세 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의도는 알겠지만, 소득자의 상황에 따라 연 1,500만원 받는 것이 꼭 나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2. 8:40 세액공제액은 소득금액요건에 따라 12%,혹은15% 세율적용 되어 120만원 혹은 150만원입니다.

3. 8:53 연금수령한도에 대한 설명을 하신 것 같은데, 2013년 3월 1일 전에 가입한 연금계좌의 경우, 5년이상의 기간동안 분할수령가능합니다.

4. 9:20 최고세율은 49.5%입니다. (종합소득 과세표준 10억원 초과구간)

5. ISA 중에서도 설명하신 내용은 중개형 ISA에 대한 부분이라 정확히 언급하셨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3년이 되지 않아도 납입한 금액 한도로는 인출가능합니다.

준비하신 내용을 보면 어려운 내용을 많이 공부하시고, 쉽게 설명해주시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많이 보이네요.


늘 좋은 프로그램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Soonha Hong : 정말 알차고 좋은 정보네요.
핵심과 예시 모두 알기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IRP도 열심히 불입하고 쉽게 깨뜨리시는 분들 많은데...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뉴스킹덤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주필숙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HAYA BICH : 저는 은퇴 2년차인데 연금저축,퇴직연금 등을 IRP와 ISA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자금의 여유가 있어서 매년 IRP한도안에 인출해서 ISA로 입금하고, 모두 ETF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정말 일목요연하게 정리가 잘되어 있네요.
감사드립니다.

... 

#연말소득공제상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743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