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유학비자
페이지 정보
본문
中 입국 금지 장기화...학업 포기 유학생 늘어 / YTN
[앵커]
아직도 중국의 많은 대학에서는 유학생 입국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학업을 포기하는 한국인 유학생들도 늘고 있는데요.
동북 3성 지역에선 유학생 비자 신청을 재개하겠다고 밝혔지만 최근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다시 방역 고삐를 조이는 모습입니다.
현지 상황을 하얼빈 김채영 리포터가 전합니다.
[리포터]
굳게 닫힌 철문 사이로 과일이 오가고 배달원은 손을 뻗어 철조망 위로 음식을 전달합니다.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으로 학교 측이 외부인은 물론 학생들의 교문 밖 출입도 엄격하게 통제하면서 벌어진 풍경입니다.
[유성준 / 잔류 유학생 : 방학 끝나고 중국 학생들이 들어오면 기숙사 하나를 전체를 빌려서 격리시키고 있고 학교 밖에 일절 못 나가게 하고 있습니다.]
방역 규제가 더 깐깐해진 가운데 한국인 유학생들의 근심도 깊어져만 갑니다.
한국인 유학생들은 코로나19 발생 초기, 대부분 한국으로 귀국했다가 2년째 중국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상황.
중국 동북 지역 대학들이 한국 학생들의 입국을 금지했기 때문입니다.
[유성준 / 잔류 유학생 : 코로나 사태가 터지고 애들이 거의 다 없어졌죠. 현재 돌아오고 싶어도 돌아오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학교 측은 중국에 돌아오지 못하는 유학생들을 위해 온라인 강의를 제공했지만 길어지는 기다림에 지쳐 학업을 포기하는 학생도 적지 않습니다.
[이인수 / 중국 유학 컨설턴트 : 굳이 2년이란 공백을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으니 입학 허가가 되는 상하이나 베이징지역에 편입을 하는 경우가 워낙 많고 학업 자체를 포기하는 학생들도 많죠. 다른 학교로 재입학을 한다든지 그런 현상도 벌어지고 있는 거죠.]
중국 당국은 한국 유학생 입국을 허용하겠다고 밝혔지만, 아직 뚜렷한 계획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최두석 / 선양 총영사 : 코로나로 인해서 가장 피해를 보고 있는 계층이 유학생이라고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유학생들에 대한 비자 발급 진행 동향을 계속 파악하면서 온라인 수업을 받는 학생들도 보다 나은 온라인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각 대학들과 계속 협조해나갈 계획입니다.]
봄이 오고 새 학기가 시작됐지만, 대학가는 여전히 한산하기만 합니다.
유학생들은 하루빨리 입국금지 조치가 풀려 학업을 다시 이어갈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중국 하얼빈에서 YTN WORLD 김채영입니다.
YTN 김채영 (kwonjs10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203200157112255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u0026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C.Y.H nameless : 중국에서 유학생들은....어쩔수 없이 포기할수밖에는 방법이.....
코알라따뚜이 : 코로나 터지기 전 2019년에 딱 고3이여서 룰루랄라 중국어학과로 원서 쓰고 어렵사리 대학까지 진학했는데.... 새내기 되자마자 코로나 터지고... 대학생활 아무것도 못 즐기고 방에 콕 박혀서 비대면 수업만 듣다보니까 어영부영 후루룩 3학년이 됐네요...ㅠㅠ 작년까지 교환학생은 꿈도 못 꿨는데 이번년도에 중어권 교환학생 모집 떴길래 꼭 가고 싶었거든요... 아무래도 현지에서 직접 가서 배우고 싶은 욕심이 있던지라, 지원해볼까 욕심 내려고 했는데... 현재 중국은 베이징 올림픽 이후로 코로나 확진자 증가 추세고 더더욱이 중국 가면 한달 격리해야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아서... 결국엔 포기하려는데 맘이 씁쓸하네요 ㅎㅎ
이이 : 중국인선거권자격중단과 의료보험혜택 전면중단 조치 시켜야한다
윕니니바 : 지피지기를 위해서라도 누군가는 중국에 관심을 유지해야 하지 않을까요. 적이라고 완전히 배척할 게 아니라 견제를 하기 위해서라도 누군가는 적의 언어와 문화를 알아야 할 것 같아요.
zo yo : 저렇게 방콕만할바에는 유학포기가 맞다.
문화생활도 해야하는데 국내에서 중국어학원다니는게 나을듯
[글로벌K] 미국, 중국인 유학생 비자 발급 거부…"소송 준비" / KBS 2021.09.09.
미국 정부의 행정명령에 따라 비자 연장이 거부된 일부 중국 유학생들이 미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리포트]
미국 보스턴의 한 대학교에서 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 데니스 후 씨.
지난해 미국 비자를 연장하기 위해 고향인 상하이로 돌아갔습니다.
당시 중국 여행을 원했던 미국인 친구도 대동했는데, 친구는 미국으로 돌아갔지만 후 씨는 아직도 상하이에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후 씨의 비자 연장을 거부했기 때문입니다.
[데니스 후/중국인 미국 유학생 : "이건 국적 차별 정책이에요. 내 연구는 중단되었다고요."]
지난해 트럼프 정부는 민감한 기술 등을 빼내려는 중국 스파이를 막는다며 미국에서 특정 과학 기술을 공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입국을 제한했습니다.
그리고 바이든 행정부도 이 행정명령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미중 관계를 악화시키는 대표적인 정책이라고 지적합니다.
[에릭 피쉬/중국 전문가 : "과거에 중국 학생들이 스파이 목적으로 이용된 적이 있지만, 이번 미국 정책은 너무 광범위하고 독단적이에요."]
후 씨는 미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준비하며 기금을 마련하고 있는 단체에 가입했는데요.
후 씨처럼 미국 비자가 연장되지 않은 중국인 유학생들은 약 5천 명입니다.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275960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미중갈등 #유학생 #비자발급
Joong Wook Choi : 우리나라도 뭔가 획기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중국인들은 대한민국의 부동산을 거래하지 못 하도록 법으로 막아버려야 한다.
그러면 부동산 시장이 자동적으로 안정되고, 지방 인구 유출도 완화시킬 수 있고, 자연히 인구가 늘어 인구절벽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capt. kyle : 이건 전세계가 동시에 시행해야 될 정책...
강상민 : 국가간에는 서로 반드시 상호주의가 원칙이 되어야만 한다!!! 중국 본인들은 미국기업과 미국인들을 향해서 대놓고 온갖종류의 황당한 규제를 남발 하면서 자신들한테는 미국정부가 그렇게 하면 안된다고 하면 그 누구도 납득 할 수 없을 것이다!!!
김태연 : 중국인들은 중국법부터 고치라고 하고,
미국에 요구 하길 .
나는 상대방에게 내 마음대로 하고 ,
상대방은 법을 지키고 나에게 잘 하라는 것이잖아요 .
Alf D : 중국 유학생들은 과학기술을 배울게 아니라 자유와 민주주의를 공부해서 자신들의 잘못된 나라를 바꾸는 게 우선이다.
중국유학을 생각하고 있다면 반드시 보아야하는 영상
유학에 관련된 어떠한 것이든 완벽하게 조사해드립니다 :-)
알고싶은 정보가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Heawan Lee : 중국에서 외국인은 高考시험 볼수 없습니다.
キムゾンウン : 히야ㅓㅜ도토노너톻튜3” 률” ㅑㅜ윦ㄴㅍㄴㅍ퓯쟈유ㅡ? 느
[앵커]
아직도 중국의 많은 대학에서는 유학생 입국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학업을 포기하는 한국인 유학생들도 늘고 있는데요.
동북 3성 지역에선 유학생 비자 신청을 재개하겠다고 밝혔지만 최근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다시 방역 고삐를 조이는 모습입니다.
현지 상황을 하얼빈 김채영 리포터가 전합니다.
[리포터]
굳게 닫힌 철문 사이로 과일이 오가고 배달원은 손을 뻗어 철조망 위로 음식을 전달합니다.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으로 학교 측이 외부인은 물론 학생들의 교문 밖 출입도 엄격하게 통제하면서 벌어진 풍경입니다.
[유성준 / 잔류 유학생 : 방학 끝나고 중국 학생들이 들어오면 기숙사 하나를 전체를 빌려서 격리시키고 있고 학교 밖에 일절 못 나가게 하고 있습니다.]
방역 규제가 더 깐깐해진 가운데 한국인 유학생들의 근심도 깊어져만 갑니다.
한국인 유학생들은 코로나19 발생 초기, 대부분 한국으로 귀국했다가 2년째 중국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상황.
중국 동북 지역 대학들이 한국 학생들의 입국을 금지했기 때문입니다.
[유성준 / 잔류 유학생 : 코로나 사태가 터지고 애들이 거의 다 없어졌죠. 현재 돌아오고 싶어도 돌아오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학교 측은 중국에 돌아오지 못하는 유학생들을 위해 온라인 강의를 제공했지만 길어지는 기다림에 지쳐 학업을 포기하는 학생도 적지 않습니다.
[이인수 / 중국 유학 컨설턴트 : 굳이 2년이란 공백을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으니 입학 허가가 되는 상하이나 베이징지역에 편입을 하는 경우가 워낙 많고 학업 자체를 포기하는 학생들도 많죠. 다른 학교로 재입학을 한다든지 그런 현상도 벌어지고 있는 거죠.]
중국 당국은 한국 유학생 입국을 허용하겠다고 밝혔지만, 아직 뚜렷한 계획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최두석 / 선양 총영사 : 코로나로 인해서 가장 피해를 보고 있는 계층이 유학생이라고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유학생들에 대한 비자 발급 진행 동향을 계속 파악하면서 온라인 수업을 받는 학생들도 보다 나은 온라인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각 대학들과 계속 협조해나갈 계획입니다.]
봄이 오고 새 학기가 시작됐지만, 대학가는 여전히 한산하기만 합니다.
유학생들은 하루빨리 입국금지 조치가 풀려 학업을 다시 이어갈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중국 하얼빈에서 YTN WORLD 김채영입니다.
YTN 김채영 (kwonjs10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203200157112255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u0026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C.Y.H nameless : 중국에서 유학생들은....어쩔수 없이 포기할수밖에는 방법이.....
코알라따뚜이 : 코로나 터지기 전 2019년에 딱 고3이여서 룰루랄라 중국어학과로 원서 쓰고 어렵사리 대학까지 진학했는데.... 새내기 되자마자 코로나 터지고... 대학생활 아무것도 못 즐기고 방에 콕 박혀서 비대면 수업만 듣다보니까 어영부영 후루룩 3학년이 됐네요...ㅠㅠ 작년까지 교환학생은 꿈도 못 꿨는데 이번년도에 중어권 교환학생 모집 떴길래 꼭 가고 싶었거든요... 아무래도 현지에서 직접 가서 배우고 싶은 욕심이 있던지라, 지원해볼까 욕심 내려고 했는데... 현재 중국은 베이징 올림픽 이후로 코로나 확진자 증가 추세고 더더욱이 중국 가면 한달 격리해야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아서... 결국엔 포기하려는데 맘이 씁쓸하네요 ㅎㅎ
이이 : 중국인선거권자격중단과 의료보험혜택 전면중단 조치 시켜야한다
윕니니바 : 지피지기를 위해서라도 누군가는 중국에 관심을 유지해야 하지 않을까요. 적이라고 완전히 배척할 게 아니라 견제를 하기 위해서라도 누군가는 적의 언어와 문화를 알아야 할 것 같아요.
zo yo : 저렇게 방콕만할바에는 유학포기가 맞다.
문화생활도 해야하는데 국내에서 중국어학원다니는게 나을듯
[글로벌K] 미국, 중국인 유학생 비자 발급 거부…"소송 준비" / KBS 2021.09.09.
미국 정부의 행정명령에 따라 비자 연장이 거부된 일부 중국 유학생들이 미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리포트]
미국 보스턴의 한 대학교에서 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 데니스 후 씨.
지난해 미국 비자를 연장하기 위해 고향인 상하이로 돌아갔습니다.
당시 중국 여행을 원했던 미국인 친구도 대동했는데, 친구는 미국으로 돌아갔지만 후 씨는 아직도 상하이에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후 씨의 비자 연장을 거부했기 때문입니다.
[데니스 후/중국인 미국 유학생 : "이건 국적 차별 정책이에요. 내 연구는 중단되었다고요."]
지난해 트럼프 정부는 민감한 기술 등을 빼내려는 중국 스파이를 막는다며 미국에서 특정 과학 기술을 공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입국을 제한했습니다.
그리고 바이든 행정부도 이 행정명령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미중 관계를 악화시키는 대표적인 정책이라고 지적합니다.
[에릭 피쉬/중국 전문가 : "과거에 중국 학생들이 스파이 목적으로 이용된 적이 있지만, 이번 미국 정책은 너무 광범위하고 독단적이에요."]
후 씨는 미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준비하며 기금을 마련하고 있는 단체에 가입했는데요.
후 씨처럼 미국 비자가 연장되지 않은 중국인 유학생들은 약 5천 명입니다.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275960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미중갈등 #유학생 #비자발급
Joong Wook Choi : 우리나라도 뭔가 획기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중국인들은 대한민국의 부동산을 거래하지 못 하도록 법으로 막아버려야 한다.
그러면 부동산 시장이 자동적으로 안정되고, 지방 인구 유출도 완화시킬 수 있고, 자연히 인구가 늘어 인구절벽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capt. kyle : 이건 전세계가 동시에 시행해야 될 정책...
강상민 : 국가간에는 서로 반드시 상호주의가 원칙이 되어야만 한다!!! 중국 본인들은 미국기업과 미국인들을 향해서 대놓고 온갖종류의 황당한 규제를 남발 하면서 자신들한테는 미국정부가 그렇게 하면 안된다고 하면 그 누구도 납득 할 수 없을 것이다!!!
김태연 : 중국인들은 중국법부터 고치라고 하고,
미국에 요구 하길 .
나는 상대방에게 내 마음대로 하고 ,
상대방은 법을 지키고 나에게 잘 하라는 것이잖아요 .
Alf D : 중국 유학생들은 과학기술을 배울게 아니라 자유와 민주주의를 공부해서 자신들의 잘못된 나라를 바꾸는 게 우선이다.
중국유학을 생각하고 있다면 반드시 보아야하는 영상
유학에 관련된 어떠한 것이든 완벽하게 조사해드립니다 :-)
알고싶은 정보가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Heawan Lee : 중국에서 외국인은 高考시험 볼수 없습니다.
キムゾンウン : 히야ㅓㅜ도토노너톻튜3” 률” ㅑㅜ윦ㄴㅍㄴㅍ퓯쟈유ㅡ? 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