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룩말
페이지 정보
본문
얼룩말은 왜 얼룩무늬를 지니게 된 걸까?
※후원하기 : https://toon.at/donate/sciencegive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은
영상 제작과 채널 성장에 큰 도움이 됩니다!:)
============================================
사바나의 초원을 달리는 얼룩말!
얼룩덜룩한 무늬는 녀석의 이름과 정말 찰~떡입니다.
얼룩말은 산얼룩말, 사바나얼룩말, 그레비얼룩말까지
총 3종이며 모두 아프리카 초원 지대에 서식하고 있죠.
어쨌거나 이처럼 개성 강한 얼룩말은
오랜 기간 생물학자들을 괴롭혀 온 동물이기도 합니다.
바로, 얼룩무늬 때문이죠.
이들의 얼룩무늬는 초원이란 환경과 어울리지 않고,
사바나의 여타 동물들과 비교해도 무늬와 색이 너무 독특해서
생물학자들은 궁금증을 가질 수밖에 없었던 겁니다.
특히, 왜 하필 얼룩무늬를 가진 개체들이
사바나에서 살아남기에 유리했는지가
얼룩말을 둘러싼 과학자들의 최대의 관심사였죠.
과연, 과학자들은 얼룩말의 무늬에 대해
어떤 해석을 내 놓았을까요?
얼룩말의 무늬에 얽힌 비밀을 영상을 통해 만나보세요!
#얼룩말 #얼룩무늬 #동물
================================================
[참고 자료]
Martin J. Howa, Johannes M. Zanker, (2013). “Motion camouflage induced by zebra stripes.”
Gábor Horváth et al., (2018). “Experimental evidence that stripes do not cool zebras.”
Harris, R. H. T. P. (1930). "Report on the Bionomics of the Tsetse Fly.Pietermaritzburg, South Africa: Provincial Administration of Natal."
Ádám Egri et al., (2012). "Polarotactic tabanids find striped patterns with brightness and/or polarization modulation least attractive: an advantage of zebra stripes."
Tim Caro et al., (2019). "Benefits of zebra stripes: Behaviour of tabanid flies around zebras and horses."
Tim Caro et al., (2014). “The function of zebra stripes.”
[사진]
썸네일/ 123RF
일러스트레이션/ all.freevector.com
과학드림 [Science Dream] : 여러분~ 추석 연휴 잘 보내고 계시죠? 영상을 업로드한 후 댓글을 보고 ZVS님과 동일한 주제의 영상이란 사실을 알게 되었고, 저도 깜짝 놀라서 오해를 불러일으킬까 하는 마음에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먼저, 표절은 절대 아니고요ㅠㅠ ZVS님과 달리, 저는 흡혈파리를 중심으로 내용을 전개하다 보니, "체온 조절"을 반박하는 가설이 담긴 논문을 찾게 되었고(2018년, Gabor Horvath), 이를 영상에 담았습니다. 그리고 2019년, Tim caro 교수의 흡혈파리 회피 기작이 담긴 논문을 참고하여 영상을 제작했어요. ZVS님 영상에는 제가 미처 찾지 못한 체온조절과 관련된 최신(2019) 실험 결과가 상세하게 나와 있고, 내용 또한 정말 깊이 있어서 해당 영상을 보시면 더 많은 지식을 얻으실 수 있을 거예요. (). 저 역시 ZVS님 채널 정말 좋아합니다!^^ 늘~ 제 채널을 찾아 주시는 구독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올리며, "드리미" 여러분~ 즐거운 한가위되세요~! :)
-- : 근데 연구하면서 항상 뭔가 막힐땐 체온조절,성 유혹 얘긴 꼭 나오는듯. 당연한건가..
이준영 : 흡혈파리 실험 너무 신기하네요 ㅋㅋ그와중에 Zattwo 님이랑 비슷한 주제라니 ㄷㄷ..둘다재밌게봤어요!!ㅎㅎ 추석연휴 잘 보내세요^^
영어야놀자tv : zebra의 stripe은 과거 고등학교 영어모의고사에서도 자주 나왔던 주제들입니다.
그래서 저의 머릿속에는 저 사자를 헷갈리게 한다는 첫번째 가설이 fact처럼 들어가 있는데, 수정되었군요. ^^
온도조절문제도 최근에 본거같은데, 파리도 곧 보겠네요. 수능에서.
신우태 : 분자생물학 연구결과 다른 동물들보다 얼룩말이 뒤늦게 아프리카로 진출해서 저런 방어기제 가 생겼다는 설이 있더군요!
다른 아이들보다 체체파리에 내성이 없다고 합니다! 얼룩말이
사자와 얼룩말의 조르기 한판!
물웅덩이에서 목을 축이는 얼룩말 무리에게 암사자가 접근합니다.
얼룩말의 달리기 속도는 최대 시속 50km로 사자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지구력은 사자보다 뛰어나죠.
초원에만 도달한다면 목숨을 건질 수 있을겁니다.
하지만 성체 한마리가 암사자에게 잡혔습니다.
다금 : 여기 채널보면서 초식동물도 세다는 걸 느낀다
이찬희 : 어렸을 때는 얼룩말이 사자에게 당하는 줄로만 알았는데 이제는 얼룩말이 이길 수도 있다는 점을 알게 되니 너무 놀라워요!
예린TV : 우와 얼룩말 진짜 사자를 물다니.. 그냥 초식동물들은 다 잡히면 힘도못쓰고 잡혀먹히는줄 알았는데 아니었구나
퍼즈 : 맨날 얼룩말 내장 튀어나오고 죽는모습만 보다가 사자와의 일기토에서 승리하는 모습을 보니 기쁘네...
신영대 : 어룩말도 지능이 좋으니까 이번처럼 깨물기들어가고 협공하는것만해도 사자도 함부로 못하는데 초식동물이라서 겁이 많아서 흩어지고 있으니까 안타깝다
사자 VS 얼룩말 싸움 대결 얼룩말에게 공격당한 사자의 최후 사자의 대가리를 박살내버리는 얼룩말의 놀라운 모습
사자 VS 얼룩말 싸움 대결
얼룩말에게 공격당한 사자의 최후
사자의 대가리를 박살내버리는 얼룩말의 놀라운 모습
그럼 동물돋보기 시작합니다
#얼룩말vs사자
#사자얼룩말싸움
#동물싸움영상
#사자얼룩말사냥
#얼룩말뒷발차기사자
#얼룩말다큐멘터리
#사자다큐멘터리
#동물다큐멘터리
song캐서린 : 뒷발에 차이고 굶어야하는 사자도 불쌍하네요 사람이나 동물이나 다 불쌍해요 (사람도 먹고 사느라 하기싫어도 날마다 돈벌어야 하잖아요) 이세상에 생명으로 태어난게 신에게 받은 상인지 벌인지 모르겠습니다 모두들 힘내세요
Sky : 얼룩말은 무리로 있으면서 왜 항상 도망만 가고 당하기만 하나 했는데
다시 돌아와 발차기도 모자라 물어 뜯을수도 있다니 와우....
NAYUN KIM : 얼룩말어미 자식죽을까봐 목숨걸고 가로막고 뒷발 있는힘껏찬다..진짜 뭉클하다 머리통돌아가서 사자둥절한거는 웃기고
LUBUR : 얼룩말고기가 고라니 뺨치게 맛없고 냄새난다고 해요~ 그런데 포식자들이 자주 얼룩말을 먹는 건 그저, 살기위해...먹고 살아야해서 맛없어도 먹는다고 하네요~
김원태 : 사자가 먹이사냥을하는과정에서 얼마나많이 다치고 죽는지를 보여준 다큐를봤는데 사자가 너무불쌍하다는 생각이들더라고요
※후원하기 : https://toon.at/donate/sciencegive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은
영상 제작과 채널 성장에 큰 도움이 됩니다!:)
============================================
사바나의 초원을 달리는 얼룩말!
얼룩덜룩한 무늬는 녀석의 이름과 정말 찰~떡입니다.
얼룩말은 산얼룩말, 사바나얼룩말, 그레비얼룩말까지
총 3종이며 모두 아프리카 초원 지대에 서식하고 있죠.
어쨌거나 이처럼 개성 강한 얼룩말은
오랜 기간 생물학자들을 괴롭혀 온 동물이기도 합니다.
바로, 얼룩무늬 때문이죠.
이들의 얼룩무늬는 초원이란 환경과 어울리지 않고,
사바나의 여타 동물들과 비교해도 무늬와 색이 너무 독특해서
생물학자들은 궁금증을 가질 수밖에 없었던 겁니다.
특히, 왜 하필 얼룩무늬를 가진 개체들이
사바나에서 살아남기에 유리했는지가
얼룩말을 둘러싼 과학자들의 최대의 관심사였죠.
과연, 과학자들은 얼룩말의 무늬에 대해
어떤 해석을 내 놓았을까요?
얼룩말의 무늬에 얽힌 비밀을 영상을 통해 만나보세요!
#얼룩말 #얼룩무늬 #동물
================================================
[참고 자료]
Martin J. Howa, Johannes M. Zanker, (2013). “Motion camouflage induced by zebra stripes.”
Gábor Horváth et al., (2018). “Experimental evidence that stripes do not cool zebras.”
Harris, R. H. T. P. (1930). "Report on the Bionomics of the Tsetse Fly.Pietermaritzburg, South Africa: Provincial Administration of Natal."
Ádám Egri et al., (2012). "Polarotactic tabanids find striped patterns with brightness and/or polarization modulation least attractive: an advantage of zebra stripes."
Tim Caro et al., (2019). "Benefits of zebra stripes: Behaviour of tabanid flies around zebras and horses."
Tim Caro et al., (2014). “The function of zebra stripes.”
[사진]
썸네일/ 123RF
일러스트레이션/ all.freevector.com
과학드림 [Science Dream] : 여러분~ 추석 연휴 잘 보내고 계시죠? 영상을 업로드한 후 댓글을 보고 ZVS님과 동일한 주제의 영상이란 사실을 알게 되었고, 저도 깜짝 놀라서 오해를 불러일으킬까 하는 마음에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먼저, 표절은 절대 아니고요ㅠㅠ ZVS님과 달리, 저는 흡혈파리를 중심으로 내용을 전개하다 보니, "체온 조절"을 반박하는 가설이 담긴 논문을 찾게 되었고(2018년, Gabor Horvath), 이를 영상에 담았습니다. 그리고 2019년, Tim caro 교수의 흡혈파리 회피 기작이 담긴 논문을 참고하여 영상을 제작했어요. ZVS님 영상에는 제가 미처 찾지 못한 체온조절과 관련된 최신(2019) 실험 결과가 상세하게 나와 있고, 내용 또한 정말 깊이 있어서 해당 영상을 보시면 더 많은 지식을 얻으실 수 있을 거예요. (). 저 역시 ZVS님 채널 정말 좋아합니다!^^ 늘~ 제 채널을 찾아 주시는 구독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올리며, "드리미" 여러분~ 즐거운 한가위되세요~! :)
-- : 근데 연구하면서 항상 뭔가 막힐땐 체온조절,성 유혹 얘긴 꼭 나오는듯. 당연한건가..
이준영 : 흡혈파리 실험 너무 신기하네요 ㅋㅋ그와중에 Zattwo 님이랑 비슷한 주제라니 ㄷㄷ..둘다재밌게봤어요!!ㅎㅎ 추석연휴 잘 보내세요^^
영어야놀자tv : zebra의 stripe은 과거 고등학교 영어모의고사에서도 자주 나왔던 주제들입니다.
그래서 저의 머릿속에는 저 사자를 헷갈리게 한다는 첫번째 가설이 fact처럼 들어가 있는데, 수정되었군요. ^^
온도조절문제도 최근에 본거같은데, 파리도 곧 보겠네요. 수능에서.
신우태 : 분자생물학 연구결과 다른 동물들보다 얼룩말이 뒤늦게 아프리카로 진출해서 저런 방어기제 가 생겼다는 설이 있더군요!
다른 아이들보다 체체파리에 내성이 없다고 합니다! 얼룩말이
사자와 얼룩말의 조르기 한판!
물웅덩이에서 목을 축이는 얼룩말 무리에게 암사자가 접근합니다.
얼룩말의 달리기 속도는 최대 시속 50km로 사자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지구력은 사자보다 뛰어나죠.
초원에만 도달한다면 목숨을 건질 수 있을겁니다.
하지만 성체 한마리가 암사자에게 잡혔습니다.
다금 : 여기 채널보면서 초식동물도 세다는 걸 느낀다
이찬희 : 어렸을 때는 얼룩말이 사자에게 당하는 줄로만 알았는데 이제는 얼룩말이 이길 수도 있다는 점을 알게 되니 너무 놀라워요!
예린TV : 우와 얼룩말 진짜 사자를 물다니.. 그냥 초식동물들은 다 잡히면 힘도못쓰고 잡혀먹히는줄 알았는데 아니었구나
퍼즈 : 맨날 얼룩말 내장 튀어나오고 죽는모습만 보다가 사자와의 일기토에서 승리하는 모습을 보니 기쁘네...
신영대 : 어룩말도 지능이 좋으니까 이번처럼 깨물기들어가고 협공하는것만해도 사자도 함부로 못하는데 초식동물이라서 겁이 많아서 흩어지고 있으니까 안타깝다
사자 VS 얼룩말 싸움 대결 얼룩말에게 공격당한 사자의 최후 사자의 대가리를 박살내버리는 얼룩말의 놀라운 모습
사자 VS 얼룩말 싸움 대결
얼룩말에게 공격당한 사자의 최후
사자의 대가리를 박살내버리는 얼룩말의 놀라운 모습
그럼 동물돋보기 시작합니다
#얼룩말vs사자
#사자얼룩말싸움
#동물싸움영상
#사자얼룩말사냥
#얼룩말뒷발차기사자
#얼룩말다큐멘터리
#사자다큐멘터리
#동물다큐멘터리
song캐서린 : 뒷발에 차이고 굶어야하는 사자도 불쌍하네요 사람이나 동물이나 다 불쌍해요 (사람도 먹고 사느라 하기싫어도 날마다 돈벌어야 하잖아요) 이세상에 생명으로 태어난게 신에게 받은 상인지 벌인지 모르겠습니다 모두들 힘내세요
Sky : 얼룩말은 무리로 있으면서 왜 항상 도망만 가고 당하기만 하나 했는데
다시 돌아와 발차기도 모자라 물어 뜯을수도 있다니 와우....
NAYUN KIM : 얼룩말어미 자식죽을까봐 목숨걸고 가로막고 뒷발 있는힘껏찬다..진짜 뭉클하다 머리통돌아가서 사자둥절한거는 웃기고
LUBUR : 얼룩말고기가 고라니 뺨치게 맛없고 냄새난다고 해요~ 그런데 포식자들이 자주 얼룩말을 먹는 건 그저, 살기위해...먹고 살아야해서 맛없어도 먹는다고 하네요~
김원태 : 사자가 먹이사냥을하는과정에서 얼마나많이 다치고 죽는지를 보여준 다큐를봤는데 사자가 너무불쌍하다는 생각이들더라고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