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편입
페이지 정보
본문
연세대 편입, 합격생들의 전적대가 좋은 이유 (학점, 토익, 합격점수)
연세대학교 합격생 인터뷰 2부입니다.
전적대와 학점, 그리고 토익점수
공부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연세대#편입
이준원 : 안녕하세요 영상 본인입니다..! 제가 대답이 좀 서툴러서 글로 첨언하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 ㅎㅎ 모두들 원하시는 학교와 학과에 합격하시길 바랍니다. 화이팅!
안녕하세요 올해 전기편입학 일반편입학으로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부와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합격한 학생입니다.
1. 편입 전형이란?
편입은 크게 일반편입과 학사편입으로 나누어져있습니다.
(1)
일반편입학은 보통 4년제를 나오면 다니고 있는 학교의 졸업학점의 반, 즉 단국대학교의 경우 졸업학점인 130학점의 반인 65학점(공대기준)을 2학년까지 들으면 됩니다. 또한 학교마다 이수학점자격이 다른데 연세대학교는 70학점입니다. 아마 연세대학교가 제일 높았던걸로 기억합니다. 여기에서 주의해야하는 부분이 학점뿐만 아니라 4학기까지 들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때 계절학기를 인정해주는 학교도 대부분이기에 알아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2)
학사편입학은 전문대를 졸업하거나 대학을 나오지 않았을 경우, 학점은행제라는 곳에서 정해진 학점을 이수하면 편입할 자격이 주어지는 시험입니다.
보통 일반편입학은 학사편입학에 비해 인원을 많이 뽑지만, 경쟁률도 그만큼 쎄기에 본인에 맞는 전형을 잘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시험유형
<연고대>
이과: 수학 물리 화학을 시험보며, 과마다 해당과목이 정해지는 비율이 다르기에 그에 맞게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수학범위: Stewart 대학미적분학(일변수+다변수) , (올해 준비하는 분부터) Lang 선형대수학
(2)
물리범위: Young 또는 Halliday 일반물리학 전범위
(3)
화학범위: Zumdal, Raymond, Oxtoby 일반화학 전범위 + 기본 유기화학 + 기본 무기화학(금속배위결합)
문과: 논술로 시험을 보며, 일부 상경계열은 경제수학도 보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서성한>
이과: 편입수학( 일변수 + 다변수 + 선형대수학 + 공업수학 ) + 편입영어
문과: 편입영어
일부 시립대나 중앙대 자연같은 경우 전공시험(물리 또는 화학)을 보기도 합니다.
3. 학습방법
연고대 이공계열같은 경우 3과목을 모두 공부하게 되면 양이 진짜 어마어마 합니다. 제가 지원한 화공생명공학부 같은경우 반영비율이 수학(4) 물리(3) 화학(3)의 비율로 들어가기에 한 과목도 소홀히 하면 안됐습니다. 이렇게 세 과목이 모두 비등비등하게 반영된다면 세 과목중 하나는 원래 좀 자신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수능과 모의고사 모두 수학가형은 1등급이었고, 대학 미적분학(이게 중요)은 모두 A+이여서 자신이 좀 있었던거 같습니다.
3학년으로 편입하면 매우 세세한 전공을 배우기에 기초적인 과학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미리 좀 고생해서 기본적인 과학지식을 기본으로 전공을 공부하면 훨씬 더 수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점이 다른편입과 달리 연고대편입이 향후 공부하는 데 있어 매우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연고대수학: 범위가 그렇게 미친듯이 넓지는 않지만 깊이는 좀 있다고 생각합니다.
연세대학교의 경우, 일부 객관식(올해부터 예고없이 바뀌었음) + 일부 서술형이기에 증명도 더러 나올뿐만 아니라 '도대체 이거를 어떻게생각하라는거야' 이런 문제도 너무 많이나와서 공부하면서 당황스러웠던 기억이 많네요 ㅋㅋㅋㅋ
고려대학교의 경우, 전문항 단답형으로 상대적으로 연세대학교보단 좀 쉬운느낌이 있습니다. 다만 수학시험시간이 50분으로 상당히 짧게 느껴지기에 시간배분을 잘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말씀드리면 연세대학교 세 과목응시자, 두 과목응시자 모두 3시간동안 해당 과목 시험지를 모두 주고 알아서 풀라고해서 자신의 강점에 맞춰서 전략을 잘 짜야합니다. 따라서 세과목이 비등비등하게 반영되는 학과는 그렇게 커트라인이 높지가 않습니다! 고려대학교는 1교시수학 50분 + 2교시전공 50분으로 상당히 타이트하게 느껴집니다.
화학: 연세대학교 :객관식 15문제(배점4점) + 서술형 4문제 (배점10점) / 고려대학교: 서술형 8문제
범위가 정말 미친듯이 넓지만 단순한 계산 또는 원리위주로 물어봅니다. 일반화학 전범위 까지는 괜찮지만, 유기화학이 공부하다보면 범위가 정확히 기재되어있는게 아니기에 공부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부담스럽습니다. 하지만 학원을 다니다보면 범위를 어느정도 알려주기에 그 정도에 맞춰서 공부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물리: 객관식 20문제(배점4점) + 단답형 2문제(10 + 10) / 고려대학교 물리는 응시를 안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아무리 어려워도 위에 언급하였던 서적의 연습문제 이상난이도는 안나오지만, 연습문제 일부는 난이도가 매우 높습니다.
서성한 수학: 보통 객관식 위주로 나오지만 학교마다 출제방식이 많이 다르기에 전년도 기출문제를 참고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하지만 타임어택이 굉장히 강하고 영어가 굉장히 어렵게 나오기에 연고대보다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영어(토익, 텝스, 토플): 연고대 같은 경우는 토익, 텝스 ,토플을 보는데 학과마다 다르기에 이에 맞춰서 공부를 하면되고 이공계 같은경우는 응시자격처럼 커트라인 이상만 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문과같은 경우 토익점수가 고고익선인것같은 느낌이 있긴합니다. ㅠㅠ 참고로 저는 840 입니다. 커트라인은 모집요강에 보기면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편입영어: 지문 난이도가 상당히 높고 어휘 난이도가 정말 말이 안되긴합니다 ㅋㅋㅋㅋㅋ 검머외도 많아서 일반문과 합격하시는분들 보면 진짜 리스펙,,
전반적인 공부법: 저는 집에 들어와서 그날 했던 공부를 저에게 입으로 시험을 보면서 입으로 답을 말했습니다. 최대한 눈과 귀 입을 모두 이용하려고 했고, 암기하는데 있어서 매우 도움이 됐습니다.
공부시간: 순공시간 몇시간을 넘겨야한다 ~ 이런건 정말 의미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절대적인 공부시간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10시간에서 12시간 사이로 나왔던거 같습니다. (열품타 기준)
Rola : 범스타님 해외 컬리지 재학중인 학생인데 1:1 상담도 가능할까요?ㅠㅠ
Sung Min Lee :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현재 과기원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과기원의 분위기와 도심에서 먼 곳에서 지내야 하는 게 맞지 않아 연고대로 편입을 생각 중입니다. 3학년까지 마친 상황, 그리고 과기원이라는 좋은 학교를 놓친다는 점에서 부모님께서는 반대하시는데, 학벌 / 편입 후 생활 / 졸업 후의 대우 등에서 편입을 하기 전과 후가 차이가 있을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강구민 : 범스타님 재수 편입 둘중에 뭐 해야할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이과 수시로 과기대 가서 1학년 하고 지금 군대인데 시간이 많아서 공부해서 더 윗 대학으로 가고 싶습니다.(목표는 시립대정도 입니다.)
수능은 두번중 젤 잘본게 26244입니다. 인서울 편입은 주로 수학 영어만 보는걸로 아는데 수학 못하는 저는 편입 안하는게 맞는걸까요?
만약 한다하면 정말 열심히해서 성적올릴 자신이 있긴한데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Msm : 인천대학교 정보대 다니는 학생입니다. 편입을 생각하고있는데 컴공을 가고싶습니다. 보통 군대갔다 시작을 하나요 아니면 군대를 미루나요? 학점은행제로 빨리해서 1학년 마치고 하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학점 잘따놔야하나요? 어느정도 따야지 중경외시나 서성한 노릴수있을까요
[연세대 편입] 전적대 학벌이 합격에 중요한가요?ㅣSKY강쌤
#연세대편입 #학점은행제 #서울대편입
전적대 학벌이 연세대 편입/서울대 편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가요?
[영상내용]
1. 서울대 편입 합격생 전적대 사례
2. 학점은행제 연세대 편입 합격사례
서울대 편입합격생 출신인 SKY강쌤이 지난 6년간
SKY편입 합격생들을 케어하면서 살펴본 전적대 학벌에 대해서 말씀드립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점은,
010-9773-7209 또는 curinc.co.kr 로 연락주세요.
sky편입 : 추가 상담은 010-9773-7209 / curinc.co.kr 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땅콩아빠 : 안녕하세요 현재 4년제 사이버대학교 학사를 갖고있고 자그마한 사업을 운영중인데 평생 한이될까바 자기만족을 위해 연세대를 편입하여 꼭 가고싶습니다.. 어떻게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연세합사의 논술학교 : 서울대 편입 합격한 강쌤이 주시는 정보라 더 가치가 있는것 같네요. 인서울, 전적대의 수준 등에 대해 커뮤니티 등에 잘못된 정보가 많이 돌아다니는데, 정확한 데이터에 기반한 정보를 주셔서 너무 좋네요. 매번 감사합니다^^
Yes Executor : 그럼 예를들어 전적대가 지방이였다가 편입을 중경외시이상으로 하고 졸업한 다음에 또 서울대로 편입지원하는 경우에는 전적대 뿐만 아니라 전전적대도 같이 보나요?
주간편입 : 진짜 꿀팁이네요..
고려대 편입생이 직접 겪은 편입생 차별, 불이익
규르르편입 무료상담 요청하기
http://pf.kakao.com/_yxiNdb
규르르편입툰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pyeonip_toon/
규르르편입 블로그
https://blog.naver.com/jinloves00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편입 후 학교생활 하면서
그리고 취업하는 동기들을 보면서 느낀 점을
솔직하게 알려드렸어요
걱정되고 불안한 편입 준비생 여러분
힘내세요
규르르편입 : 편입 관련하여 뭐든 궁금한 점 있으시면
카카오톡 dwrzzang 으로 메세지 주세요 ^^
영덕대게맛집 : 고대로 편입하기 정말 힘든데 고생하셨네요 ㅜ 사실 저도 성격적 문제 ㅎㅎㅎㅎㅎ 때문에 힘들게 편입해서도 적응하지 못했던 케이스인데 돌아보면 자기 하기 나름이라는 말 공감합니다 ㅎ 서울 중하위권으로 편입했었는데 대부분은 별 관심 없어요 ㅎ 마음 아픈 말로 까는 애도 있었지만 하하 ㅋㅋㅋ
슈퍼유니쌤 : 편입은 아싸와 인싸의 기준이 될 수 없다! 어떤 환경에서든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는 태도만이 나를 인싸로 만들어 준다! 제가 느끼는 바를 그대로 정리해주셔서 공감이 많이 되는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같은 고대 편입생으로 앞으로도 규르르님의 건투를 빕니다!!!
ᄒᄉᄒ : 저도 2013년에 타학교에 편입했던 편입생출신이에요! 동년배이실듯해서 괜히 반갑네요 ㅎㅎ 그때는 왜그렇게 학벌에 목매고 좋은학교 타이틀을 갈구했는지..30대가 되고 나니 후회도 약간 되고 그렇네요.저는 막상 학교를 다니니 편입 디메릿이 대놓고는 아니지만 은근히 느껴지더라구요. 아예 어린 나이로 22살 제나이에 일반편입 바로 들어가는거면 모를까 웬만하면 수능으로 들어가는게 제일 좋은거 같긴 합니다...
고구마 : 규르르님 덕분에 편입 지식 많이 알아가요! 그런데 혹시 이번에 수능을 망치고 , 일단 대학에 들어가서 바로 편입 준비를 하는 학생들을 위한 가장 빠르고 가장 추천하시는 편입 루트 소개영상 찍어주실 수 있으실까요?? 일편이랑 학편 나누어서요
연세대학교 합격생 인터뷰 2부입니다.
전적대와 학점, 그리고 토익점수
공부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연세대#편입
이준원 : 안녕하세요 영상 본인입니다..! 제가 대답이 좀 서툴러서 글로 첨언하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 ㅎㅎ 모두들 원하시는 학교와 학과에 합격하시길 바랍니다. 화이팅!
안녕하세요 올해 전기편입학 일반편입학으로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부와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합격한 학생입니다.
1. 편입 전형이란?
편입은 크게 일반편입과 학사편입으로 나누어져있습니다.
(1)
일반편입학은 보통 4년제를 나오면 다니고 있는 학교의 졸업학점의 반, 즉 단국대학교의 경우 졸업학점인 130학점의 반인 65학점(공대기준)을 2학년까지 들으면 됩니다. 또한 학교마다 이수학점자격이 다른데 연세대학교는 70학점입니다. 아마 연세대학교가 제일 높았던걸로 기억합니다. 여기에서 주의해야하는 부분이 학점뿐만 아니라 4학기까지 들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때 계절학기를 인정해주는 학교도 대부분이기에 알아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2)
학사편입학은 전문대를 졸업하거나 대학을 나오지 않았을 경우, 학점은행제라는 곳에서 정해진 학점을 이수하면 편입할 자격이 주어지는 시험입니다.
보통 일반편입학은 학사편입학에 비해 인원을 많이 뽑지만, 경쟁률도 그만큼 쎄기에 본인에 맞는 전형을 잘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시험유형
<연고대>
이과: 수학 물리 화학을 시험보며, 과마다 해당과목이 정해지는 비율이 다르기에 그에 맞게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수학범위: Stewart 대학미적분학(일변수+다변수) , (올해 준비하는 분부터) Lang 선형대수학
(2)
물리범위: Young 또는 Halliday 일반물리학 전범위
(3)
화학범위: Zumdal, Raymond, Oxtoby 일반화학 전범위 + 기본 유기화학 + 기본 무기화학(금속배위결합)
문과: 논술로 시험을 보며, 일부 상경계열은 경제수학도 보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서성한>
이과: 편입수학( 일변수 + 다변수 + 선형대수학 + 공업수학 ) + 편입영어
문과: 편입영어
일부 시립대나 중앙대 자연같은 경우 전공시험(물리 또는 화학)을 보기도 합니다.
3. 학습방법
연고대 이공계열같은 경우 3과목을 모두 공부하게 되면 양이 진짜 어마어마 합니다. 제가 지원한 화공생명공학부 같은경우 반영비율이 수학(4) 물리(3) 화학(3)의 비율로 들어가기에 한 과목도 소홀히 하면 안됐습니다. 이렇게 세 과목이 모두 비등비등하게 반영된다면 세 과목중 하나는 원래 좀 자신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수능과 모의고사 모두 수학가형은 1등급이었고, 대학 미적분학(이게 중요)은 모두 A+이여서 자신이 좀 있었던거 같습니다.
3학년으로 편입하면 매우 세세한 전공을 배우기에 기초적인 과학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미리 좀 고생해서 기본적인 과학지식을 기본으로 전공을 공부하면 훨씬 더 수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점이 다른편입과 달리 연고대편입이 향후 공부하는 데 있어 매우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연고대수학: 범위가 그렇게 미친듯이 넓지는 않지만 깊이는 좀 있다고 생각합니다.
연세대학교의 경우, 일부 객관식(올해부터 예고없이 바뀌었음) + 일부 서술형이기에 증명도 더러 나올뿐만 아니라 '도대체 이거를 어떻게생각하라는거야' 이런 문제도 너무 많이나와서 공부하면서 당황스러웠던 기억이 많네요 ㅋㅋㅋㅋ
고려대학교의 경우, 전문항 단답형으로 상대적으로 연세대학교보단 좀 쉬운느낌이 있습니다. 다만 수학시험시간이 50분으로 상당히 짧게 느껴지기에 시간배분을 잘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말씀드리면 연세대학교 세 과목응시자, 두 과목응시자 모두 3시간동안 해당 과목 시험지를 모두 주고 알아서 풀라고해서 자신의 강점에 맞춰서 전략을 잘 짜야합니다. 따라서 세과목이 비등비등하게 반영되는 학과는 그렇게 커트라인이 높지가 않습니다! 고려대학교는 1교시수학 50분 + 2교시전공 50분으로 상당히 타이트하게 느껴집니다.
화학: 연세대학교 :객관식 15문제(배점4점) + 서술형 4문제 (배점10점) / 고려대학교: 서술형 8문제
범위가 정말 미친듯이 넓지만 단순한 계산 또는 원리위주로 물어봅니다. 일반화학 전범위 까지는 괜찮지만, 유기화학이 공부하다보면 범위가 정확히 기재되어있는게 아니기에 공부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부담스럽습니다. 하지만 학원을 다니다보면 범위를 어느정도 알려주기에 그 정도에 맞춰서 공부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물리: 객관식 20문제(배점4점) + 단답형 2문제(10 + 10) / 고려대학교 물리는 응시를 안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아무리 어려워도 위에 언급하였던 서적의 연습문제 이상난이도는 안나오지만, 연습문제 일부는 난이도가 매우 높습니다.
서성한 수학: 보통 객관식 위주로 나오지만 학교마다 출제방식이 많이 다르기에 전년도 기출문제를 참고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하지만 타임어택이 굉장히 강하고 영어가 굉장히 어렵게 나오기에 연고대보다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영어(토익, 텝스, 토플): 연고대 같은 경우는 토익, 텝스 ,토플을 보는데 학과마다 다르기에 이에 맞춰서 공부를 하면되고 이공계 같은경우는 응시자격처럼 커트라인 이상만 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문과같은 경우 토익점수가 고고익선인것같은 느낌이 있긴합니다. ㅠㅠ 참고로 저는 840 입니다. 커트라인은 모집요강에 보기면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편입영어: 지문 난이도가 상당히 높고 어휘 난이도가 정말 말이 안되긴합니다 ㅋㅋㅋㅋㅋ 검머외도 많아서 일반문과 합격하시는분들 보면 진짜 리스펙,,
전반적인 공부법: 저는 집에 들어와서 그날 했던 공부를 저에게 입으로 시험을 보면서 입으로 답을 말했습니다. 최대한 눈과 귀 입을 모두 이용하려고 했고, 암기하는데 있어서 매우 도움이 됐습니다.
공부시간: 순공시간 몇시간을 넘겨야한다 ~ 이런건 정말 의미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절대적인 공부시간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10시간에서 12시간 사이로 나왔던거 같습니다. (열품타 기준)
Rola : 범스타님 해외 컬리지 재학중인 학생인데 1:1 상담도 가능할까요?ㅠㅠ
Sung Min Lee :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현재 과기원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과기원의 분위기와 도심에서 먼 곳에서 지내야 하는 게 맞지 않아 연고대로 편입을 생각 중입니다. 3학년까지 마친 상황, 그리고 과기원이라는 좋은 학교를 놓친다는 점에서 부모님께서는 반대하시는데, 학벌 / 편입 후 생활 / 졸업 후의 대우 등에서 편입을 하기 전과 후가 차이가 있을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강구민 : 범스타님 재수 편입 둘중에 뭐 해야할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이과 수시로 과기대 가서 1학년 하고 지금 군대인데 시간이 많아서 공부해서 더 윗 대학으로 가고 싶습니다.(목표는 시립대정도 입니다.)
수능은 두번중 젤 잘본게 26244입니다. 인서울 편입은 주로 수학 영어만 보는걸로 아는데 수학 못하는 저는 편입 안하는게 맞는걸까요?
만약 한다하면 정말 열심히해서 성적올릴 자신이 있긴한데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Msm : 인천대학교 정보대 다니는 학생입니다. 편입을 생각하고있는데 컴공을 가고싶습니다. 보통 군대갔다 시작을 하나요 아니면 군대를 미루나요? 학점은행제로 빨리해서 1학년 마치고 하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학점 잘따놔야하나요? 어느정도 따야지 중경외시나 서성한 노릴수있을까요
[연세대 편입] 전적대 학벌이 합격에 중요한가요?ㅣSKY강쌤
#연세대편입 #학점은행제 #서울대편입
전적대 학벌이 연세대 편입/서울대 편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가요?
[영상내용]
1. 서울대 편입 합격생 전적대 사례
2. 학점은행제 연세대 편입 합격사례
서울대 편입합격생 출신인 SKY강쌤이 지난 6년간
SKY편입 합격생들을 케어하면서 살펴본 전적대 학벌에 대해서 말씀드립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점은,
010-9773-7209 또는 curinc.co.kr 로 연락주세요.
sky편입 : 추가 상담은 010-9773-7209 / curinc.co.kr 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땅콩아빠 : 안녕하세요 현재 4년제 사이버대학교 학사를 갖고있고 자그마한 사업을 운영중인데 평생 한이될까바 자기만족을 위해 연세대를 편입하여 꼭 가고싶습니다.. 어떻게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연세합사의 논술학교 : 서울대 편입 합격한 강쌤이 주시는 정보라 더 가치가 있는것 같네요. 인서울, 전적대의 수준 등에 대해 커뮤니티 등에 잘못된 정보가 많이 돌아다니는데, 정확한 데이터에 기반한 정보를 주셔서 너무 좋네요. 매번 감사합니다^^
Yes Executor : 그럼 예를들어 전적대가 지방이였다가 편입을 중경외시이상으로 하고 졸업한 다음에 또 서울대로 편입지원하는 경우에는 전적대 뿐만 아니라 전전적대도 같이 보나요?
주간편입 : 진짜 꿀팁이네요..
고려대 편입생이 직접 겪은 편입생 차별, 불이익
규르르편입 무료상담 요청하기
http://pf.kakao.com/_yxiNdb
규르르편입툰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pyeonip_toon/
규르르편입 블로그
https://blog.naver.com/jinloves00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편입 후 학교생활 하면서
그리고 취업하는 동기들을 보면서 느낀 점을
솔직하게 알려드렸어요
걱정되고 불안한 편입 준비생 여러분
힘내세요
규르르편입 : 편입 관련하여 뭐든 궁금한 점 있으시면
카카오톡 dwrzzang 으로 메세지 주세요 ^^
영덕대게맛집 : 고대로 편입하기 정말 힘든데 고생하셨네요 ㅜ 사실 저도 성격적 문제 ㅎㅎㅎㅎㅎ 때문에 힘들게 편입해서도 적응하지 못했던 케이스인데 돌아보면 자기 하기 나름이라는 말 공감합니다 ㅎ 서울 중하위권으로 편입했었는데 대부분은 별 관심 없어요 ㅎ 마음 아픈 말로 까는 애도 있었지만 하하 ㅋㅋㅋ
슈퍼유니쌤 : 편입은 아싸와 인싸의 기준이 될 수 없다! 어떤 환경에서든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는 태도만이 나를 인싸로 만들어 준다! 제가 느끼는 바를 그대로 정리해주셔서 공감이 많이 되는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같은 고대 편입생으로 앞으로도 규르르님의 건투를 빕니다!!!
ᄒᄉᄒ : 저도 2013년에 타학교에 편입했던 편입생출신이에요! 동년배이실듯해서 괜히 반갑네요 ㅎㅎ 그때는 왜그렇게 학벌에 목매고 좋은학교 타이틀을 갈구했는지..30대가 되고 나니 후회도 약간 되고 그렇네요.저는 막상 학교를 다니니 편입 디메릿이 대놓고는 아니지만 은근히 느껴지더라구요. 아예 어린 나이로 22살 제나이에 일반편입 바로 들어가는거면 모를까 웬만하면 수능으로 들어가는게 제일 좋은거 같긴 합니다...
고구마 : 규르르님 덕분에 편입 지식 많이 알아가요! 그런데 혹시 이번에 수능을 망치고 , 일단 대학에 들어가서 바로 편입 준비를 하는 학생들을 위한 가장 빠르고 가장 추천하시는 편입 루트 소개영상 찍어주실 수 있으실까요?? 일편이랑 학편 나누어서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