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인임교수의행복한교육학합격개요도
페이지 정보
본문
초수합격, 중등임용고시 1차 준비과정 공유 ♀️ (공부스타일, 공부기간, 교육학 및 사서전공공부법, 느낀점들)
안녕하세요 :) 오랜만에 찾아뵙는 팅밍입니다.
심해지는 코로나 상황 속 에서 다들 건강한 하루하루 보내고 계신지요
오늘의 영상은 저의 임용고시 1차 준비 과정의 내용을 담아보았습니다. 부족한 점도 많지만 여러분들께 도움이 되는 영상이 되길 바래봅니다
궁금하신 점들은 댓글 달아주시면 최대한 빠르게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팅밍 tingming : <타임라인>
- 임용고시 시험 설명 00:40
- 공부스타일 2:36
- 공부기간 10:29
- 교육학 공부법 11:35
- 교육학 공부 느낀점 16:05
- 전공공부법 17:12
- 임용고시 준비하며 느낀점 27:23
빠른 속도의 재생을 원하시면 속도를 1.25배속으로 시청해주세요 :)
냐옹 : 안녕하세요! 사서교사를 희망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예전부터 팅밍님 영상 찾아보면서 동기부여를 많이 받았었는데, 그냥 너무 감사하고 멋져 보인다는 말 꼭 하고 싶어서 유튜브 댓글을 처음 달게 되었어요 ㅎㅎ앞으로도 많은 영상으로 뵙고 싶어요
도토리 : 안녕하세요 ! 올해 사서임용을 보려고 하는 초수생입니다 영상도 너무 깔끔하고 말씀도 조곤조곤하게 하셔서 편안한 마음으로, 그리고 많이 배워가는 마음으로 잘 봤습니다 ! 정말 도움 많이 됐어요 ••
혹시 전공서의 경우는 전혀 보지 않으신건지 궁금합니다 ..! 전공서 양이 생각보다 많아서 이걸 다 사야 하는 건가 고민이 많이 되더라고요 ㅠㅠ 도서관에 빌려서 그 때 그때 회독 하는 식으로 해도 괜찮을지 ,, 의견 여쭙고 싶어요 !!
다시 한 번 좋은 영상 너무 감사드려요오
eriruma : 내년 임용을 준비하는 수험생입니다. 도움이 많이되었어요! 감사합니다:)
민트알쵸코바 : 사서교사쪽은 정보가 귀한데 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
햄버거 교육학 - 서론, 결론 초간단 작성법
매번 떨어지는 임용시험 1차가 고민이라면
『임용고시 합격전략 1, 2권』 필독을 추천합니다.
다년간 수많은 수험생을 멘토링한 경험을 바탕으로
임용고시에 최적화된 공부법과 전략을 수록하였습니다.
[교보문고] 1권 https://bit.ly/3glR9aF
2권 https://bit.ly/2QwiXyh
️ 학교 단체 임용캠프 문의
- 1,2,3,4학년 맞춤형 임용 합격 강의 제공
- 문의: nice880917@naver.com
더 많은 합격 전략을 알고 싶다면! 개인 멘토링을 받고 싶다면!
네이버카페 '합격스킬' http://cafe.naver.com/gongbuskill
교육학, 수업실연, 면접 노하우가 담긴 핵심 요약글을 보고 싶다면!
‘합격스킬’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passskill/
#수업실연 #임용고시 #특수교육 #임용고시 #임용고사 #특수교육 #교육학 #임용2차 #수업시연 #중등특수 #초등특수 |
조아 : 실제 쓰기 좋은 꿀팁이네요~^^ 더 올려주세요 ㅎㅎ
챔피온 : 헐 책까지 내신 능력자이셨군요...!
Mandy'sGarden : 쩌쩌쩌쩌...쩐닷!!!
교육학개론 개요, 에서 동료를 능가하는 방법... 4분만에 가능
#교육학 개론에 당신의 4분을 투자해야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교원임용고시 #단기간 합격을 원한다면 반드시 이 영상을 보세요.
교육이 전공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이며,
상사에게 교육학 개론을 설명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교육학 개론은 교육학 총 망라입니다.
가장 기본이면서도 가장 어려운 부분이며,
이 기본을 망각해서는 안 되는 부분입니다.
교육학 개론 부분을 완전히 이해하고
언제 어디서든 꺼내어 쓸 수 있다면
#교육 행정직과 교원임용고시 논술은 껌 씹기 입니다. ^^
Ⅰ. 교육의 개념
1. 교육의 어원
- (1) 서 양 (education/ pedagogy)
- (2) 동 양 (敎/ 育)
- (3) 한국 (가르치다/ 기르다)
2. 교육의 정의 유형
- (1) 규범적
- (2) 기능적
- (3) 조작적
Ⅱ. 교육의 전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기본전제를 말한다.]
1. 인간에 대한 신념
2. 변화에 대한 신념
3. 계획에 대한 신념
Ⅲ. 교육의 요소 [교육은 3요소의 역동적인 상호작용(관계)에 의해 이루어진다.]
1. 교육의 주체 (교육자)
2. 교육의 객체 (피교육자)
3. 교육의 매개체 (교육 내용)
Ⅳ. 교육의 형태 : 어떤 형태의 교육이 있는가
1. 형 식 (학교교육)
2. 비형식 (가정, 또래, 대중매체 등)
3. 평생교육
Ⅴ.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1. 필요성 : [교육이 왜 필요한가]
- (1) 개인적
- (2) 사회적
- (3) 문화적
- (4) 국가적
2. 가능성과 한계성 [ 인간의 본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보는가에 따라 교육관, 교수학습, 방법, 과정 등이 다르다 ]
- (1) 성선설
- (2) 성악설
- (3) 중립설
Ⅴ. 교육의 목적 [교육관, 교육이 지향하는 기본 방향]
1. 교육의 목적
- (1) 내재적 목적
- (2) 외재적 목적
HorseJang : 이번에 알게 되었습니다. 열심히 들어볼게요! 감사합니다!!
성혁 :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 오랜만에 찾아뵙는 팅밍입니다.
심해지는 코로나 상황 속 에서 다들 건강한 하루하루 보내고 계신지요
오늘의 영상은 저의 임용고시 1차 준비 과정의 내용을 담아보았습니다. 부족한 점도 많지만 여러분들께 도움이 되는 영상이 되길 바래봅니다
궁금하신 점들은 댓글 달아주시면 최대한 빠르게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팅밍 tingming : <타임라인>
- 임용고시 시험 설명 00:40
- 공부스타일 2:36
- 공부기간 10:29
- 교육학 공부법 11:35
- 교육학 공부 느낀점 16:05
- 전공공부법 17:12
- 임용고시 준비하며 느낀점 27:23
빠른 속도의 재생을 원하시면 속도를 1.25배속으로 시청해주세요 :)
냐옹 : 안녕하세요! 사서교사를 희망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예전부터 팅밍님 영상 찾아보면서 동기부여를 많이 받았었는데, 그냥 너무 감사하고 멋져 보인다는 말 꼭 하고 싶어서 유튜브 댓글을 처음 달게 되었어요 ㅎㅎ앞으로도 많은 영상으로 뵙고 싶어요
도토리 : 안녕하세요 ! 올해 사서임용을 보려고 하는 초수생입니다 영상도 너무 깔끔하고 말씀도 조곤조곤하게 하셔서 편안한 마음으로, 그리고 많이 배워가는 마음으로 잘 봤습니다 ! 정말 도움 많이 됐어요 ••
혹시 전공서의 경우는 전혀 보지 않으신건지 궁금합니다 ..! 전공서 양이 생각보다 많아서 이걸 다 사야 하는 건가 고민이 많이 되더라고요 ㅠㅠ 도서관에 빌려서 그 때 그때 회독 하는 식으로 해도 괜찮을지 ,, 의견 여쭙고 싶어요 !!
다시 한 번 좋은 영상 너무 감사드려요오
eriruma : 내년 임용을 준비하는 수험생입니다. 도움이 많이되었어요! 감사합니다:)
민트알쵸코바 : 사서교사쪽은 정보가 귀한데 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
햄버거 교육학 - 서론, 결론 초간단 작성법
매번 떨어지는 임용시험 1차가 고민이라면
『임용고시 합격전략 1, 2권』 필독을 추천합니다.
다년간 수많은 수험생을 멘토링한 경험을 바탕으로
임용고시에 최적화된 공부법과 전략을 수록하였습니다.
[교보문고] 1권 https://bit.ly/3glR9aF
2권 https://bit.ly/2QwiXyh
️ 학교 단체 임용캠프 문의
- 1,2,3,4학년 맞춤형 임용 합격 강의 제공
- 문의: nice880917@naver.com
더 많은 합격 전략을 알고 싶다면! 개인 멘토링을 받고 싶다면!
네이버카페 '합격스킬' http://cafe.naver.com/gongbuskill
교육학, 수업실연, 면접 노하우가 담긴 핵심 요약글을 보고 싶다면!
‘합격스킬’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passskill/
#수업실연 #임용고시 #특수교육 #임용고시 #임용고사 #특수교육 #교육학 #임용2차 #수업시연 #중등특수 #초등특수 |
조아 : 실제 쓰기 좋은 꿀팁이네요~^^ 더 올려주세요 ㅎㅎ
챔피온 : 헐 책까지 내신 능력자이셨군요...!
Mandy'sGarden : 쩌쩌쩌쩌...쩐닷!!!
교육학개론 개요, 에서 동료를 능가하는 방법... 4분만에 가능
#교육학 개론에 당신의 4분을 투자해야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교원임용고시 #단기간 합격을 원한다면 반드시 이 영상을 보세요.
교육이 전공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이며,
상사에게 교육학 개론을 설명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교육학 개론은 교육학 총 망라입니다.
가장 기본이면서도 가장 어려운 부분이며,
이 기본을 망각해서는 안 되는 부분입니다.
교육학 개론 부분을 완전히 이해하고
언제 어디서든 꺼내어 쓸 수 있다면
#교육 행정직과 교원임용고시 논술은 껌 씹기 입니다. ^^
Ⅰ. 교육의 개념
1. 교육의 어원
- (1) 서 양 (education/ pedagogy)
- (2) 동 양 (敎/ 育)
- (3) 한국 (가르치다/ 기르다)
2. 교육의 정의 유형
- (1) 규범적
- (2) 기능적
- (3) 조작적
Ⅱ. 교육의 전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기본전제를 말한다.]
1. 인간에 대한 신념
2. 변화에 대한 신념
3. 계획에 대한 신념
Ⅲ. 교육의 요소 [교육은 3요소의 역동적인 상호작용(관계)에 의해 이루어진다.]
1. 교육의 주체 (교육자)
2. 교육의 객체 (피교육자)
3. 교육의 매개체 (교육 내용)
Ⅳ. 교육의 형태 : 어떤 형태의 교육이 있는가
1. 형 식 (학교교육)
2. 비형식 (가정, 또래, 대중매체 등)
3. 평생교육
Ⅴ.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1. 필요성 : [교육이 왜 필요한가]
- (1) 개인적
- (2) 사회적
- (3) 문화적
- (4) 국가적
2. 가능성과 한계성 [ 인간의 본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보는가에 따라 교육관, 교수학습, 방법, 과정 등이 다르다 ]
- (1) 성선설
- (2) 성악설
- (3) 중립설
Ⅴ. 교육의 목적 [교육관, 교육이 지향하는 기본 방향]
1. 교육의 목적
- (1) 내재적 목적
- (2) 외재적 목적
HorseJang : 이번에 알게 되었습니다. 열심히 들어볼게요! 감사합니다!!
성혁 :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