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수출업체
페이지 정보
본문
미, 반도체 장비 중국 수출 제한…한국 기업 별도심사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미, 반도체 장비 중국 수출 제한…한국 기업 별도심사
[앵커]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기업에 미국산 첨단 장비 판매를 사실상 금지하는 수출 통제 조치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삼성과 SK 등 한국 기업은 별도 심사를 거쳐 허가를 받도록 했는데요.
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산업을 견제하기 위한 고강도 조치를 추가로 발표했습니다.
중국 기업에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 판매를 사실상 금지하고 인공지능과 슈퍼컴퓨터에 사용되는 반도체 수출도 제한하는 조치입니다.
18nm 이하 D램과 128단 이상 낸드 플래시, 14nm 이하 로직칩을 중국 내에서 생산하는 경우가 그 대상으로 이와 관련된 첨단 기술 수출 시 허가를 받도록 했습니다.
특히, 이 생산 시설이 중국 기업 소유일 경우엔 이른바 '거부 추정 원칙'이 적용돼 수출이 전면 통제됩니다.
그간 반도체 관련 대중 수출 통제 가운데 가장 폭넓은 조치로, 특히 현재 중국 기업이 만들 수 있는 최고 수준의 반도체로 기준을 정한 것을 두고 기술 발전을 차단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조 바이든 / 미국 대통령] "미국이 제조업을 선도할 수 없다고 어디 써있기라도 합니까? 그런 것은 없습니다. 지난 40년간 일어난 것보다 앞으로 10년간 더 나은 방향으로 더 많은 변화가 생길 것입니다."
한국 기업 중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관련 공장을 중국에서 운영 중인데, 미 상무부는 외국 기업의 경우 개별 심사를 통해 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존 생산 장비에는 영향이 없지만, 앞으로는 개별적으로 미국 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하는 건데, 예전보다 절차가 까다롭게 적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미국 정부는 또 고성능 인공지능, 슈퍼컴퓨터 등에 대해서도 수출 제한 조치를 부과했습니다.
특히 이 규칙은 앞서 화웨이에 대한 제재처럼 '해외직접생산규칙'이 적용돼 제3국 기업이 만들었어도 미국의 기술을 사용했을 경우 수출이 금지됩니다.
상무부는 이와 함께 중국 반도체 메모리칩 생산업체인 YMTC를 비롯해 중국 기업 31곳도 수출통제대상으로 추가 지정했습니다.
전부 중국을 겨냥한 조치이지만 미국이 우회로 차단을 위해 동맹들의 동참을 압박할 것으로 보여 우리 기업의 부담이 커질 수도 있단 관측이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
#반도체_수출통제 #대중견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r
https://goo.gl/VuCJMi\r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
http://www.yonhapnewstv.co.kr/
@user-wr8rz2ws5v : 한국은 허가 이게 우방국이지
@user-jl2vs9ou8e : 삼성..하이닉스..매출 뚝뚝떨어지것군..화요일장 먼저파는눔이 임자네..
@dh9888 : 우리나라 세계 반도체 기술을
꺾지마 미국 중국
절대 우리편 아니지
@user-nb5wi9zt4v : 반도체 소재 기계 장비중 한국것은 나사 하나도 없는데, 뭘 하나 사는것도 허가받아 산다면 공장이 잘 돌아갈리가 없잖아
더군다니 삼성 하이닉스 공장설비 반정도는 중국에 투자해 중국에서 생산하는데 큰일 난거지
'중국 반도체 굴기' 목줄 죄는 미국…수출 전면통제 발표 / SBS
미국이 첨단 반도체는 물론 반도체 제조 장비도 중국에 수출하지 못하도록 통제했습니다. 개별 기업이 아니라 아예 중국 전체를 틀어막은 것입니다. 중국은 '악의적 봉쇄'라고 반발하면서 미국 기업도 타격받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베이징 김지성 특파원입니다.
더 자세한 정보 보기
https://news.sbs.co.kr/y/?id=N1006925744
[최악 치닫는 미중 갈등] 기사 더보기
https://news.sbs.co.kr/y/i/?id=10000049173
#SBS뉴스 #8뉴스 #중국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emeraldcolor sky : 중국 산업스파이가 한 해 미국으로부터 빼돌리는 기술 자체가 어마어마 합니다. 미국의 저 반응도 이해가 갑니다.
홍승진 : 미국이 없었다면 중국의 횡포가 말할수 없이 커져 주변국가들 계속 괴롭힐 겁니다.
중국은 일본보다 더 경계 해야 되는 나라죠
임광수 : 기술의 특허를 지키지 않는 중국에게는 당연하다.
로드 오버 : 중국의 기술이 점점 발달하면서 지구에게 주는 피해가 누적되고 전세계의 민폐를 끼치고
전인류에게 악영향을 끼치므로 농업국가로 만들어야 세계의 안정과 평화가 찾아온다
단기적으로는 손해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우리나라에게도 좋은 소식이다
DeliFungi : 끝없이 착해져야 하는 중국입니다. 응원합니다
미국, 삼성-SK하이닉스 중국 공장에 반도체장비 수출통제 1년 유예 / KBS 2022.10.12.
방금 들어온 소식입니다. 미국 정부가 지난주 삼성이나 SK 하이닉스 등 우리 반도체 기업들이 중국에 첨단 장비를 들일 때마다 심사를 받도록 하는 조치를 발표해 논란이 일었었는데요. 이 조치를 일단 1년 간은 유예하기로 했다는 게 확인됐습니다. 자세한 내용 미국 워싱턴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정민 특파원, 구체적으로 어떤 유예 조치가 발표된겁니까?
[리포트]
최근 미국 기업의 중국 내 반도체 장비 수출을 금지한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의 중국 현지 공장에 대해서는 수출 통제 조치를 1년 간 유예했습니다.
미국 상무부가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에 이런 방침을 공식 통보한 사실이 알려졌는데, 해당 업체도 맞다고 확인했습니다.
중국 내 반도체 생산 시설에 필요한 장비를 1년 간 미국의 별도 허가 없이 공급받기로 미국 상무부와 협의가 됐다는 겁니다.
당초 미국 상무부는 지난주 미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중국 기업에 첨단 반도체 제조 장비를 반입할 경우 정부 허가를 거치도록 하는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미국 기업이 아닌 다국적 기업들에겐 건별로 심사를 받도록 했는데, 심사 조건이 굉장히 까다로워서 사실상 삼성, SK하이닉스 같은 해외 기업들의 중국 내 투자 혹은 생산이 막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정부가 일단 삼성과 SK하이닉스에 일단은 1년의 유예 기간을 준 겁니다.
다만 미국이 완전히 중국 내 장비 반입을 허가한 게 아닌 1년의 유예 기간을 준 만큼, 업체들로선 그 안에 해결책을 모색해야 하는 숙제도 안게 됐습니다.
SK 하이닉스는 보도자료를 통해, 중국과 반도체 제품 생산을 지속할 수 있도록 미국과 원만하게 협의가 됐다면서, 앞으로도 우리 정부, 미국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국제 질서를 준수하며 중국 공장을 운영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576625\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반도체 #SK하이닉스 #삼성전자
BlueGold : 1년 유예는 중국에서 철수하라는 뜻, 철수시간을 준다 챙길거 챙겨 나와라 라는 의미!
묻지마 : 삼성과 SK 중국 현지 공장에는 처음부터 첨단 시설을 설치 하지 않았습니다. 중국에 설치된 첨단 시설은 못가져 나오기 때문에 딱 중국 수준에 맞는 저성능의 생산시설만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도 유예해 준듯 합니다. 삼성과 SK같은 대기업은 우리와 같은 일반인의 상상 이상에서 기업을 경영합니다.
똘쨩똘 : 미국이 수요 공급 맞추려고 미국 생산 때까 맞추는 거임
당장 중단하면 타격 오닌까 또 애플도 공장이 그곳에 있으니
끈으면 애플 타격이 클듯 중국도 디스플레이에 이어 반도체 턱밑까지 따라왔으니...
민우 한 : 당장 자기들 아쉬운건 유예시키고 자동차처럼 불리한건 짤 없네...
bugirun : 철수기간을 유예한거잖어
거기에 장비들어가면 타격이 더 커요
미, 반도체 장비 중국 수출 제한…한국 기업 별도심사
[앵커]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기업에 미국산 첨단 장비 판매를 사실상 금지하는 수출 통제 조치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삼성과 SK 등 한국 기업은 별도 심사를 거쳐 허가를 받도록 했는데요.
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산업을 견제하기 위한 고강도 조치를 추가로 발표했습니다.
중국 기업에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 판매를 사실상 금지하고 인공지능과 슈퍼컴퓨터에 사용되는 반도체 수출도 제한하는 조치입니다.
18nm 이하 D램과 128단 이상 낸드 플래시, 14nm 이하 로직칩을 중국 내에서 생산하는 경우가 그 대상으로 이와 관련된 첨단 기술 수출 시 허가를 받도록 했습니다.
특히, 이 생산 시설이 중국 기업 소유일 경우엔 이른바 '거부 추정 원칙'이 적용돼 수출이 전면 통제됩니다.
그간 반도체 관련 대중 수출 통제 가운데 가장 폭넓은 조치로, 특히 현재 중국 기업이 만들 수 있는 최고 수준의 반도체로 기준을 정한 것을 두고 기술 발전을 차단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조 바이든 / 미국 대통령] "미국이 제조업을 선도할 수 없다고 어디 써있기라도 합니까? 그런 것은 없습니다. 지난 40년간 일어난 것보다 앞으로 10년간 더 나은 방향으로 더 많은 변화가 생길 것입니다."
한국 기업 중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관련 공장을 중국에서 운영 중인데, 미 상무부는 외국 기업의 경우 개별 심사를 통해 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존 생산 장비에는 영향이 없지만, 앞으로는 개별적으로 미국 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하는 건데, 예전보다 절차가 까다롭게 적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미국 정부는 또 고성능 인공지능, 슈퍼컴퓨터 등에 대해서도 수출 제한 조치를 부과했습니다.
특히 이 규칙은 앞서 화웨이에 대한 제재처럼 '해외직접생산규칙'이 적용돼 제3국 기업이 만들었어도 미국의 기술을 사용했을 경우 수출이 금지됩니다.
상무부는 이와 함께 중국 반도체 메모리칩 생산업체인 YMTC를 비롯해 중국 기업 31곳도 수출통제대상으로 추가 지정했습니다.
전부 중국을 겨냥한 조치이지만 미국이 우회로 차단을 위해 동맹들의 동참을 압박할 것으로 보여 우리 기업의 부담이 커질 수도 있단 관측이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
#반도체_수출통제 #대중견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r
https://goo.gl/VuCJMi\r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
http://www.yonhapnewstv.co.kr/
@user-wr8rz2ws5v : 한국은 허가 이게 우방국이지
@user-jl2vs9ou8e : 삼성..하이닉스..매출 뚝뚝떨어지것군..화요일장 먼저파는눔이 임자네..
@dh9888 : 우리나라 세계 반도체 기술을
꺾지마 미국 중국
절대 우리편 아니지
@user-nb5wi9zt4v : 반도체 소재 기계 장비중 한국것은 나사 하나도 없는데, 뭘 하나 사는것도 허가받아 산다면 공장이 잘 돌아갈리가 없잖아
더군다니 삼성 하이닉스 공장설비 반정도는 중국에 투자해 중국에서 생산하는데 큰일 난거지
'중국 반도체 굴기' 목줄 죄는 미국…수출 전면통제 발표 / SBS
미국이 첨단 반도체는 물론 반도체 제조 장비도 중국에 수출하지 못하도록 통제했습니다. 개별 기업이 아니라 아예 중국 전체를 틀어막은 것입니다. 중국은 '악의적 봉쇄'라고 반발하면서 미국 기업도 타격받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베이징 김지성 특파원입니다.
더 자세한 정보 보기
https://news.sbs.co.kr/y/?id=N1006925744
[최악 치닫는 미중 갈등] 기사 더보기
https://news.sbs.co.kr/y/i/?id=10000049173
#SBS뉴스 #8뉴스 #중국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emeraldcolor sky : 중국 산업스파이가 한 해 미국으로부터 빼돌리는 기술 자체가 어마어마 합니다. 미국의 저 반응도 이해가 갑니다.
홍승진 : 미국이 없었다면 중국의 횡포가 말할수 없이 커져 주변국가들 계속 괴롭힐 겁니다.
중국은 일본보다 더 경계 해야 되는 나라죠
임광수 : 기술의 특허를 지키지 않는 중국에게는 당연하다.
로드 오버 : 중국의 기술이 점점 발달하면서 지구에게 주는 피해가 누적되고 전세계의 민폐를 끼치고
전인류에게 악영향을 끼치므로 농업국가로 만들어야 세계의 안정과 평화가 찾아온다
단기적으로는 손해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우리나라에게도 좋은 소식이다
DeliFungi : 끝없이 착해져야 하는 중국입니다. 응원합니다
미국, 삼성-SK하이닉스 중국 공장에 반도체장비 수출통제 1년 유예 / KBS 2022.10.12.
방금 들어온 소식입니다. 미국 정부가 지난주 삼성이나 SK 하이닉스 등 우리 반도체 기업들이 중국에 첨단 장비를 들일 때마다 심사를 받도록 하는 조치를 발표해 논란이 일었었는데요. 이 조치를 일단 1년 간은 유예하기로 했다는 게 확인됐습니다. 자세한 내용 미국 워싱턴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정민 특파원, 구체적으로 어떤 유예 조치가 발표된겁니까?
[리포트]
최근 미국 기업의 중국 내 반도체 장비 수출을 금지한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의 중국 현지 공장에 대해서는 수출 통제 조치를 1년 간 유예했습니다.
미국 상무부가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에 이런 방침을 공식 통보한 사실이 알려졌는데, 해당 업체도 맞다고 확인했습니다.
중국 내 반도체 생산 시설에 필요한 장비를 1년 간 미국의 별도 허가 없이 공급받기로 미국 상무부와 협의가 됐다는 겁니다.
당초 미국 상무부는 지난주 미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중국 기업에 첨단 반도체 제조 장비를 반입할 경우 정부 허가를 거치도록 하는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미국 기업이 아닌 다국적 기업들에겐 건별로 심사를 받도록 했는데, 심사 조건이 굉장히 까다로워서 사실상 삼성, SK하이닉스 같은 해외 기업들의 중국 내 투자 혹은 생산이 막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정부가 일단 삼성과 SK하이닉스에 일단은 1년의 유예 기간을 준 겁니다.
다만 미국이 완전히 중국 내 장비 반입을 허가한 게 아닌 1년의 유예 기간을 준 만큼, 업체들로선 그 안에 해결책을 모색해야 하는 숙제도 안게 됐습니다.
SK 하이닉스는 보도자료를 통해, 중국과 반도체 제품 생산을 지속할 수 있도록 미국과 원만하게 협의가 됐다면서, 앞으로도 우리 정부, 미국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국제 질서를 준수하며 중국 공장을 운영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576625\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반도체 #SK하이닉스 #삼성전자
BlueGold : 1년 유예는 중국에서 철수하라는 뜻, 철수시간을 준다 챙길거 챙겨 나와라 라는 의미!
묻지마 : 삼성과 SK 중국 현지 공장에는 처음부터 첨단 시설을 설치 하지 않았습니다. 중국에 설치된 첨단 시설은 못가져 나오기 때문에 딱 중국 수준에 맞는 저성능의 생산시설만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도 유예해 준듯 합니다. 삼성과 SK같은 대기업은 우리와 같은 일반인의 상상 이상에서 기업을 경영합니다.
똘쨩똘 : 미국이 수요 공급 맞추려고 미국 생산 때까 맞추는 거임
당장 중단하면 타격 오닌까 또 애플도 공장이 그곳에 있으니
끈으면 애플 타격이 클듯 중국도 디스플레이에 이어 반도체 턱밑까지 따라왔으니...
민우 한 : 당장 자기들 아쉬운건 유예시키고 자동차처럼 불리한건 짤 없네...
bugirun : 철수기간을 유예한거잖어
거기에 장비들어가면 타격이 더 커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