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유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바지락 조회 8회 작성일 2023-04-12 12:33:30 댓글 0

본문

인문학 지도_중국2. 성(省)의 유래와 권역별 특징

인문학 지형지도 시리즈는 역사공부를 깊이 있게 하고 싶은 분들을 위하여 '인문과학원 학림'에서 기획한 콘텐츠입니다. 여행이나 가벼운 목적으로 시청하는 분들은 필요한 구간만 보셔도 무방할듯 싶습니다.

[차례]
1.중국의 행정단위 및 7개 권역
2. 지명 발음 및 각 성(省)의 유래

[강의 내용 중]
- 현재의 중국 영토는, 20세기 들어서, 두 개의 지역 또는 국가를 강제 병합하면서 확정
- 6.25 전쟁 중인 1950년 10월, 모택동의 인민해방군 티베트를 기습적으로 침략
- 1909년에 체결한 이, 불법적인 간도협약으로 대한제국은 압록강과 두만강 이북의 땅 상실
- 중국도 엄연한 분단국가. 대만과 한국은 미국의 대중국봉쇄전략의 최전방 운명
- 지역구분의 중심축이 되는 키워드는 빛날 화(‘華’)
- 몽골고원과 연해주 사이의 동북지역은, 대평원과 삼림지대, 여러 강줄기가 흘러 농업/목축/수렵/어로 환경
- 중국 7개 지역 구분법은 일관성, 통일성에 미흡
- 감출 장(藏), 장할 장(壯), 길 장(長)은 중국어 발음으로는 짱, 좡, 창으로 각각 달라
반면, 빛날 화(華), 누루 황(黃), 편안 안(安), 나루 진(津)은 우리 말과 동일한 발음
- 마카오는 광동어 마조각((媽祖閣)을 뜻하는 마쭈거를 포르투갈 사람들이 ‘마카오’로 들은데서 유래
- 티베트는 전통적으로 위, 짱, 아리, 암도, 캄의 5개 지역으로 구분하는데 서장(西藏)의 장은 '짱'에서 유래
- 운남성의 기준은 국내외 자료 모두 모호한데 그 기준점이 운령의 위치 파악

* 핵심 자료는 연구원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에, 고해상도 이미지로 올려 둔 상태. 포털 사이트에서 '인문과학원 학림' 검색
* 다운로드 바로가기 : https://bit.ly/3as9tbq
학림tv : 흥미 위주보다는 인문학 공부에 필요한 기초 다지기 강의 성격이라, 분량이 많은 편입니다. 기초 체력을 다지는 강의 시리즈가 끝나면 소주제별로 콘텐츠를 제작할 예정입니다. 기초 과정을 꾸준하게 시청하시면 각 나라의 지형, 문화, 기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루 : 정말정말 유익합니다 감사합니다 동아시아 주요 강에 대해서도 한번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insun Kim : 유익한 내용을 공부할 수 있게되어 감사드립니다~ ^^
콜라곰 : 논란이 많은 가정과 그주변 지형 그리고 열류성은 도대체 어디인가?에 대한 영상을 보고싶습니다!
옥자튜브 : 맛있는 고마움을 이렇게 좋은
공부에 감사드립니다

한편으로 알아보는 중국역사

제작 : 백다윤

#세계사 #중국역사
중국역사요약
한 편으로 정리하는 중국역사

사진 및 영상출처 :
양귀비 왕조의 여인(2015) The three kingdoms
삼국지: 용의 부활 (2008)
Twin Musicom의 Winter Ride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YONHAPNEWS
History.com
Eduinnews
Pixabay · Pexels · Coverrs · Videvo · Videezy.
EBS
Wikipedia
http://www.twinmusicom.org/song/308/winter-ride
아티스트: http://www.twinmusicom.org
김가다실안 : 천하의 대세란 오랫동안 나뉘면 반드시 합하게 되고, 오랫동안 합쳐져 있다면 반드시 나뉘게 된다.........
계속가 : 1912년 직전까지 청나라가 유지됐다는 건데 생각해보면 진짜 현시대는 역사적으로 유례 없이 변화가 빠른 시대네요. 그 시대를 우리가 살고 있다는 게 정말 신기할 따름입니다.
ywetjjeop : 중국역사 엄청 복잡해서 간단정리 쉽지않은데..
다른유투버꺼도 몇개 들어봤는데
님의 강의는 엄청 쉽게 귀에 쏙쏙~~
중국사강의는 단연 탑인듯하네요~!!
Δt : 짧은 시간 안에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게 요약을 잘 해주셨네요.
최재영 : 간단하고 알기 쉽게 요약 잘 해주셨네요! 잘 봤습니다

중국 교수의 황당한 김치 유래설을 단 2초만에 반박하는 명문대 교수

지치지 않는 한국 화이팅!!
브금 및 링크 정보 하단 정보 참고 바랍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BGM
✔️Track - Anwar Amr - Epic Cinematic Background
✔️Soundcloud - https://soundcloud.com/musictoday80
✔️나눔뮤직 - https://tv.naver.com/v/11581195
하영웅 : 그냥 지구를 만들었다 그래 아줌마
cityboy : 근대 이전 다른 나라에 공물(貢物)을 바치는 것은 외교의 한가지 방법이었을 뿐 공물을 바쳤다고 해서 속국(屬國)이 되는게 아니다.
근대 이전 동아시아 국가들간의 조공문화는 근대 이후 서양에서 생겨난 속국(식민지植民地)과는 다른 개념이다.
조선은 중국에 공물을 바쳤으나 자체적인 법률, 정치, 외교, 군사권을 가진 독립국이었다.
중국 명나라 역사서인 명실록(明實錄)과 청나라때 명나라 역사를 기록한 명사(明史)에는 조선을 분명히 외국(外國)으로 명시하고 있다.
또한 왕의 신분으로 다른 나라로부터 공물을 받으면서 동시에 다른 나라에 공물을 바칠 수 있었다.
조선은 대마도(對馬島)와 일본 오키나와에 있던 류구국(琉球國)으로부터 공물을 받았던 사실이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돼 있다.
그럼에도 일본을 조선의 속국이었다 말하지 않는 이유는 당시 일본 왕국이 자체적으로 통치를 했던 주권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과거 공물을 바쳤다는 이유로 한국이 중국의 속국이었다 말하는 중국인들은 역사에 얼마나 무지한 족속인지 스스로 잘 드러낼 뿐이다.
신여름사랑 : "이 세상의 모든 것은 중국이 중심이며 중국이 모든 것 창조하였다" "고로 중국인들은 이 세상을 만든 조물주다" ㅋㅋㅋ
선풍기 : 시진핑 하나때문에 14억 중국인들이 바보가 됐습니다...ㅋㅋㅋ
heryongmoo16 : 만리장성은 옛날 대한민국 선조님들이 그냥 울타리로 만든거야!!!!!!!!!!!!!!!!!

... 

#중국의유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520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