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장담그는방법
페이지 정보
본문
전통간장 담그기 이하연 김치명인의 집간장 만들기
안녕하세요.
김치명인 이하연 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신
간장 만드는 영상을 올려보겠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완성되는 영상도 올려드릴게요.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봉우리김치 홈페이지
http://www.bongkimchi.com
비즈니스문의
hykimchi@naver.com
@user-ji3pr3dt4f : 메주 2말 물 소금 비율
@user-ry8mz3qn8f : 이하연선생님 참 섬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우리 전통을 잘 모르는 젊은 세대들에게 아주 도움이 될 것 같아요
@user-vy1ux6md4p : 발효식품을 공부하고 있는 대학생이라 전통간장 제조방법이 궁금해서 오게 됐네요 ,, 선생님 참 고풍스럽고 전통미가 느껴지는 영상이었습니다ㅠㅠ
@HR-cw7tx : 음식을 업으로 삼으신 건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 영상감사하게 볼께요!!
@user-qg3sv6yw9s : 차분하게 설명 해주시고 황태 넣고 장담는 새로운 귀한 정보 감사합니다 ~
보현스님의 전통간장 담그는 법 1부 "당신의 된장이 떫은 이유?"
간장 만드는 비법을 공개합니다.
Ok Sun Yi : 보현스님, 매주 고루는법 장 담거는것, 아주 쉽게 설명해 주시니, 1.3의 비율, 계란을 넣어서 오백원 동전 크기가 나오면 간이 꼭 맞다는 설명, 학습효과가 아주 좋았습니다.
올 가을에 메주를 쑤어 내년에 장을 담가보아야 겠어요.
감시합니다 보현스님, 늘 건강하세요 ~~~
최유나 : 소금을 전날에풀어서 소금도녹고 그다음날 윗물만 조심해서 향아리에 떠넣고 가라앉은 찌거기 흑물은 버리는것이 좋을듯합니다
이ᆞ순희 : 소금은 전날풀어서 소금도녹고 불수물도
가라앉으면 다음날항아리에 넣는게좋은것같아요
이정표 : 스님.잘 보고 들었습니다.
강조하시는 자연의 섭리로 장을 만드시는 모습 감동입니다.추운데 감기 조심하시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임로라 : 엄청추운날에 장담는 방법 알려 주시느라 고생이 많으셔요 감초 넣어서 장담는것 첨 보았내요 저도 따라면 담구면 올해 맛난장 먹겠네요 넘 감사드립니다
EP53-장 가르기) 정월에 담갔던 장 갈라서 된장, 간장 만들어볼까요?
#시니어요리 #장가르기 #장담그는법
정월에 장 담갔던 거 다들 기억하시죠~?
(아직 못 보신 분들은 2월 23일자 유튜브 Ep35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
예로부터 인가일년지대계라 해서
김장과 함께 장 담그기는 중요한 연례행사였죠~
담근 후 약 두 달이 지나서, 장을 갈라 된장과 간장을 만들었습니다.
항아리를 열자마자 장물이 곱게 물들었더라구요^^
간장은 걸러내고, 메주를 으깨 된장도 만들어서
1년 정도 묵히면 구수~하게 장이 숙성된답니다.
우리 가족의 밥상을 책임질 된장, 간장!
함께 만들어 봐요~
====================
-재료 및 분량
◆ 장 가르기 ◆
재료 및 분량
간장에서 건진 메주 7덩어리, 메주가루 1덩이(1.9kg), 찹쌀 500g (습찹쌀가루 7컵), 물 5L, 고추씨 1/2컵, 김 3장, 소금 1컵
만드는 법
1. 찹쌀은 전날 불려 가루를 만든다.
2. 냄비에 물을 붓고 찹쌀가루를 푼 후 저어가며 찹쌀풀을 쑨다.
3. 간장에서 메주는 건져내고, 간장은 체에 면보를 깔고 걸러
항아리에 담아 저장한다.
4. 건져낸 메주는 손으로 주물러 으깨고, 메주가루, 찹쌀풀을
섞어 간장으로 간한다.
5. 장독에 된장을 담고 꼭꼭 누른 후 소금을 약간 뿌린 뒤 김, 고추씨, 소금을 고루 뿌린 후 면보를 씌운 후 5개월 이상 숙성시킨 다음 소금은 걷어낸다.
최미화 : 선생님, 올해로 2번째 장 담그기를 하는데 간장 끓인것과 올해는 끓이지 않고 함께 섞어 보관해도 될까요??
박복순 : 선생님 언제 가르시나
했는데 드디어 가르 시네
요 옛적에 tv 프로 많이 보고 너무 좋아 했는데
따님과 같이 나오셔서
하시니 너무 보기좋고
어머니 말씀도 잘하시고
인품도 좋으시고 다정한
모녀 지간 너무 좋고
어머니 뒤를 이어서 전수
잘 받으셔서 승승 장구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들쑥날쑥 : 이종임 선생님^^♡
옛날옛적에 TV요리 프로에 나오실때 똑 부러진 맛있는 억양하고 맛있는 음식 출연 하실때 부터 지금 까지 찐팬이에요 ㅎ
이 종 임 따님 앞날에 건강과 행운이 늘 있기를 ~~~^^♡♡
따님 인상도 조으시고 엄마 곁에서 거들면서 엄마의 솜씨를 보고 배워서 요리사로 승승장구 하시길 바람니다
잘 보고 가요
찹살죽 저도 넣고 했어요 ㅎ
고광순 : 선생님 따님과 함께 장 담그는 모습 보니 참 부럽네요^
스마일 : 된장가르면서 간장이나 메주가루 섞은후
농도를 어느정도 맞춰야하나 고민했는데
다른분들은 그냥 담그는 영상만 보여주시는데 처음으로 설명해주시네요.
역시 원조는 다르십니다. 맑은 날 가르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치명인 이하연 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신
간장 만드는 영상을 올려보겠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완성되는 영상도 올려드릴게요.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봉우리김치 홈페이지
http://www.bongkimchi.com
비즈니스문의
hykimchi@naver.com
@user-ji3pr3dt4f : 메주 2말 물 소금 비율
@user-ry8mz3qn8f : 이하연선생님 참 섬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우리 전통을 잘 모르는 젊은 세대들에게 아주 도움이 될 것 같아요
@user-vy1ux6md4p : 발효식품을 공부하고 있는 대학생이라 전통간장 제조방법이 궁금해서 오게 됐네요 ,, 선생님 참 고풍스럽고 전통미가 느껴지는 영상이었습니다ㅠㅠ
@HR-cw7tx : 음식을 업으로 삼으신 건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 영상감사하게 볼께요!!
@user-qg3sv6yw9s : 차분하게 설명 해주시고 황태 넣고 장담는 새로운 귀한 정보 감사합니다 ~
보현스님의 전통간장 담그는 법 1부 "당신의 된장이 떫은 이유?"
간장 만드는 비법을 공개합니다.
Ok Sun Yi : 보현스님, 매주 고루는법 장 담거는것, 아주 쉽게 설명해 주시니, 1.3의 비율, 계란을 넣어서 오백원 동전 크기가 나오면 간이 꼭 맞다는 설명, 학습효과가 아주 좋았습니다.
올 가을에 메주를 쑤어 내년에 장을 담가보아야 겠어요.
감시합니다 보현스님, 늘 건강하세요 ~~~
최유나 : 소금을 전날에풀어서 소금도녹고 그다음날 윗물만 조심해서 향아리에 떠넣고 가라앉은 찌거기 흑물은 버리는것이 좋을듯합니다
이ᆞ순희 : 소금은 전날풀어서 소금도녹고 불수물도
가라앉으면 다음날항아리에 넣는게좋은것같아요
이정표 : 스님.잘 보고 들었습니다.
강조하시는 자연의 섭리로 장을 만드시는 모습 감동입니다.추운데 감기 조심하시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임로라 : 엄청추운날에 장담는 방법 알려 주시느라 고생이 많으셔요 감초 넣어서 장담는것 첨 보았내요 저도 따라면 담구면 올해 맛난장 먹겠네요 넘 감사드립니다
EP53-장 가르기) 정월에 담갔던 장 갈라서 된장, 간장 만들어볼까요?
#시니어요리 #장가르기 #장담그는법
정월에 장 담갔던 거 다들 기억하시죠~?
(아직 못 보신 분들은 2월 23일자 유튜브 Ep35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
예로부터 인가일년지대계라 해서
김장과 함께 장 담그기는 중요한 연례행사였죠~
담근 후 약 두 달이 지나서, 장을 갈라 된장과 간장을 만들었습니다.
항아리를 열자마자 장물이 곱게 물들었더라구요^^
간장은 걸러내고, 메주를 으깨 된장도 만들어서
1년 정도 묵히면 구수~하게 장이 숙성된답니다.
우리 가족의 밥상을 책임질 된장, 간장!
함께 만들어 봐요~
====================
-재료 및 분량
◆ 장 가르기 ◆
재료 및 분량
간장에서 건진 메주 7덩어리, 메주가루 1덩이(1.9kg), 찹쌀 500g (습찹쌀가루 7컵), 물 5L, 고추씨 1/2컵, 김 3장, 소금 1컵
만드는 법
1. 찹쌀은 전날 불려 가루를 만든다.
2. 냄비에 물을 붓고 찹쌀가루를 푼 후 저어가며 찹쌀풀을 쑨다.
3. 간장에서 메주는 건져내고, 간장은 체에 면보를 깔고 걸러
항아리에 담아 저장한다.
4. 건져낸 메주는 손으로 주물러 으깨고, 메주가루, 찹쌀풀을
섞어 간장으로 간한다.
5. 장독에 된장을 담고 꼭꼭 누른 후 소금을 약간 뿌린 뒤 김, 고추씨, 소금을 고루 뿌린 후 면보를 씌운 후 5개월 이상 숙성시킨 다음 소금은 걷어낸다.
최미화 : 선생님, 올해로 2번째 장 담그기를 하는데 간장 끓인것과 올해는 끓이지 않고 함께 섞어 보관해도 될까요??
박복순 : 선생님 언제 가르시나
했는데 드디어 가르 시네
요 옛적에 tv 프로 많이 보고 너무 좋아 했는데
따님과 같이 나오셔서
하시니 너무 보기좋고
어머니 말씀도 잘하시고
인품도 좋으시고 다정한
모녀 지간 너무 좋고
어머니 뒤를 이어서 전수
잘 받으셔서 승승 장구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들쑥날쑥 : 이종임 선생님^^♡
옛날옛적에 TV요리 프로에 나오실때 똑 부러진 맛있는 억양하고 맛있는 음식 출연 하실때 부터 지금 까지 찐팬이에요 ㅎ
이 종 임 따님 앞날에 건강과 행운이 늘 있기를 ~~~^^♡♡
따님 인상도 조으시고 엄마 곁에서 거들면서 엄마의 솜씨를 보고 배워서 요리사로 승승장구 하시길 바람니다
잘 보고 가요
찹살죽 저도 넣고 했어요 ㅎ
고광순 : 선생님 따님과 함께 장 담그는 모습 보니 참 부럽네요^
스마일 : 된장가르면서 간장이나 메주가루 섞은후
농도를 어느정도 맞춰야하나 고민했는데
다른분들은 그냥 담그는 영상만 보여주시는데 처음으로 설명해주시네요.
역시 원조는 다르십니다. 맑은 날 가르는게 좋을까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