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보험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수제비 조회 8회 작성일 2023-05-10 11:12:57 댓글 0

본문

[ET] 연금저축펀드 vs 연금저축보험…든든한 노후 위해선 뭐가 더 나을까? / KBS 2023.04.25.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660379\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노후준비 #연금저축 #개인연금
@ejshin319 : 연금저축 보험 수수료 600만원에 60만원 빼고 나면 이자가 붙는게 있나요? 다른 경우지만 저축보험10년 넣고 수수료 300만원 정도 빼고 나니 받는 이자는 50만원 정도 받았어요
@angel-fj4sy : 왠지 나중엔 연금도 제대로안줄꺼같아,,,
보험사에서 보험금안주려고
의사들이랑짜고 사기치면서 보험금도 안주고.
의새는 진실을알게된 환자를 아예 살해하려함.
이나라 법도없고.
완전 미쳐버린나라임ㅡㅡ
@user-mu7xy2xf7x : 신한생명 무배당blg플러스저축보험
현대해상 연금저축손해보험하이랑프노후웰스보험두가지를넣고 있는데 연 말정산 때 세액 공제 받을수있는 상품 인가요
@user-rl7kt5er4h : 보험상품 수수료 운영비 잘 안알려주니 체크필요
@user-mc8oo8co3c : 연금마다.. 건보료 부과..한다...

연금저축 펀드 VS 연금저축 보험 비교 분석 | 어느 쪽이 돈 벌게 해주는 상품인가? | 815머니톡

세금 혜택이 뛰어난 연금저축 펀드와 연금저축보험의 차이는 무엇이고 어떤것이 뛰어난 금융상품일지 분석해봅니다. 부의확장 저자이자 불리오, 두물머리 천영록 대표의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00:30 연금저축펀드가 압도적으로 모든 면에서 포괄적으로 더 유리하다. 하지만 연금저축보험은 수수료가 더 높기 때문에 판매하는 인력망이 크다. 펀드는 수수료가 크지 않아서 홍보가 잘 안 돼 있다.
1:10 연금저축은 신탁, 보험, 펀드 등 있다. 보험과 증권이 동일한 건 세액공제. 매년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령 400만 원 넣으면 66만 원 정도 세금 덜 낸다.
01:55 400만 원 넣으면 334만 원만 투자한 셈이 됨. 이것만으로 수익률이 20% 가까이 되는 셈. 보험 펀드 둘 다 마찬가지..
02:06 확정금리형 혹은 금리형 상품이 많다. 연 3% 정도의 금리를 준다고 명시한다. 역산해보면 사업비 구조가 5%가까이 된다. 4.5%정도를 내가 넣은 돈에서 먼저 떼고 남은 돈을 가령 100을 투자하면 95를 투자해서 3%를 받는다.
02:50 역산해보면 기가 막히게 1.7% 정도가 나온다. 세액공제 받는 것 제외하면 은행과 같다.
03:03 연금저축펀드는 몇 천 개의 펀드를 활용할 수 있다. 일반 예금과 같은 MMF 같은 것에 가입할 수 있다.
03:23 연금저축펀드에서 MMF를 가입하면 연금저축보험보다 무엇이 나을까? 펀드는 아무 때나 돈을 넣을 수 있다. 연금보험은 매월 넣어야 하는 돈이 정해져 있다. 더 넣을 수 없다.
04:10 매월 돈을 못 넣으면 연금저축보험은 깨질 수 있음. 유동성차원에서 좋지 않다. 연금저축펀드는 몇 년간 돈을 넣지 않아도 된다.
05:05 심각한 문제는 이거다. 돈을 낼 수 없는 상황이 오면 포기한다. 수수료만 내고 해지환급금을 받으면 돈이 별로 남지 않는다.
05:40 연금저축펀드에는 다양한 펀드가 존재한다. 손실 나는 게 싫으면 MMF 가입하면 된다. 공격적 투자할 수 있는 자유도가 있다. 길게 투자할수록 유리해지는 상품이 있다.
06:11 복리를 넘어서는 가속효과가 생기는 것. 전형적으로 주식이 그렇다. 주식 30년 투자하면 채권 30년 투자한 것보다 더 안전하다고 한다.
06:35 반대로 길게 가져가면 더 나쁜 상품도 있다. 좋은 자산은 시간이 내 편이고 나쁜 자산은 시간이 적이 된다. 예금은, 이자수익률은 시간이 흐를수록 불리한 상품 중 하나.

07:02 3년 후에 돈이 반드시 필요하면 손해를 보더라도 지키자는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지만 4-5년, 10년 이상이 되면 인플레이션 때문에 무조건 지는 싸움이 된다.
07:31 연금저축, 퇴직연금 마찬가지. 장기투자해야 하는 것을 20년간 예금금리를 받는다는 건 어리석은 행위다. 기회비용을 날리는 행위.
07:50 가령 20년간 대출 내서 자산에 투자하면 자산이 좋은 성적을 발휘할 확률이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갈수록 오히려 대출을 받아야 하는 것.
08:05 25년 뒤에 쓸 돈을 연금저축보험이나 예금으로 활용한다는 것은 굉장히 무서운 일.
08:20 가령 20년간 단 한 번이라도 물가상승률이 치솟으면 예금금리가 그것을 못 좇아감. 자산은 무너진다.
08:55 퇴직연금도 해당. 20년간 1억 정도 쌓는다. 그런데 예금이나 다를 바 없는 곳에 90% 넘는 자금이 들어가 있다.
09:40 연금저축보험은 주식에 투자할 수 없는 구조. 연금저축펀드만이 투자 가능. 그래서 장점이다. 퇴직연금도 주식에 투자할 수 있으나 대부분 예금성 자산에 넣어둔다.
09:56 20년간 퇴직연금 쌓아놓아도 인플레이션 대비 적은 돈이 된다. 장기투자에는 조금 더 위험한 투자를 하라. 시간이 나의 편이므로. 시간이 많을수록 유리한 투자가 대표적으로 주식. 혹은 부동산
10:55 퇴직연금도 본인이 포트폴리오를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귀찮고 먼 미래 일이므로 내버려둔다.
11:15 시청자 중 99%는 본인 퇴직연금이 어디 투자되고 있는지 모를 것. 예적금으로 해두셨을 것. 펀드로 바꿀 수 있는지 살펴볼 것.
11:40 연금저축보험을 들고 있다면 연금저축펀드 옮기는 것 권유함. 모든 전문가들이 펀드로 옮기라도 권유.
12:10 손실 안 나게 안전한 배분도 충분히 가능. 유리하게 짤 수 있음.
12:23 요즘은 비대면으로 연금저축펀드 가입 가능. 인터넷으로 하면 수수료도 굉장히 저렴. 낮게는 0.15-0.2%. 10년이 지나도 수수료가 1-2%밖에 안 되는 상품 존재.
12:55 계좌는 유지해야 하지만 펀드는 유지하지 않아도 됨. 펀드 바궈도 되고, 현금으로나 MMF로 가지고 있어도 됨.
13:05 400만 원까지 세액 공제. 여기에 더해 1400만 원을 추가 납입 가능.
13:16 400만 원 세액 공제 돼서 66만 원 혜택 본 것. 1400만 원은 과제이연 가능. 당장 세금 떼지 않는 것. 일시적 비과세 계좌가 된다.
13:36 매년 400만 원씩 넣고 추가로 매년 1400만 원씩 넣으면, 거기서 불어난 돈은 당장 과세 안 됨. 돈을 뺄 때 세금을 내면 됨. 복리가 작동해서 돈이 빠르게 불어남. 세금을 중간에 안 떼니까.
14:49 증권사에서 펀드 추천하겠지만 증권사는 책임지지 않는다. 전문성도 별로 없다.
15:19 불리오 같은 서비스가 해주고 있는 게 그런 것. 운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서비스. 아무도 안 하고 있기 때문이 이 서비스를 만든 것.
15:38 정확한 펀드를 이율로 추천하고 수익률을 체크. 로보어드바이저의 큰 장점.
16:13 펀드 자체는 어느 회사에서 만들었는지가 중요하지 않다. 펀드가 어디에 투자하고 있는지가 중요.
16:22 미국, 인도, 중국, 한국 주식 채권형들을 골고루 섞어서 자산 배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지 어느 증권사/어느 자산운용사 펀드를 하는지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음.
17:52 1800만 원이라는 한도가 작아서 안타깝다. 돈이 있는 분들은 꽉 채워 사용. 다른 계좌 사용하지 않고 이 계좌로 사용하는 것이 베스트.
815머니톡 : 바로보기 요약입니다^^
00:30 연금저축펀드가 압도적으로 모든 면에서 포괄적으로 더 유리하다. 하지만 연금저축보험은 수수료가 더 높기 때문에 판매하는 인력망이 크다. 펀드는 수수료가 크지 않아서 홍보가 잘 안 돼 있다.
1:10 연금저축은 신탁, 보험, 펀드 등 있다. 보험과 증권이 동일한 건 세액공제. 매년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령 400만 원 넣으면 66만 원 정도 세금 덜 낸다.
01:55 400만 원 넣으면 334만 원만 투자한 셈이 됨. 이것만으로 수익률이 20% 가까이 되는 셈. 보험 펀드 둘 다 마찬가지..
02:06 확정금리형 혹은 금리형 상품이 많다. 연 3% 정도의 금리를 준다고 명시한다. 역산해보면 사업비 구조가 5%가까이 된다. 4.5%정도를 내가 넣은 돈에서 먼저 떼고 남은 돈을 가령 100을 투자하면 95를 투자해서 3%를 받는다.
02:50 역산해보면 기가 막히게 1.7% 정도가 나온다. 세액공제 받는 것 제외하면 은행과 같다.
03:03 연금저축펀드는 몇 천 개의 펀드를 활용할 수 있다. 일반 예금과 같은 MMF 같은 것에 가입할 수 있다.
03:23 연금저축펀드에서 MMF를 가입하면 연금저축보험보다 무엇이 나을까? 펀드는 아무 때나 돈을 넣을 수 있다. 연금보험은 매월 넣어야 하는 돈이 정해져 있다. 더 넣을 수 없다.
04:10 매월 돈을 못 넣으면 연금저축보험은 깨질 수 있음. 유동성차원에서 좋지 않다. 연금저축펀드는 몇 년간 돈을 넣지 않아도 된다.
05:05 심각한 문제는 이거다. 돈을 낼 수 없는 상황이 오면 포기한다. 수수료만 내고 해지환급금을 받으면 돈이 별로 남지 않는다.
05:40 연금저축펀드에는 다양한 펀드가 존재한다. 손실 나는 게 싫으면 MMF 가입하면 된다. 공격적 투자할 수 있는 자유도가 있다. 길게 투자할수록 유리해지는 상품이 있다.
06:11 복리를 넘어서는 가속효과가 생기는 것. 전형적으로 주식이 그렇다. 주식 30년 투자하면 채권 30년 투자한 것보다 더 안전하다고 한다.
06:35 반대로 길게 가져가면 더 나쁜 상품도 있다. 좋은 자산은 시간이 내 편이고 나쁜 자산은 시간이 적이 된다. 예금은, 이자수익률은 시간이 흐를수록 불리한 상품 중 하나.

07:02 3년 후에 돈이 반드시 필요하면 손해를 보더라도 지키자는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지만 4-5년, 10년 이상이 되면 인플레이션 때문에 무조건 지는 싸움이 된다.
07:31 연금저축, 퇴직연금 마찬가지. 장기투자해야 하는 것을 20년간 예금금리를 받는다는 건 어리석은 행위다. 기회비용을 날리는 행위.
07:50 가령 20년간 대출 내서 자산에 투자하면 자산이 좋은 성적을 발휘할 확률이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갈수록 오히려 대출을 받아야 하는 것.
08:05 25년 뒤에 쓸 돈을 연금저축보험이나 예금으로 활용한다는 것은 굉장히 무서운 일.
08:20 가령 20년간 단 한 번이라도 물가상승률이 치솟으면 예금금리가 그것을 못 좇아감. 자산은 무너진다.
08:55 퇴직연금도 해당. 20년간 1억 정도 쌓는다. 그런데 예금이나 다를 바 없는 곳에 90% 넘는 자금이 들어가 있다.
09:40 연금저축보험은 주식에 투자할 수 없는 구조. 연금저축펀드만이 투자 가능. 그래서 장점이다. 퇴직연금도 주식에 투자할 수 있으나 대부분 예금성 자산에 넣어둔다.
09:56 20년간 퇴직연금 쌓아놓아도 인플레이션 대비 적은 돈이 된다. 장기투자에는 조금 더 위험한 투자를 하라. 시간이 나의 편이므로. 시간이 많을수록 유리한 투자가 대표적으로 주식. 혹은 부동산
10:55 퇴직연금도 본인이 포트폴리오를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귀찮고 먼 미래 일이므로 내버려둔다.
11:15 시청자 중 99%는 본인 퇴직연금이 어디 투자되고 있는지 모를 것. 예적금으로 해두셨을 것. 펀드로 바꿀 수 있는지 살펴볼 것.
11:40 연금저축보험을 들고 있다면 연금저축펀드 옮기는 것 권유함. 모든 전문가들이 펀드로 옮기라도 권유.
12:10 손실 안 나게 안전한 배분도 충분히 가능. 유리하게 짤 수 있음.
12:23 요즘은 비대면으로 연금저축펀드 가입 가능. 인터넷으로 하면 수수료도 굉장히 저렴. 낮게는 0.15-0.2%. 10년이 지나도 수수료가 1-2%밖에 안 되는 상품 존재.
12:55 계좌는 유지해야 하지만 펀드는 유지하지 않아도 됨. 펀드 바궈도 되고, 현금으로나 MMF로 가지고 있어도 됨.
13:05 400만 원까지 세액 공제. 여기에 더해 1400만 원을 추가 납입 가능.
13:16 400만 원 세액 공제 돼서 66만 원 혜택 본 것. 1400만 원은 과제이연 가능. 당장 세금 떼지 않는 것. 일시적 비과세 계좌가 된다.
13:36 매년 400만 원씩 넣고 추가로 매년 1400만 원씩 넣으면, 거기서 불어난 돈은 당장 과세 안 됨. 돈을 뺄 때 세금을 내면 됨. 복리가 작동해서 돈이 빠르게 불어남. 세금을 중간에 안 떼니까.
14:49 증권사에서 펀드 추천하겠지만 증권사는 책임지지 않는다. 전문성도 별로 없다.
15:19 불리오 같은 서비스가 해주고 있는 게 그런 것. 운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서비스. 아무도 안 하고 있기 때문이 이 서비스를 만든 것.
15:38 정확한 펀드를 이율로 추천하고 수익률을 체크. 로보어드바이저의 큰 장점.
16:13 펀드 자체는 어느 회사에서 만들었는지가 중요하지 않다. 펀드가 어디에 투자하고 있는지가 중요.
16:22 미국, 인도, 중국, 한국 주식 채권형들을 골고루 섞어서 자산 배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지 어느 증권사/어느 자산운용사 펀드를 하는지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음.
17:52 1800만 원이라는 한도가 작아서 안타깝다. 돈이 있는 분들은 꽉 채워 사용. 다른 계좌 사용하지 않고 이 계좌로 사용하는 것이 베스트.
sw Y : 경제관련 프로중 초대손님의 이야기를 가장 잘 들어주고 시청자의 시각에서 핵심만 잘 질문해주시고 크게 덧대는거 없으시고 최고이십니다 보믄 볼수록
윤아진 : 전문가분들에게 정보와 지식을 배우므로써 각각의 컨텐츠마다 정말 유익한거같아요. 잘보고있어요!
책연필 TV : 감사드립니다!!!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HAISHUN LIN : 감사합니다.펀드지식에 대해 좋은 공부를 하게되네요~~

보험설계사가 연금저축보험 절대 추천드리지 않는 이유

↓↓↓↓ 알뜰살뜰 보험 스터디와 상담은 100% 무료입니다. ↓↓↓↓
http://pf.kakao.com/_rpIxdxj/chat

#보험료줄이기 #연금보험 #연금저축

연금저축보험을 추천드리지 않는 몇 가지 이유를 쉽게 알려 드릴게요.
워니엄 : 결국, 국민연금 이길 연금은 없습니다.
Agnes : 개인사업자의 경우에는
노란우산공제랑 합산 세액공제라고 생각해야될까요?
한주미 : 안녕하세요.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70만원 정도 더 내야해서ㅠㅜ
연금저축보험을 생각하고 있는데요.
말씀처럼 17만원씩 납부하고 추가납입 하려구요.
혹시 추천해 주실 은행,보험 있을까요?
그리고 10년 납부하면 연금 개시 후 10년동안 받게 되나요?
신소이 : 노후걱정 되는데 그럼 연금처럼 받을수 있는건 어떤게 있을까요 ㅠㅠㅜ
이윤영 : 이런강의 잘안하는데
좋은 정보 입니다

... 

#연금저축보험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503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