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자싸게파는사이트
페이지 정보
본문
과자, 아이스크림 싸게 사는 방법
정가거부 네이버 카페
https://cafe.naver.com/wjdrkrjqn
정가거부 유튜브 채널 멤버십을 오픈하였습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1KHW0JH7zToxC2H69axgzw/join
정가거부 : 정가거부 추천인 wjdrkrjqn
https://lottesweetmall.com/?reco_id=wjdrkrjqn
프리 : 매번 너무 유익한 정보들 이네요..감사합니다~.. ^^
쏭 : 요즘 하드 하나 사먹는것도 후덜덜이었는데
덕분에 저렴하게 샀어요~ 고맙습니다 ^^
ts yeo : 카스타드 다먹어가는중인데 덕분에 저렴하게 구매했네요 !
H H : 안그래도 과자먹고싶었는데 감사합니당!!:)
[루팡이팩트 EP.05] 유통기한 때문에 싸게 팔까? 몇 개국 과자가 있을까? 세계과자할인점에 찾아갔다 / 스브스뉴스
#루팡이팩트 #세계과자할인점 #수입과자
여러 나라 과자를 수입해 파는 세계과자할인점.
한국 과자보다 싸고, 양도 많아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다.
유통기한이 임박한 상품을 수입해 싸다는 소문도 있던데 진짜일까?
이곳엔 몇 개국 과자가 있을까? 진짜 전 세계 나라 과자가 다 있을까?
세계과자할인점에 찾아갔다
✔ 뉴스에는 위아래가 없다, 스브스뉴스
- 스브스뉴스 링크 -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subusunews
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subusunews/
홈페이지 : http://news.sbs.co.kr/news/subusuNews.do?plink=GNB\u0026cooper=SBSNEWS
@ou0100 : 그냥 우리나라 과자값이 너무 비쌈 ㅋㅋㅋㅋㅋ
@user-yl2kh1lj6c : 과자를 잘 안먹다보니 한국과자가 수입과자보다 비싸다는 얘기를 처음 알았다.
앞으로는 수입과자를 사먹어야겠다.
@user-bw7so8md6s : 좋은정보네요. 오랜만에 좋은 콘텐츠를 봤네요... 30여개국중 가장 생소했다고 느꼈던 나라는 어떤 나라였나요?
@stevenkimangelo : 세계 과자에 있는 밭두렁 ㅋㅋ
봉지과자로 땟목 만들었는데, 허니칩 대란 나서 질소이슈 확 사라짐 ㅋㅋㅋ
아 루팡님 미국 살다 오셨구나
@Happynism : 과자 원가나 유통 마진이 얼마인지는 모르겠는데 우리나라 과자 값 너무 비싼거 아닌지... 싶네요 .
과자에 적혀있던 '권장소비자가격'은 왜 없어졌을까?
요즘 과자 한 봉지에 얼마정도 하지? 편의점이나 마트에 가면 이렇게 가격표가 있어서 쉽게 가격을 알 수 있다. 근데, 라떼는 가격표가 아니라 이렇게 과자 봉지에 가격이 적혀있었다. 일명 '권장소비자가격'. 유튜브 댓글로 “과자에 적혀있던 '권장소비자가격'은 왜 없어졌나요?”라는 의뢰가 들어와 취재해봤다.
#과자가격 #궁금증 #취재대행소왱
▼▼▼ 댓글로 취재를 의뢰하세요! ▼▼▼
B : 소비자 가격 없어진뒤로 과자 가격이 동네 마트에서는 천원이고 편의점가면 천오백원인데 2+1이면 천원에 준대~ 비싼 지역 가면 2천원이고, 폰팔이랑 다를게 없음 ㄹㅇ
냥이냥냥 : 제가 어렸을 때부터 모든 과자들이나 군것질 거리들에는 권장 소비자가격이 있어서 보통 가격들이 통일되어있었는데 최근에는 그 표기가 사라져서 오히려 안 좋은 거 같아요 ㅠㅠ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익명1 : 제가 어렸을때는 항상 과자에 권장소비자가격이 써져있어서 그걸 보고 돈을 미리 계산해서 제가 가진 돈에 맞게 군것질거리를 골라서 계산했었는데 요즘은 과자봉지에 안적혀있더라고요. 대신에 2+1과 같은 할인상품들이 많이 늘어서 머리를 많이 써야합니다. 되게 신기한 정보 감사합니다!
마나자까 MANAZAKA : 제 기억으로는 그 반대였는데 말이죠.
기업들 입장에서는 한번이라도 가격을 모두 빼서 '가격표'라는 숫자 자체가 없어지는 상태에서 맘대로 조작하길 원했으니까 싫어할 리는 없었죠.
기격표가 있을 때에는 좀만 인상해도 사람들이 바로 알아차리고 비교하니까 그 이상 거품 올리기가 쉽지 않았던 때라고 보면 됩니다.
따라서 정부가 여러 이유를 핑계로 기업을 도와준 것이 아닌가?..란 말이 많았습니다.
사람들은 과대포장과 봉지 부풀리기라는 상술을 이미 겪은 터라 또 기업편 드는 짓 한다고 다 알고 반대했었죠.
뭐 오픈 어쩌구 하면서 반대의견 무시하고 가격 빼버렸지만 말이죠...
결과는 역시나 가격 다시는 안붙이고 있죠.
김양갱 : 권장소비자가격이 가장 쓸모없는곳이 용산이죠.
MSRP 699$짜리를 100만원대 중후반에 팔고있었으니 말이죠.
나중에 ASUS 유통사 인텍앤컴퍼니에서 우린 용산에 매물 안넘기고 99만원에 판다 해서 이쪽은 이미지 떡상하기도 했구요.
정가거부 네이버 카페
https://cafe.naver.com/wjdrkrjqn
정가거부 유튜브 채널 멤버십을 오픈하였습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1KHW0JH7zToxC2H69axgzw/join
정가거부 : 정가거부 추천인 wjdrkrjqn
https://lottesweetmall.com/?reco_id=wjdrkrjqn
프리 : 매번 너무 유익한 정보들 이네요..감사합니다~.. ^^
쏭 : 요즘 하드 하나 사먹는것도 후덜덜이었는데
덕분에 저렴하게 샀어요~ 고맙습니다 ^^
ts yeo : 카스타드 다먹어가는중인데 덕분에 저렴하게 구매했네요 !
H H : 안그래도 과자먹고싶었는데 감사합니당!!:)
[루팡이팩트 EP.05] 유통기한 때문에 싸게 팔까? 몇 개국 과자가 있을까? 세계과자할인점에 찾아갔다 / 스브스뉴스
#루팡이팩트 #세계과자할인점 #수입과자
여러 나라 과자를 수입해 파는 세계과자할인점.
한국 과자보다 싸고, 양도 많아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다.
유통기한이 임박한 상품을 수입해 싸다는 소문도 있던데 진짜일까?
이곳엔 몇 개국 과자가 있을까? 진짜 전 세계 나라 과자가 다 있을까?
세계과자할인점에 찾아갔다
✔ 뉴스에는 위아래가 없다, 스브스뉴스
- 스브스뉴스 링크 -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subusunews
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subusunews/
홈페이지 : http://news.sbs.co.kr/news/subusuNews.do?plink=GNB\u0026cooper=SBSNEWS
@ou0100 : 그냥 우리나라 과자값이 너무 비쌈 ㅋㅋㅋㅋㅋ
@user-yl2kh1lj6c : 과자를 잘 안먹다보니 한국과자가 수입과자보다 비싸다는 얘기를 처음 알았다.
앞으로는 수입과자를 사먹어야겠다.
@user-bw7so8md6s : 좋은정보네요. 오랜만에 좋은 콘텐츠를 봤네요... 30여개국중 가장 생소했다고 느꼈던 나라는 어떤 나라였나요?
@stevenkimangelo : 세계 과자에 있는 밭두렁 ㅋㅋ
봉지과자로 땟목 만들었는데, 허니칩 대란 나서 질소이슈 확 사라짐 ㅋㅋㅋ
아 루팡님 미국 살다 오셨구나
@Happynism : 과자 원가나 유통 마진이 얼마인지는 모르겠는데 우리나라 과자 값 너무 비싼거 아닌지... 싶네요 .
과자에 적혀있던 '권장소비자가격'은 왜 없어졌을까?
요즘 과자 한 봉지에 얼마정도 하지? 편의점이나 마트에 가면 이렇게 가격표가 있어서 쉽게 가격을 알 수 있다. 근데, 라떼는 가격표가 아니라 이렇게 과자 봉지에 가격이 적혀있었다. 일명 '권장소비자가격'. 유튜브 댓글로 “과자에 적혀있던 '권장소비자가격'은 왜 없어졌나요?”라는 의뢰가 들어와 취재해봤다.
#과자가격 #궁금증 #취재대행소왱
▼▼▼ 댓글로 취재를 의뢰하세요! ▼▼▼
B : 소비자 가격 없어진뒤로 과자 가격이 동네 마트에서는 천원이고 편의점가면 천오백원인데 2+1이면 천원에 준대~ 비싼 지역 가면 2천원이고, 폰팔이랑 다를게 없음 ㄹㅇ
냥이냥냥 : 제가 어렸을 때부터 모든 과자들이나 군것질 거리들에는 권장 소비자가격이 있어서 보통 가격들이 통일되어있었는데 최근에는 그 표기가 사라져서 오히려 안 좋은 거 같아요 ㅠㅠ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익명1 : 제가 어렸을때는 항상 과자에 권장소비자가격이 써져있어서 그걸 보고 돈을 미리 계산해서 제가 가진 돈에 맞게 군것질거리를 골라서 계산했었는데 요즘은 과자봉지에 안적혀있더라고요. 대신에 2+1과 같은 할인상품들이 많이 늘어서 머리를 많이 써야합니다. 되게 신기한 정보 감사합니다!
마나자까 MANAZAKA : 제 기억으로는 그 반대였는데 말이죠.
기업들 입장에서는 한번이라도 가격을 모두 빼서 '가격표'라는 숫자 자체가 없어지는 상태에서 맘대로 조작하길 원했으니까 싫어할 리는 없었죠.
기격표가 있을 때에는 좀만 인상해도 사람들이 바로 알아차리고 비교하니까 그 이상 거품 올리기가 쉽지 않았던 때라고 보면 됩니다.
따라서 정부가 여러 이유를 핑계로 기업을 도와준 것이 아닌가?..란 말이 많았습니다.
사람들은 과대포장과 봉지 부풀리기라는 상술을 이미 겪은 터라 또 기업편 드는 짓 한다고 다 알고 반대했었죠.
뭐 오픈 어쩌구 하면서 반대의견 무시하고 가격 빼버렸지만 말이죠...
결과는 역시나 가격 다시는 안붙이고 있죠.
김양갱 : 권장소비자가격이 가장 쓸모없는곳이 용산이죠.
MSRP 699$짜리를 100만원대 중후반에 팔고있었으니 말이죠.
나중에 ASUS 유통사 인텍앤컴퍼니에서 우린 용산에 매물 안넘기고 99만원에 판다 해서 이쪽은 이미지 떡상하기도 했구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