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페이지 정보
본문
2021년 서울시 학예연구사 한국문화사(1-10번)
2021년 서울시 학예연구사 한국문화사(1-10번)
[5시간 풀버전] 반나절만에 끝내는 한국사 문화사 완전정복 무료특강! 공무원시험에 나오는 문화사 키워드만 찍어주마! | 박기훈 한국사
박기훈 교수님의 문화사특강 자료는 아래 링크를 통해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http://www.pmg.co.kr/user/pno/prof16/board_common_v2.asp?bbsid=3898\u0026Tmp1=pakkihun
#공무원시험 #공무원한국사 #공무원무료강의
한국문화사강좌 / 제1강. 국조 단군님의 유래와 이해 / 동촌 교수
인터넷 유튜브를 통한 한국문화사 대중강좌로 그 첫번째 순서, 국조 단군님에 대한 유래와 이해를 심화하는 시간입니다. 과거 관련 강의와 저술의 경험을 토대로 동촌이 구성 제작하였습니다.
*덧붙임말
1. '삼국유사'에서 저자(일연스님)는 '고조선' 조를 '위서(魏書)'와 '고기(古記)'에 근거하여 썼다고 했는데 주로는 후자에 근거한 것입니다. 여기서 '고기'란 고려 이전 삼국시대(신라,고구려,백제) 사서이거나 민간 설화, 혹은 더 이전의 사서일 수도 있겠으나 자세하지는 않습니다. 한편 위서는 중국의 위나라 관련 책인 듯하나 현존 위서 관련 사료 중에 단군 기록은 볼 수 없다 합니다.
2. 삼국유사에 환웅과 웅녀 사이 출생자를 '단군왕검(壇君王儉)'이라 썼는데 여기서 '왕검'의 말뜻은 통상 정치적 지배자로 이해하는 경향입니다. 최남선 선생은 '당굴얼검'(아시조선;전집2, 157쪽)이라 하여 얼검에 정치 종교성을 종합해서 이해하는 경향이나 이병도 선생은 단군을 종교 지배자, 왕검을 정치지배자 중심으로 이해하여 제정일치시대 지배자의 명칭으로 이해했습니다. (단군설화의 해석과 아사달문제 ; 한국고대사연구, 33-34쪽) 쉽게 말하면 왕검은 왕의 의미가 강하다 하겠고 김부식의 삼국사기 또한 '왕'자를 그런 뉘앙스로 쓰기도 했습니다.(혹운王之都王검)
3. 정신문화연구원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마니산' 조에는 "'마리산,머리산이라고도 불리는데 마리란 고어로 머리를 뜻하니 .... 고려사 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에는 마리산(摩利山)으로 되어있고 그 뒤에 마니산으로 바뀌었다"고 적고 있습니다.
2021년 서울시 학예연구사 한국문화사(1-10번)
[5시간 풀버전] 반나절만에 끝내는 한국사 문화사 완전정복 무료특강! 공무원시험에 나오는 문화사 키워드만 찍어주마! | 박기훈 한국사
박기훈 교수님의 문화사특강 자료는 아래 링크를 통해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http://www.pmg.co.kr/user/pno/prof16/board_common_v2.asp?bbsid=3898\u0026Tmp1=pakkihun
#공무원시험 #공무원한국사 #공무원무료강의
한국문화사강좌 / 제1강. 국조 단군님의 유래와 이해 / 동촌 교수
인터넷 유튜브를 통한 한국문화사 대중강좌로 그 첫번째 순서, 국조 단군님에 대한 유래와 이해를 심화하는 시간입니다. 과거 관련 강의와 저술의 경험을 토대로 동촌이 구성 제작하였습니다.
*덧붙임말
1. '삼국유사'에서 저자(일연스님)는 '고조선' 조를 '위서(魏書)'와 '고기(古記)'에 근거하여 썼다고 했는데 주로는 후자에 근거한 것입니다. 여기서 '고기'란 고려 이전 삼국시대(신라,고구려,백제) 사서이거나 민간 설화, 혹은 더 이전의 사서일 수도 있겠으나 자세하지는 않습니다. 한편 위서는 중국의 위나라 관련 책인 듯하나 현존 위서 관련 사료 중에 단군 기록은 볼 수 없다 합니다.
2. 삼국유사에 환웅과 웅녀 사이 출생자를 '단군왕검(壇君王儉)'이라 썼는데 여기서 '왕검'의 말뜻은 통상 정치적 지배자로 이해하는 경향입니다. 최남선 선생은 '당굴얼검'(아시조선;전집2, 157쪽)이라 하여 얼검에 정치 종교성을 종합해서 이해하는 경향이나 이병도 선생은 단군을 종교 지배자, 왕검을 정치지배자 중심으로 이해하여 제정일치시대 지배자의 명칭으로 이해했습니다. (단군설화의 해석과 아사달문제 ; 한국고대사연구, 33-34쪽) 쉽게 말하면 왕검은 왕의 의미가 강하다 하겠고 김부식의 삼국사기 또한 '왕'자를 그런 뉘앙스로 쓰기도 했습니다.(혹운王之都王검)
3. 정신문화연구원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마니산' 조에는 "'마리산,머리산이라고도 불리는데 마리란 고어로 머리를 뜻하니 .... 고려사 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에는 마리산(摩利山)으로 되어있고 그 뒤에 마니산으로 바뀌었다"고 적고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