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 공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비상탈출 조회 12회 작성일 2023-07-06 19:19:33 댓글 0

본문

대인기피증, 뇌의문제일까?

[정신의학신문 : 김총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사소하지만 궁금했던 정신과 관련 질문들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다음 영상의 주제로 여러분의 궁금증을 해결해드리겠습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선생님들의 더 흥미롭고 유익한 이야기로 찾아뵙겠습니다!
좋아요와 구독 부탁드려요

✔ 최신 마음 건강 \u0026 심리 뉴스 보러 가기
http://www.psychiatricnews.net​

BGM 출처
https://url.kr/6jyvdf
@user-zi4qq7fg2u : 모션그래픽 영상이 [궁금하心] 채널로 분리되었습니다. 흥미로운 심리/정신건강 이야기들을 만나보세요!
https://www.youtube.com/channel/UCb6sH_RReshqKKLKcvFqp7g
@mcg7273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qg8uw4du2v : 어릴때 엄마아빠 서로 안좋은 관계와 수만번 실망한결과 인간자체가 싫어진거같아요 이건 호르몬 문제도있지만 몇년살다가 다시 도져요 고칠수없는거같아요 ㅋㅋ
@onlyself000 : 감사합니다
@user-vq8ry7zi9z : 호모포비아들때매 죽고싶어요

사회불안장애(사회공포증, 대인기피증)의 사례, 원인, 증상, 치료방법 알아보기 [불안장애 극복]

이번 시간에는 사회불안장애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사회불안장애라는 말은 사실 정신과적 진단으로 쓰이는 용어이며
일반인 분들께는 사회공포증, 대인기피증 등으로 잘 알려져 있어요
사회불안장애는 단어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불안장애 중 하나로서 사회적 관계나 사회적 상황에서 지속적인 불안이나 공포를 경험하는 질환입니다
그리고 당사자는 불안과 공포를 회피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불필요한 노력을 하게 되므로
개인의 사회적, 직업적 생활 수준이 크게 손상되지요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인간은 사회적 동물입니다
사회적 상황에 원활하게 대처하는 능력은 일, 여가, 가족관계, 대인관계 등 삶의 여러부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이 능력이 부족하거나 장애가 있다면
삶의 전반에 있어서 좋지 않은 결과가 나타나겠지요

사실 사회불안장애 환자분들은 일반인 분들보다
친구를 사귀는 것을 좋아하고 무리에 속해있기를 원하며
사회적 교류를 나누는 것을 훨씬 더 갈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사회불안장애 환자분들이 타인에게 비춰지는 모습은
다소 냉담하고 불친절하며 대인관계에 무관심하게 보이지요
이것은 환자분들이 사회적 관계에서 느끼는 불안과 공포를 줄이기 위해서
대인관계 자체를 회피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런 관계형식 때문에 사회불안장애 환자분들은 더욱 외로워 집니다

사회불안장애를 치료해야하는 이유 중 하나로
사회불안장애를 진단받은 분들 중에서 우울증이 흔하게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사회불안장애 환자분들 중 2/3 정도가 우울증을 가지고 있어요

이번 시간에는 사회불안장애 즉, 사회공포증, 대인기피증의 종류와 원인, 증상, 치료법 등 사회불안장애의 전반에 대해서 알기쉽게 설명드릴게요

영상 시청 후 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영상 내용이 유익했다면 영상 하단의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이 채널은
'정신과' 란 어떤 곳인지,
'정신과 질환' 은 어떤 것이며 어떻게 나을 수 있는지
'심리학'이란 무엇이며,
'심리학'을 일상생활, 사회생활, 인간관계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쉽고 간단하게 정리해서
시청자분들께 말씀드릴 목적으로 개설했습니다

영상 시청 정말 감사드리며,
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더불어 제 채널에 들러주신 점 역시 정말 감사드립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BGM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3aRrpK8BSjk
@user-dh5is1ws9r : 사회불안장애(사회공포증, 대인기피증) 의 전반에 대해 알기 쉽게 말씀드렸습니다. 스스로가 어떠한 유형에 속해있는지, 어떠한 인지오류, 인지왜곡이 있는지 알아보는 좋은 기회가 되겠습니다
@user-dq1tq4lq1u : 어릴때는 되게 밝고 명량하고 활달했던 내가 어느새 나도 모르게 대인기피증이 생겨 버렸습니다 버스나 지하철도 잘못타고요 사람들 많은 곳에 있으면 손이떨리고 식은땀이 막납니다 너무심각해요 세상살이에 데이고 사람들한테 하도 데여서 인지 엄청심합니다 진짜 힘드네요
@ong8235 : 그냥 겄다보면 모두가 날 쳐다보는 것같고 지나가는 차 안에서도 나를 쳐다보는것 같고 조용하게 얘기하며 지나가는 사람들이 내 이야기를 하는 것같어..
@user-ju3rh3xn4l : 사람들과 같이살아가는세상에서 사람을 무서워하고 사회활동을 무서워한다는건 참 쓸쓸한일인거같아요
@user-wh3oe3ep2h : ※ 발병 원인: 어렸을때부터 지나치게 자기 행동을 억제 + 실수를 용납하지 않은 양육환경 9:00

인지 오류 패턴 8:10
1 과도하게 높은 사회적 기준 : 모든 사람으로 부터 칭찬과 인정을 받아야한다
2 실수하면 나를 무시할 것이다
3 자신에대한 부정적 신념 : 다른 사람보다 열등하고 부족하다

사회공포증, 사회불안장애, 사람을 만나는게 어색하고 무서울 때 : 닥터U의 ' 대인기피 완치훈련 '

대인기피가 길어지면 우울증, 공황장애, 중독 등의 증세가 나타납니다. 대인기피 빠르면 3개월, 늦어도 6개월이면 완치 할 수 있습니다.

· 닥터U와 함께 : https://doctoru.kr
· 닥터U 훈련센터 : 02-540-7787
· 10kg 훈련센터 : 02-540-7325
· 카톡채널 : http://pf.kakao.com/_yfIxms

닥터U 유태우 박사는 누구?
- 현 닥터U 훈련센터 원장
- 전 서울대 의대 가정의학교실 주임교수
- 전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 책임교수
- 오리온 닥터YOU 설계 및 개발


저서
'누구나 10kg 뺄 수 있다', '유태우의 질병완치', '닥터U의 여자의 물' 등
@WithDrU : · 닥터U에게 질문하기 doctoru.kr/C/?v=818
· 닥터U의 명쾌한 답변 보기 doctoru.kr/?U=Y
· 닥터U 훈련센터 : 02-540-7787
· 카톡채널 pf.kakao.com/_yfIxms
@ahope5373 : 조금만 나에게 차갑게 대해도 상처받는 내 모습이 싫어요 스스로 굽히게 되네요.
@user-rn6vp2bg6m : 정말 도움이 많이 되는 강의네요 남 눈치 많이 보고 자기가 어떻게 보일지 많이 신경 쓰는 사람한테 딱입니다 바로 저한테요....ㅠㅠ 저 같은 사람이 어느 부분에서 두려워하고 위축되는지 너무 잘 이해하시는 것 같아요
@user-ef7we6wv3e : 1.자아정체성의 미확립
2.비교와 열등감
3.예민한 몸과 맘
4.관계능력 부족
5.직장등의 따돌림 경험
ㅡㅡㅡㅡㅡ
완치훈련
1.내 몸과맘 받아들이기(내가 왜이러지가 아니고 내가 그렇구나,내가 남과 다르구나 받아들이기, 10프로씩 덜하고(놀기도!!), 식사시간 자는시간정확히 지키기
2.비교균형 훈련(동시에 반드시 저사람은 없는데 내가 있는것을 꼭 찾아보기,한개이상 분명히 있다)
3. 나 훈련하기 (남을 보류하고 나 표현하기,맞건실수건 아니건)
4.대체관계 줄이기(문자관계,오타쿠,)
5. 관계의 거리 정하기(나가친동적속고사:나,가족,친구,동료,적,사회)ㅡ스스로 정하기
6.맞서기 훈련-비판,비난,지적질받기(처음엔 고통스러운데 계속하기)
7.내가 남의 약점 비판하기(이것도 첨에 안될것이다,연습해라)
8. 화내기(남의 시선에 신경쓰지말고 무작정 화내기)
9.싸우기(싸워서 질것이다,,그래도 계속 싸우기)
10.싸워서 이기기까지 가기
11.꼬시기(내가 조아하는사람말고 나에게 관심이 있는사람을 꼬시기-이사람이 무엇에 관심이 있을지 보고 질문하기-경청하면서 질문하기-추임새넣고 동의해주기):10명꼬셔서 9명한테 거절당할수있다 그래도꼬시기
12. 내가 조아하는사람 꼬시기
13. 같이,함께,또혼자 ㅡ 모두에게 이롭게

((3-6개월이면 완치가능))
@dorothysky5697 : 선생님 너무 겸손하세요 재밌는 강의와 지지 감사드려요~~

... 

#대인 공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464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