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캐치업7
페이지 정보
본문
07. 인테리어 실무 자가 알려주는 스케치업 기초 강좌. 모델링 기초. 팔로우미, 스케일, 옵셋, 치수, 각도기, 텍스트, 축, 3D텍스트. [디와이]
인테리어 실무자가 알려주는 스케치업 강좌. 스케치업으로 BIM 따라하기. 디테일의 끝을 보여줄게요.
오늘은 모델링- 팔로우미, 스케일, 옵셋, 치수, 각도기, 텍스트, 축, 3D텍스트 관련 내용입니다.
FOLLOW ME 설명
SCALE 설명
OFFSET 설명
DIMENSIONS 설명
PROTRACTOR 설명
TEXT 설명
AXES 설명
3D TEXT 설명
@idolomba6095 : 이해가 쉬우니 전혀 지루하거나 재미가 없거나 하지 않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bi8tm6rz6m : 진심으로 강의를 잘 하시네요.머리에 속 속 들어오게 하네요.저는 지루하지 않다고 해요 .상세 하게 설명 해주는게 더 좋아요. 강좌가 깔끔하고 ,고맙게 잘 보고 있어요.
@Songbastian : 감사합니다!! 너무 좋은 강의예요~
저는 인테리어 시공을 하고있고, 인터넷페이지와 독학으로 간단한 스케치업 을 조금 배워 금속 발주할때 미리 그려보곤 했는데, 스케치업 기본개념이 없어서 종종 방법을 모르거나 해서 답답한 경우가 있었는데 디와이님 덕분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youngshinpark9601 : 감사합니다. 강의 정말 좋아요^^
@bhkim490 : 강좌가 깔끔합니다. 고맙게 잘 보고 있어요~^^
35. SketchUp - 스케치업 7 그림자 (Shadow Settings)
스케치업의 그림자 설정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렌더링이라고 하는 작업은 ... 포괄적인 의미로 본다면 "빛"을 이용해 음영을 표현하고 이를 통해 이미지에 입체감을 부여라는작업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좁은 의미로는 CG 의 실사같은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작업을 말하지만 포괄적인 의미의 렌더링
을 스케치업에 적용을 한다면 바로 이 그림자를 통해 스케치업은 빛을 표현하고 이미지에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스케치업의 버전이 높아짐에 따라 이 그림자 설정도 더더욱 구글서비스와 연동되면서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점차 더 복잡해지고 여러가지가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작용하게 되고 있습니다.
스케치업의 그림자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 알아야 할 몇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Shadow Settings
② Location(지역) 설정
③ Entity Info 의 Shadow 옵션 설정
위 세가지 항목이 서로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기능들이 담당하는 역할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일단 스케치업 7 의 Shadow Settings / Location / Entity Info 의 기능들을 차례로 살펴보고 스케치업 8로 넘어가면서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을 하고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스케치업 8을 쓰시는 분들은 스케치업 7과의 중복 부분은 건너뛰고 설명할 예정이니 들어두시길 바랍니다.]
@user-fl5cs6hh5t : 웹툰에서 사용하는 건가요?
36. SketchUp - 스케치업 7 지역설정(Location)
스케치업의 그림자 설정에 대해 지난 시간에 이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살펴본 Shadow Settings 항목은 결국 태양의 위도와 경도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날짜와 시간을 조절해서 그림자를 변경하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스케치업에서 위도와 경도는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원하는 지역으로 설정을 자유롭게 바꾸는 방법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① Shadow Settings
② Location(지역) 설정
③ Entity Info 의 Shadow 옵션 설정
스케치업은 국가와 도시를 선택함에 따라 자동으로 위도와 경도가 설정됩니다. 이 기능은 Window / Model Info / Location 에서 수행하게 되는데 여기서 설정한 값에 따라 태양의 고도가 결정이 되게 되는 겁니다.
위도와 경도가 Location 에 의해 결정이 되지만... 도면상의 방위표시에 의해 북쪽을 설정하는 경우 일조량 분석이나 채광 등을 정교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설계를 하는데 있어서 요긴하게 사용될 때가 있습니다.
인테리어 실무자가 알려주는 스케치업 강좌. 스케치업으로 BIM 따라하기. 디테일의 끝을 보여줄게요.
오늘은 모델링- 팔로우미, 스케일, 옵셋, 치수, 각도기, 텍스트, 축, 3D텍스트 관련 내용입니다.
FOLLOW ME 설명
SCALE 설명
OFFSET 설명
DIMENSIONS 설명
PROTRACTOR 설명
TEXT 설명
AXES 설명
3D TEXT 설명
@idolomba6095 : 이해가 쉬우니 전혀 지루하거나 재미가 없거나 하지 않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bi8tm6rz6m : 진심으로 강의를 잘 하시네요.머리에 속 속 들어오게 하네요.저는 지루하지 않다고 해요 .상세 하게 설명 해주는게 더 좋아요. 강좌가 깔끔하고 ,고맙게 잘 보고 있어요.
@Songbastian : 감사합니다!! 너무 좋은 강의예요~
저는 인테리어 시공을 하고있고, 인터넷페이지와 독학으로 간단한 스케치업 을 조금 배워 금속 발주할때 미리 그려보곤 했는데, 스케치업 기본개념이 없어서 종종 방법을 모르거나 해서 답답한 경우가 있었는데 디와이님 덕분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youngshinpark9601 : 감사합니다. 강의 정말 좋아요^^
@bhkim490 : 강좌가 깔끔합니다. 고맙게 잘 보고 있어요~^^
35. SketchUp - 스케치업 7 그림자 (Shadow Settings)
스케치업의 그림자 설정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렌더링이라고 하는 작업은 ... 포괄적인 의미로 본다면 "빛"을 이용해 음영을 표현하고 이를 통해 이미지에 입체감을 부여라는작업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좁은 의미로는 CG 의 실사같은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작업을 말하지만 포괄적인 의미의 렌더링
을 스케치업에 적용을 한다면 바로 이 그림자를 통해 스케치업은 빛을 표현하고 이미지에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스케치업의 버전이 높아짐에 따라 이 그림자 설정도 더더욱 구글서비스와 연동되면서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점차 더 복잡해지고 여러가지가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작용하게 되고 있습니다.
스케치업의 그림자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 알아야 할 몇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Shadow Settings
② Location(지역) 설정
③ Entity Info 의 Shadow 옵션 설정
위 세가지 항목이 서로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기능들이 담당하는 역할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일단 스케치업 7 의 Shadow Settings / Location / Entity Info 의 기능들을 차례로 살펴보고 스케치업 8로 넘어가면서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을 하고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스케치업 8을 쓰시는 분들은 스케치업 7과의 중복 부분은 건너뛰고 설명할 예정이니 들어두시길 바랍니다.]
@user-fl5cs6hh5t : 웹툰에서 사용하는 건가요?
36. SketchUp - 스케치업 7 지역설정(Location)
스케치업의 그림자 설정에 대해 지난 시간에 이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살펴본 Shadow Settings 항목은 결국 태양의 위도와 경도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날짜와 시간을 조절해서 그림자를 변경하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스케치업에서 위도와 경도는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원하는 지역으로 설정을 자유롭게 바꾸는 방법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① Shadow Settings
② Location(지역) 설정
③ Entity Info 의 Shadow 옵션 설정
스케치업은 국가와 도시를 선택함에 따라 자동으로 위도와 경도가 설정됩니다. 이 기능은 Window / Model Info / Location 에서 수행하게 되는데 여기서 설정한 값에 따라 태양의 고도가 결정이 되게 되는 겁니다.
위도와 경도가 Location 에 의해 결정이 되지만... 도면상의 방위표시에 의해 북쪽을 설정하는 경우 일조량 분석이나 채광 등을 정교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설계를 하는데 있어서 요긴하게 사용될 때가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