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철물점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래시피 조회 13회 작성일 2023-10-19 11:18:08 댓글 0

본문

제철소에선 뭘 만들까?│단조에서 주조까지! 철광석을 강철로 만드는 과정│철, 세상을 움직이다│초대형 대장간│다큐프라임│#골라듄다큐

※ 이 영상은 2008년 11월 27일에 방송된 <다큐프라임 - 원더풀 사이언스 철, 세상을 움직이다>의 일부입니다.

철은 문명과 산업화의 씨앗이자 뿌리다. 인류가 급격한 발전을 시작한 것도 철을 대량 생산하고 사용하게 된 18세기 후반, 산업혁명이 시작하게 되면서이다. 철의 주재료인 철광석과 석탄을 용광로에 넣고 쇳물을 만드는 제선공정과 제강공정 그리고 가공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철은 작은 바늘에서 수십만 톤의 대형선박이나 무한한 우주 공간을 항해하는 우주선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꿈을 현실화시켜 온 숨은 주역이다.
한때 IT산업 등에 밀려 ‘저성장 굴뚝산업’, ‘사양산업’등으로 불리며 폄하되기도 했던 철강산업이 21세기 들어 그 진가를 재조명받고 있다.
철의 끊임없는 발전과 그 속에 숨겨진 과학, <원더풀 사이언스 -철, 세상을 움직이다>에서 알아본다.

1.자동차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한, 철
철의 대량생산이 없었다면 자동차의 대량생산은 꿈도 꾸지 못할 일이었다?!
자동차에서 철강이 사용되는 비율은 약 60%로 철이 없다면 자동차 자체가 불가능한 일이다. 심지어 자동차의 타이어에도 철이 들어가 있다면? 놀랄 사람이 많을 텐데 바로 ‘스틸 타이어코드’라는 철이 들어가 타이어의 강도를 좋게 만드는데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용 강재는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은 물론 연비와도 직결되는 하이테크제품으로 수많은 철강제품 가운데 철강기술을 가늠할 수 있을 만큼 부가가치가 높은 기술의 척도다. 최근 자동차산업의 트렌드는 경량화로 전 세계가 가벼우면서도 강도는 높은 철강소재나 가공법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최근에 주목을 받는 기술이 바로 하이드로포밍(Hydroforming). 액체상태의 물질을 이용해 철판을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는 기술인 하이드로포밍은 튜브를 이용해서 한 번에 성형할 수 있어서 부품의 강도가 좋아지고 더불어 경량화도 25%정도 향상시킬수 있다. 그리고 두께와 강도가 서로 다른 강재를 레이저로 용접해서 한꺼번에 성형하는 기술인 TWB(Tailor Welded Blanks, 맞춤재단용접강판)도 경량화를 위한 신기술의 하나다! 현대인의 대중적인 운송수단인 자동차, 더 가볍고 강한 자동차를 향한 자동차 강재의 숨어있는 과학을 알아본다.

2. 더 튼튼하고 강한 건축을 위한 주요 소재
건축에 철이 주재료가 되면서 초고층건물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건설 중인 버즈 두바이는 160층, 전체높이 810m로 내년이면 세계 최고층의 기록을 갈아치우게 된다. 콘크리트보다 강도가 높고 지진에도 잘 견디는 강철은 건축에서 보강재 역할이 아니라, 주요 소재가 되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힘을 받는 부분인 구조재에 경량철을 사용해서 짓는 친환경 주택인 스틸하우스가 눈길을 끌고 있다. 일반주택보다 공사기간도 짧고 오랜 시간이 지나도 골조 등을 재활용 할 수 있으며, 건물을 지탱하는 기둥의 면적이 줄어들어 내부 설계도 자유로운 이 스틸하우스를 떠받치는 강재가 자동차에 쓰이는 것과 동일한 소재라니? 건축에서의 철의 진화를 살펴본다.

3. 합금, 철의 끊임없는 변신
철의 골칫거리가 녹이라고? 공기에 노출되거나 물을 만나면 쉽게 산화물로 돌아가 녹이 스는게 철의 문제점인데, 이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한 것이 바로 합금이다. 대표적인 철의 합금은 스테인리스강이다. 스테인리스하면 가전용품이나 주방기구만 떠오르기 쉬운데, 녹이 슬지 않고 고온에서 실시하는 소독에도 잘 견디는 장점 덕분에 의료부분에서도 널리 쓰여 인공장기에 유용하게 이용된다는 것! 인간의 생명을 연장시켜주는 철을 만나본다.

4. 파이넥스(FINEX), 철의 친환경 시대가 열리다!
철의 매력이라고 하면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꼽을 수 있다. 철강제품의 50%이상은 재활용이 된 것들인데 철을 재활용할 경우 새로 철강소재를 생산하는데 드는 에너지의 1/3밖에 사용되지 않는다. 음식물의 포장용기로 사용되는 스틸캔은 대표적인 재활용품이다. 특히 몸통과 아래뚜껑이 하나의 조각이고, 윗뚜껑은 따로 만들어서 붙여 만드는 투피스캔은 사소해보이지만 하이테크 제품이다.
철의 친환경성에도 불구하고 제철업이라 하면 석탄이나 철광석을 덩어리로 만드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생기는 공해물질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철’이라 하면 굴뚝산업을 떠올리곤 하였다. 그러나 지난해, 이 한계를 극복할 획기적인 공법인 파이넥스(FINEX)가 개발되었다. 철의 친환경시대가 열린 것이다. 친환경적인 신 철기시대, 어떻게 가능했던 것일까?

5. 미래지향적 소재로서의 철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소재인 철, 철은 딱딱하고 튼튼한 소재로서의 모습으로 그 자리에 머무는 것이니라, 다양한 방법과 소재로 우리 생활에서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단순히 합금을 통해 철의 성능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철의 조직 자체를 제어해 미세조직을 변화시킴으로써 철의 성능을 녹이는 기술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차세대 후판으로 불리는 ‘TMCP강’이 바로 그 예다. 게다가 특수한 표면처리를 통해 철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도 연구가 되고 있는데, 철을 만져도 지문이 남지 않는 내지문강이나, 비가 오면 건물을 스스로 청소하는 자기세정강등...철은 미래지향적 소재로 발전하고 있다. 무궁무진한 철의 발전은 어디까지일지 철의 끊임없는 발전을 만나본다.

✔ 프로그램명 : 다큐프라임 - 원더풀 사이언스 철, 세상을 움직이다
✔ 방송 일자 : 2008.11.27

#다큐프라임 #제철소 #강철 #철강 #주조 #단조 #압연 #생산 #산업
@EBSDocumentary : ※ 이 영상은 2008년 11월 27일에 방송된 <다큐프라임 - 원더풀 사이언스 철, 세상을 움직이다>의 일부입니다.
@judeselee : 재료공학 전공생들의 필수 시청각 자료
@paradisep7732 : 제철회사의 노력과 열정 너무 멋있습니다.
@davidmath1929 : 옛날에 포항제철소로 견학을 갔었는데, 진짜 철덩어리가 완전 뜨거워서
한 30m? 떨어져있었는데도 60도 수준의 사우나 방정도의 열기가 느껴지더라..
저런 곳에서 일하시는 분들 존경스럽습니다.
@higarihaha7952 : 봐도 뭔지 모르겠고 들어도 뭔말인지 모를만큼 엄청 거대하고 복잡한 설비에서 생산되는데 참 대단하다

철물점 개업 2년 후 현황 매출 와~~~ 지역 건설사 섭렵



왜 동네 철물점은 안 망할까?

지나가다 이런 가게들 본 적 있나? 동네마다 하나씩은 있는 작고 허름한 철물점이다. 잔뜩 쌓인 각종 공구와 부품들이 흡사 해리포터에 나오는 지팡이 상점을 방불케 하는데. 이런 동네 철물점들, 적게는 5년 많게는 수십 년 동안 한 자리를 외로이 지키고 있다. 유튜브 댓글로 “동네마다 있는 철물점은 손님도 안 보이던데, 왜 안 망하는지 알아봐 달라”는 의뢰가 들어와 취재해 봤다.

#철물점 #궁금증 #취재대행소왱

▼▼▼ 댓글로 취재를 의뢰하세요! ▼▼▼
@chocobeeda : 철물점+수리 = 절대 안망함.. 실제로 유튜브채널하던 철물점 대박나시고 어려운분들 기술가르쳐서 체인점비슷하게 가게 내시더라구요
@brication2233 : 11년 살았던 동네 철물점은 이사오기전부터 쭉 있던 가게였는데 가게가 상당히 크고 건축자재까지 취급하면서 예약하면 현장에서 필요한 건축자재를 수급할수도 있어서 가족인지는 몰라도 직원을 두고 운영하시는데 철물점은 구경하는 재미가 좀 있었음. 각종 공구에다 자재들이 사이즈별로 다 다르고 가정에서 많이들 쓰는 소품들도 꽤 많이 있어서 한번 들어가면 두리번두리번 계속하게 되는데 살게 없어도 한 번 구경만 하고싶긴 한데 차마 말을 못 붙여봄.
@tumokmin : 부부가 운영하는 아파트 단지 옆 오래된 철물점은 남편분이 늘 출장 나가계셔서 사모님이 가게를 지키고 계시더라고요. 저희집도 전기 배관 문제 때문에 출장 요청 드려서 일하시는거 지켜보니까 자제 값보다도 인건비가 출장비의 대부분인것 같아서 마진이 많이 남으시는것 같았습니다.
@user-yh5gg1ms5r : 그냥 엄청많이 일해서 유지하는거네 대단하다. 군대때도 군무원님들 생각하면 군부대 근처 철물점에서 많이 사가시는거 많이 봤었는데 다 법인카드로 결제하니까 딱 필요한것들만 소비하는데도 엄청 많이 들던게 기억나네요.
@jssy2578 : 건설회사 공무직원으로 일하는데 , 당일 급하게 필요한 자재는 현장근처에 있는 철물점에서 구매합니다. 어느 철물점이든 필요한건 거의 다 있습니다. 이 업계 다니기전엔 철물점 누가 가나 했는데 거의 일주일에 한두번은 꼭 들를일이 생기더군요

... 

#광양철물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423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