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재생
페이지 정보
본문
쏟아지는 100톤 플라스틱 쓰레기를 곱게 갈아 12번 푹 고아 내면 생기는 일│페트병 100톤 푹 끓이기│내 옷의 '폴리에스터' 어떻게 만들까?│극한직업│#골라듄다큐
※ 이 영상은 2019년 2월 13일에 방송된 <극한직업 - 고물의 재탄생! 자동차 해체와 재활용 의류>의 일부입니다.
1인당 플라스틱 소비량 세계 1위의 오명을 지닌 2019년의 대한민국!
그 심각성은 누구나 공감하지만, 현실적으로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환경과 공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경제’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는 요즘! 버려지는 플라스틱을 재활용해 재생 섬유로 탈바꿈시키는 이들이 있다.
경기도 김포의 플라스틱 처리 업체, 매일 100여 톤의 플라스틱 페트병이 들어온다는 이곳에선 색상, 재질별로 페트병을 분류해 재생 섬유의 원료가 되는 ‘플레이크’ 상태로 만들어낸다.
어마어마한 작업량에 맞춰 대부분 자동화 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작업은 절대 간단하지 않다. 특히 접착제를 사용해 단단히 부착시킨 라벨을 제거하는 작업에만 같은 공정을 무려 12번이나 반복해야 한다고 한다.
길고 긴 과정을 거쳐 재생 ‘플레이크’가 완성되면, 이를 사용해 또 다른 공장에서 재생 섬유로 만들어내게 된다.
처치 곤란 폐기물 신세에서 누군가의 보물로 환골탈태하게 된 고물들의 재탄생! 그 뒤에서 묵묵히 구슬땀을 흘리는 작업자들을 만나 본다.
✔ 프로그램명 : 극한직업 - 고물의 재탄생! 자동차 해체와 재활용 의류
✔ 방송 일자 : 2019.02.13
#극한직업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환경 #플라스틱 #페트병 #공장 #현장 #산업
@EBSDocumentary : ※ 이 영상은 2019년 2월 13일에 방송된 <극한직업 - 고물의 재탄생! 자동차 해체와 재활용 의류>의 일부입니다.
@user-fn3vp8uo1w : 집에서 분리 수거를 하자고 해도 제조하는 인간들이 워낙 단단하게 붙여놔서 잘떨어지지도 않음 떨어지지 않게 붙여 놓으면 제조자에게 환경 분담금이나 이런것을 쎄게 물려야 함
@user-dz8mm9ky4q : 재활용 업체는 진짜 국가에서 도와줘야 한다
@barenmal5461 : 이런회사는 진짜 지원 많이 해줘야 한다
@popdart : 재활용 쓰레기 처리가 늘 궁금했는데, 진짜 재밌게 잘 봤습니다 역시 EBS!
요즘 좀 개선되긴 했지만, 페트병은 재활용이 용이하게 제조하도록 법을 강력하게 적용해야 할 거 같네요.
폐플라스틱 재생업으로 잘나가는 이 기업 [압권 17화]
본 영상은 SK지오센트릭의 제작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 2023년이 다가오는 지금,
송길영 부사장님의 차원이 다른 인사이트가 궁금하다면?
새롭게 공개된 ✨미래대학 확장판+✨에 함께하세요.
블로그 후기 : https://blog.naver.com/palmarius/222874923856
링크 클릭 : https://bit.ly/3VnkeEe
■ 투자 기초 체력을 길러두어, 때가 왔을 때 확실히 도약할 수 있도록!
12월 31일 수강신청 마감되는 기간 한정 [펀더멘탈 패키지 : 주식\u0026부동산]
링크 클릭 : https://bit.ly/3FIxlul
■ 2023년 투자 계획을 고민하고 있다면? "2023 베스트 투자 전략"
✨다이어리 전원 증정 \u0026 수강료 최대 37% 할인✨ (~12/31 마감)
링크 클릭 : https://bit.ly/3UmGAED
■ [무릎팍도사], [상상플러스], [무한도전] 레전드 예능 작가 문은애가 전하는 이야기
✨빠르게 대체되는 시대, 내 안의 창의성을 일깨우는 시간✨
링크 클릭 : https://bit.ly/3VESXNV
---------------------------------------------------------------------------------------------------
■ 2023년을 이웃을 위한 나눔과 함께 준비해보세요.
2023년 삼프로TV 다이어리 \u0026 캘린더 세트 판매 수익금은 자립준비청년을 위하여 기부됩니다.
다이어리 \u0026 캘린더세트 구매하러 가기 : https://url.kr/z165oa
---------------------------------------------------------------------------------------------------
기업에서도 삼프로TV의 강연을 만나고 싶다면!
edu@3protv.com 또는 02-2118-0705로 연락주세요.
---------------------------------------------------------------------------------------------------
★ 삼프로TV 고객센터 : 02-2118-0707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
★ 광고 및 협업 문의 :
- 설문지 작성 : https://url.kr/yi4rpg
- 연락처 : 010-2090-6748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
- 이메일 : ad@ebroadcasting.co.kr
#경제의신과함께 #삼프로TV #신과함께
[주의요망]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에 출연하시는 분들은 문자/카톡/전화를 통해 절대 주식 리딩방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 클릭하시어 스미싱 또는 사기 피해 받지 않으시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3protv : 본 영상은 SK지오센트릭의 제작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삼프로TV는 경제, 금융, 투자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의견을 존중합니다. 또 콘텐츠에 대한 비판과 평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하지만 출연자에 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인신공격, 비하성 표현이 담긴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삼프로TV가 건강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시청자 여러분이 도와주십시오.
늘 감사합니다!
@anniesong1868 :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할라면, 플라스틱을 만드는 기업, 소비하는 사람, 버리는 사람, 수거, 처리하는 업체 모두 다 힘을 합해야 한다는데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플라스틱 순환체계 전반에 대해 알 수 있어서 유익한 컨텐츠였어요. 권팀장님 짱!
@user-ns9dg8il4k : 플라스틱 사용을 줄여보려고 해도 완전히 쓰지 않을 수 없다는 점도 와닿았고요... 일회용 플라스틱은 줄여나가는 것과 더불어 재활용을 대규모로 해나간다니 응원합니다! 설명 깔끔하네요!!
@Soyoho-fx4qb : 재활용 프라스틱에 고유번호를 부여해서 누구나 쉽게 번호 대로 세분해서 분리수거 되도록 해보면 좋겠네요
~가령~ PP는1번,펫트병은2번,PVC3번,종이 우유용기는4번,캔은5번,일반유리6번,음료유리병7번ᆢ등으로 번호보고 분리수거 할수있도록 제품생산시 번호가 표시되도록 재활용마크안에 넣으면 좋겠네요
@user-ko4ge5pl1j : 플라스틱 재활용은 어치하는지 알지도 못하고 궁금했는데 이렇게 알려주니 좋아요.
재활용 깨끗히 열심히 한다고 했는데, 영상보고 공부도 돼고 재미도 있어요.
하지만 주변을 보면 의식이 바꿔야할 사람도 많고..
우리나라의 정책도 국민들의 의식도
좋은 방향으로 갔으면 좋겠어요.
이런 영상으로 온 국민을 교육할 수 있으니 좋네요. 많은 사람들이 보고 알아가면 좋겠어요.
'분리수거 제대로 했는데'...플라스틱 재활용 힘든 이유 - BBC News 코리아
개발 당시만 하더라도 최고의 발명품이란 찬사를 받았던 플라스틱. 하지만 지금은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불린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20년 전보다 2배가 증가해, 매년 4억 6000만t에 이르는 플라스틱이 생산된다.
재활용을 해도 생산된 플라스틱의 단 9%만 재활용되고 있다. 나머지는 대부분 매립, 소각 또는 그대로 환경으로 유출되고 있다.
독일 등 비교적 재활용이 잘되는 국가도 있지만, 수거 기반시설조차 없는 국가들도 많다.
플라스틱 재활용이 어려운 이유는 뭘까?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BBC News 코리아: bbc.com/korean
#플라스틱 #재활용 #분리수거 #환경
@kangho76 : 한국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도 뉴스로 내보내줬으면 좋겠음. 시민들은 잘하고 있다고 하지만 그 재활용품이 어떻게 처리가 되는지 궁금함. 그 전엔 남 욕 할것도 없고
@han002k : 우리가 열심히 분리를 해도 대부분은 재활용 안되는 플라스틱이라고 하더라구요. 투명페트병이 가장 재활용 잘되고 나머지 플라스틱종류는 거의다 일반 쓰레기라고 합니다.
@Puppytobee : 재활용 분리수거가 정말 의미없다고 느껴짐. 우리집이 주택 관리자로서 내가 분리수거 담당을 하는데 볼 때마다 한숨이 나옴. 페트병은 그 네임텍 안 떼고 버리는 게 태반이고 카페에서 커피 테이크 아웃하고 먹은 다음 내용물 남긴 채로 버리는 경우도 많음. 플라스틱 아닌데 플라스틱 버리는데다가 버리는 건 예산일도 아님. 비닐은 비닐인지 아닌지 버리는 사람들이 구분도 못함. 그냥 버림. 종이도 종이 나름인데 안 뜯은 나무 젓가락 그냥 버리는 경우도 많고 휴지도 버리고 박스는 겁나 많아.
@windy7707 : 연료로 사용할수 없을까? 아 심각하네. .저런것들이 우리몸으로 다시 들어올텐데. .
@user-sjiwkdkncbznq : 잘봤습니다. 어차피 재활용안되면 분리수거를 안하고 일반쓰레기에 다 넣어서 버리면 되겠군요.
기업에서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제품을 만들기 시작하면 그때부터 분리수거를 하겠습니다.
소비자가 책임을 느낄것이 아니라 기업이 느껴야되는 부분이라고 보이네요.
※ 이 영상은 2019년 2월 13일에 방송된 <극한직업 - 고물의 재탄생! 자동차 해체와 재활용 의류>의 일부입니다.
1인당 플라스틱 소비량 세계 1위의 오명을 지닌 2019년의 대한민국!
그 심각성은 누구나 공감하지만, 현실적으로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환경과 공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경제’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는 요즘! 버려지는 플라스틱을 재활용해 재생 섬유로 탈바꿈시키는 이들이 있다.
경기도 김포의 플라스틱 처리 업체, 매일 100여 톤의 플라스틱 페트병이 들어온다는 이곳에선 색상, 재질별로 페트병을 분류해 재생 섬유의 원료가 되는 ‘플레이크’ 상태로 만들어낸다.
어마어마한 작업량에 맞춰 대부분 자동화 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작업은 절대 간단하지 않다. 특히 접착제를 사용해 단단히 부착시킨 라벨을 제거하는 작업에만 같은 공정을 무려 12번이나 반복해야 한다고 한다.
길고 긴 과정을 거쳐 재생 ‘플레이크’가 완성되면, 이를 사용해 또 다른 공장에서 재생 섬유로 만들어내게 된다.
처치 곤란 폐기물 신세에서 누군가의 보물로 환골탈태하게 된 고물들의 재탄생! 그 뒤에서 묵묵히 구슬땀을 흘리는 작업자들을 만나 본다.
✔ 프로그램명 : 극한직업 - 고물의 재탄생! 자동차 해체와 재활용 의류
✔ 방송 일자 : 2019.02.13
#극한직업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환경 #플라스틱 #페트병 #공장 #현장 #산업
@EBSDocumentary : ※ 이 영상은 2019년 2월 13일에 방송된 <극한직업 - 고물의 재탄생! 자동차 해체와 재활용 의류>의 일부입니다.
@user-fn3vp8uo1w : 집에서 분리 수거를 하자고 해도 제조하는 인간들이 워낙 단단하게 붙여놔서 잘떨어지지도 않음 떨어지지 않게 붙여 놓으면 제조자에게 환경 분담금이나 이런것을 쎄게 물려야 함
@user-dz8mm9ky4q : 재활용 업체는 진짜 국가에서 도와줘야 한다
@barenmal5461 : 이런회사는 진짜 지원 많이 해줘야 한다
@popdart : 재활용 쓰레기 처리가 늘 궁금했는데, 진짜 재밌게 잘 봤습니다 역시 EBS!
요즘 좀 개선되긴 했지만, 페트병은 재활용이 용이하게 제조하도록 법을 강력하게 적용해야 할 거 같네요.
폐플라스틱 재생업으로 잘나가는 이 기업 [압권 17화]
본 영상은 SK지오센트릭의 제작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 2023년이 다가오는 지금,
송길영 부사장님의 차원이 다른 인사이트가 궁금하다면?
새롭게 공개된 ✨미래대학 확장판+✨에 함께하세요.
블로그 후기 : https://blog.naver.com/palmarius/222874923856
링크 클릭 : https://bit.ly/3VnkeEe
■ 투자 기초 체력을 길러두어, 때가 왔을 때 확실히 도약할 수 있도록!
12월 31일 수강신청 마감되는 기간 한정 [펀더멘탈 패키지 : 주식\u0026부동산]
링크 클릭 : https://bit.ly/3FIxlul
■ 2023년 투자 계획을 고민하고 있다면? "2023 베스트 투자 전략"
✨다이어리 전원 증정 \u0026 수강료 최대 37% 할인✨ (~12/31 마감)
링크 클릭 : https://bit.ly/3UmGAED
■ [무릎팍도사], [상상플러스], [무한도전] 레전드 예능 작가 문은애가 전하는 이야기
✨빠르게 대체되는 시대, 내 안의 창의성을 일깨우는 시간✨
링크 클릭 : https://bit.ly/3VESXNV
---------------------------------------------------------------------------------------------------
■ 2023년을 이웃을 위한 나눔과 함께 준비해보세요.
2023년 삼프로TV 다이어리 \u0026 캘린더 세트 판매 수익금은 자립준비청년을 위하여 기부됩니다.
다이어리 \u0026 캘린더세트 구매하러 가기 : https://url.kr/z165oa
---------------------------------------------------------------------------------------------------
기업에서도 삼프로TV의 강연을 만나고 싶다면!
edu@3protv.com 또는 02-2118-0705로 연락주세요.
---------------------------------------------------------------------------------------------------
★ 삼프로TV 고객센터 : 02-2118-0707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
★ 광고 및 협업 문의 :
- 설문지 작성 : https://url.kr/yi4rpg
- 연락처 : 010-2090-6748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
- 이메일 : ad@ebroadcasting.co.kr
#경제의신과함께 #삼프로TV #신과함께
[주의요망]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에 출연하시는 분들은 문자/카톡/전화를 통해 절대 주식 리딩방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 클릭하시어 스미싱 또는 사기 피해 받지 않으시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3protv : 본 영상은 SK지오센트릭의 제작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삼프로TV는 경제, 금융, 투자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의견을 존중합니다. 또 콘텐츠에 대한 비판과 평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하지만 출연자에 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인신공격, 비하성 표현이 담긴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삼프로TV가 건강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시청자 여러분이 도와주십시오.
늘 감사합니다!
@anniesong1868 :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할라면, 플라스틱을 만드는 기업, 소비하는 사람, 버리는 사람, 수거, 처리하는 업체 모두 다 힘을 합해야 한다는데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플라스틱 순환체계 전반에 대해 알 수 있어서 유익한 컨텐츠였어요. 권팀장님 짱!
@user-ns9dg8il4k : 플라스틱 사용을 줄여보려고 해도 완전히 쓰지 않을 수 없다는 점도 와닿았고요... 일회용 플라스틱은 줄여나가는 것과 더불어 재활용을 대규모로 해나간다니 응원합니다! 설명 깔끔하네요!!
@Soyoho-fx4qb : 재활용 프라스틱에 고유번호를 부여해서 누구나 쉽게 번호 대로 세분해서 분리수거 되도록 해보면 좋겠네요
~가령~ PP는1번,펫트병은2번,PVC3번,종이 우유용기는4번,캔은5번,일반유리6번,음료유리병7번ᆢ등으로 번호보고 분리수거 할수있도록 제품생산시 번호가 표시되도록 재활용마크안에 넣으면 좋겠네요
@user-ko4ge5pl1j : 플라스틱 재활용은 어치하는지 알지도 못하고 궁금했는데 이렇게 알려주니 좋아요.
재활용 깨끗히 열심히 한다고 했는데, 영상보고 공부도 돼고 재미도 있어요.
하지만 주변을 보면 의식이 바꿔야할 사람도 많고..
우리나라의 정책도 국민들의 의식도
좋은 방향으로 갔으면 좋겠어요.
이런 영상으로 온 국민을 교육할 수 있으니 좋네요. 많은 사람들이 보고 알아가면 좋겠어요.
'분리수거 제대로 했는데'...플라스틱 재활용 힘든 이유 - BBC News 코리아
개발 당시만 하더라도 최고의 발명품이란 찬사를 받았던 플라스틱. 하지만 지금은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불린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20년 전보다 2배가 증가해, 매년 4억 6000만t에 이르는 플라스틱이 생산된다.
재활용을 해도 생산된 플라스틱의 단 9%만 재활용되고 있다. 나머지는 대부분 매립, 소각 또는 그대로 환경으로 유출되고 있다.
독일 등 비교적 재활용이 잘되는 국가도 있지만, 수거 기반시설조차 없는 국가들도 많다.
플라스틱 재활용이 어려운 이유는 뭘까?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BBC News 코리아: bbc.com/korean
#플라스틱 #재활용 #분리수거 #환경
@kangho76 : 한국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도 뉴스로 내보내줬으면 좋겠음. 시민들은 잘하고 있다고 하지만 그 재활용품이 어떻게 처리가 되는지 궁금함. 그 전엔 남 욕 할것도 없고
@han002k : 우리가 열심히 분리를 해도 대부분은 재활용 안되는 플라스틱이라고 하더라구요. 투명페트병이 가장 재활용 잘되고 나머지 플라스틱종류는 거의다 일반 쓰레기라고 합니다.
@Puppytobee : 재활용 분리수거가 정말 의미없다고 느껴짐. 우리집이 주택 관리자로서 내가 분리수거 담당을 하는데 볼 때마다 한숨이 나옴. 페트병은 그 네임텍 안 떼고 버리는 게 태반이고 카페에서 커피 테이크 아웃하고 먹은 다음 내용물 남긴 채로 버리는 경우도 많음. 플라스틱 아닌데 플라스틱 버리는데다가 버리는 건 예산일도 아님. 비닐은 비닐인지 아닌지 버리는 사람들이 구분도 못함. 그냥 버림. 종이도 종이 나름인데 안 뜯은 나무 젓가락 그냥 버리는 경우도 많고 휴지도 버리고 박스는 겁나 많아.
@windy7707 : 연료로 사용할수 없을까? 아 심각하네. .저런것들이 우리몸으로 다시 들어올텐데. .
@user-sjiwkdkncbznq : 잘봤습니다. 어차피 재활용안되면 분리수거를 안하고 일반쓰레기에 다 넣어서 버리면 되겠군요.
기업에서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제품을 만들기 시작하면 그때부터 분리수거를 하겠습니다.
소비자가 책임을 느낄것이 아니라 기업이 느껴야되는 부분이라고 보이네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