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독게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각시탈 조회 4회 작성일 2024-01-14 19:23:50 댓글 0

본문

[앵커의 눈] ‘게임 중독’ 뇌 구조도 바꾼다…조기 치료 중요 / KBS뉴스(News)

우리나라 청소년의 1.8%가 게임중독 증상을 보이고 있는데요,
게임에 몰두해 매번, 약속한 게임 시간을 넘기거나 학업이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고, 또 게임을 못하면 불안을 느끼는 경우 게임중독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채택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게임중독이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라는 건데요,
이를 뒷받침할 과학적 근거가 하나 나왔습니다.
인터넷 게임 중독이 뇌 구조까지 바꿔 중독을 더 강화한다고 합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이 직장인은 평일에도 하루에 두세 시간씩 온라인 게임을 즐깁니다.
주말에는 안 쉬고 9시간을 한 적도 있습니다.
게임에 빠져들면 약속을 잊기도 합니다.
[20대 온라인 게임 이용자 : "시간 가는 줄 모르고 하는 것 같아요. 한 판만 더 하면 제가 더 레벨업을 할 수 있고, 한 판만 더 하면 더 실력이 늘 것 같아서 게임을 못 끊는 것 같아요. 그래서 약속시각을 까먹고…"]
서울시보라매병원 연구진이 게임 중독자의 뇌 영상을 정상인과 비교했습니다.
기억을 담당하는 뇌의 해마 크기가 정상인의 것보다 14% 컸습니다.
판단력이나 기분 조절과 연관된 두정엽 일부도 용적이 17% 컸습니다.
이 부위들은 중독 증상이 심할수록 더 많이 커져 있었습니다.
게임중독이 기억과 감정을 담당하는 뇌 부위에 과부하를 줘 뇌가 부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뇌 구조까지 바뀌면 중독에서 벗어나기 쉽지 않습니다.
기억력이 떨어지고 감정이나 충동 조절이 더 어려워져 중독에서 헤어나오기 힘든 악순환입니다.
[최정석/서울시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뇌 일부가) 과하게 커져 있다는 건 게임중독문제를 보이는 분들이 감정조절이 잘 안 된다든지 오히려 기억력이나 집중력을 담당하는 기능상에 어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는…"]
바뀐 뇌 구조는 치료가 어렵습니다.
게임중독 증상이 나타나면 조기에 전문가를 찾는 게 좋습니다.
청소년은 학업 스트레스나 대인관계 갈등이 게임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보호자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newskbs : ▣ 제보안내
◇ 카카오톡에서 'KBS뉴스' 검색
◇ 전화: 02-781-1234
◇ 홈페이지: https://goo.gl/4bWbkG
◇ 이메일: kbs1234@kbs.co.kr
@user-ij1xr9ub7y : 게임중독의 기준은 게임으로 일상 생활에
문제를 끼치느냐 아니냐로 단정지을수가
있음
@user-so9od7rb3f : 게임 하루에 열시간씩 하고 일상에 지장있으면 게임중독이고 병이지... 내가 그랬어서 오히려 공감함.. ㅠ
@EEEEeeeeEeeEee213 : 정말 도움되는 기사네요. 정
말 도움 돼요 개임중독을
병으로 지정하려는 것도
신비롭게 보이고요.
@user-gu7km3bz8y : 근데 중요한건 어딘가에 결핍이 있는 분들이 게임 중독이 될 수 있는거지 게임을 한다고 다 중독이 되진 않습니다.. 저 또한 지칠때 게임하면 편하다는 느낌을 받았고요, 글고 정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최소한 제 주위에서는 게임을 많이 한다고 누군가에게 피해를 주는 사람은 못봤네요,예전보단 덜하지만 유독 ‘게임’ 자체를 사회 악인것 마냥 인식하는 경향이 아직도 남아있는거 같네요

[짤툰 프리미엄] 게임 중독

이 만화는 무료로 웃겨줍니다!

[배급 : 빅픽처팀] [기획 : 비크리스피] [각본 : 스토리팀]
@jjaltoon : 코로나가 심해지고 있다고 합니당 ㅠㅠ 코로나 조심하시구 행복한 불금 되세용❤
@parkhyunsoo9304 : 이거 실화 입니다. 아들이 너무 게임만 해서 아빠가 고랩 유저를 고용해서 아들을 계속 죽였습니다.
@user-xl8iz5vm3s : 가족관계로 풍자하는건 짤툰이 유튜브계 최강이다 ㄹㅇ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TOYOTOMIHIDE : 짤툰님과 장삐주님이 합작하면 세계 최강의 만화가 나올듯
@user-ov6jr5ys2w : 게임중독에다 퇴직금 떨어지는거. 여기에다 후원 도네이션. 자극적인 콘텐츠까지 풍자하다니! 진짜 예술이네ㄷㄷ

김대수 교수 #04 | 카이스트 교수도 경험한 '게임 중독'! 게임 중독 벗어나려면 이렇게 해라 | #어쩌다어른 #사피엔스

프리미엄 특강쇼 [어쩌다 어른] EP.145

어쩌다 어른(2018)
대한민국 대표 강연자들의 다시 보고 싶은 명강의가 새로운 인사이트로 돌아온다!
난생처음 어른이 된 우리를 위한, 각 분야 지식인들의 울림 있는 유머와 깊이 있는 통찰

《책 읽어 드립니다》, 《어쩌다 어른》제작진이 만든 대한민국 대표 지식 큐레이팅 채널 『사피엔스』
→ https://www.youtube.com/c/사피엔스스튜디오
@warriet29 : 8살 아들의 게임 때문에 집사람과 싸우고 이 영상을 보내요. 저희집엔 닌텐도가 있습니다. 아이는 공부 열심히 하고 있고, 숙제와 공부를 끝낸 뒤에 닌텐도를 했었죠. 하루 한 시간 시간 엄수도 잘 지켰어요. 그런데 게임중독이 걱정된다면서 닌텐도를 치워 버리더군요. 결과 아이는 친구의 휴대폰을 빌려서 게임을 하더군요. 그것도 남자답지 못하게 몰래 몰래. 학원수업이 끝나고 집에 오기 전에요. 저는 이것이 너무 보기 싫습니다. 도대체 중독의 기준이 뭡니까? 게임을 안하는 제 어머니는 게임을 하는 저를 보고 게임 중독이란 말을 했어죠. 그런데 저 역시 공부 잘했고 축구도 열심히 했고 아마츄어 복싱대회에도 출전하고 고딩 때는 산악부 생활을 해서 틈만 나면 볼더링을 하고 주말마다 산에 오르거나 인수봉으로 암벽등반을 했습니다. 그랬더니 또다시 저를 보고 축구중독에 싸움질 중독에 산에 중독됐다고 하시더군요. 대학 졸업 후 나름 어렵다는 시험을 패스해서 소위 전문직을 하고 있지만 해당 시험공부 와중에도 게임도 하고 운동도 하고 산에도 다녔어요. 그때마다 그놈의 중독이라는 잔소리. 오히려 중독이라는 말에 중독이 된 듯 보이더군요. 도대체 중독의 기준이 뮙니까? 저는 중독이란 할 것 안하고 하고 싶은걸 먼저 하는 행위가 지나쳤을 때를 중독이라 생각합니다. 왜 게임보다 운동보다 산보다 더 많이 한 공부는 중독이란 소리를 안하는 거죠? 게임이 절대악인가요? 도대체 중독의 기준이 뭐죠? 결국 자기 가치관을 상대방에게 투영하는 것일 뿐 중독의 기준이라는게 있기나 한가요? 게임중독자의 뇌가 어쩌고 저쩌고? 게임 뿐만 아니라 모든 중독자의 뇌는 똑같아요. 중독이란 말에 중독된 사람의 뇌도 동일합니다. 문제는 게임이 아니라 중독이에요. 할 것 안하고 하고싶은 것만 하는 사람의 뇌가 바로 중독일 뿐이에요. 무조건 막는게 능사가 아니에요. 중요한 것은 할 것을 하도록 하는 통제력인데 왜 자꾸만 중독을 전제로 말을 하는 건지..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의 뒤엔 항상 사람의 욕망이 숨어 있더군요. 중독을 전제로 중독이 나쁘다는 이런 말같지도 않은 소리나 할 시간에 어떻게 해야 통제력을 갖을 수 있고, 왜 중독된 사람은 중독의 길로 빠져들게 되는지를 말하는게 훨씬 더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nja0528 : 게임 과몰입을 벗어나는 방법은 딱 하나입니다.

자신이 하는 생활들이 게임보다 더 재밌고 가치있고 보상과 만족감이 높으며 매력적이면 됩니다.
@still_here3196 : 대부분의 게임중독은 온라인게임에 몰두할때 나타남
스팀 콘솔게임같이 언제든 꺼도되고 안하고싶으면 안하는게임이 좋은듯 이런류의 게임중엔 심도있는 철학이나 삶에대한 고찰등을 다루는것들도 많아서 좋음
@sayhello226 : 본인도 겜 진짜 오지게 했었는데 지금은 딱 끊었음
미친듯이 사냥하니깐 손목도 아프고 생활 패턴이 모두 게임에 가 있게됨
일상생활을 하면서도 몇시에는 레이드, 몇시에는 공성, 몉시에는 사냥가야 하는데 하면서 생활패턴이 게임에 맞춰짐
이렇게 겜에 중독되고 결국 제일 높은랩을 달성했을때는 엄청 기뻤음
근데 그 뒤로는 결국 랩확장이 되면서 또 사냥을 해야할 생각하니 스트레스를 받기 시작함
그렇다고 사냥을 손 놓으면 밑에서 치고 올라오기 때문에 그거대로 스트레스 받고..
즐거울라고 하는게임, 스트레스 받으니깐 그때 딱 그만해야겠다고 생각했음
지금은 그때 받은 스트레스로 겜 쳐다도 안봄

겜을 끊는방법은 아주 극한까지 몰아서 하면됨
근데 또 부모가 자녀에게 추천할 방법인지는 모르겠다 ㅋ
@user-me5yy4ep2x : 이게 게임이 어떤 계기로 인해 하면 할수록 혼자서 침잠해가는 부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본다.
게임사의 애초 기획의도가 유저들로 하여금 게임을 계속하게끔해서 돈을 쓰게 만드는 건데
아예 처음부터 게임보다 더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어떤 행동들을 지속해왔다면 게임중독에 빠질확률이 매우 낮고
게임중독에 만약 빠져있다면 본인 스스로 극한의 의지를 발휘해서 스스로 빠져나오는 방법밖에 없다
나머지는 없어. 그게 다임
인간은 고통을 피하고 즐거움을 추구하는 본성이 있는데, 삶 속에 있는 고난을 피하려고 (어차피 피할수는 없는건데) 게임속의 즐거움에 취하여 빠져나오려고 하지않고 삶의 시간 대부분을 게임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 

#중독게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367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