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받이
페이지 정보
본문
"등받이 세워!" vs "싫은데?"...누가 맞나요? / SBS / 뉴블더
고속버스나 기차 같은 대중교통을 오래 타고 가다 보면, 허리가 아파서 등받이를 뒤로 젖힐 때가 많죠.
그런데, 최근, 이 등받이를 두고 승객 간에 싸움이 벌어지는 일이 빈번하다는데요, 영상으로 함께 확인하시죠.
달리는 기차 안입니다.
한 젊은 남성이 좌석 등받이를 뒤로 젖힌 채 테이블을 펴 휴대전화를 올려두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자, 뒷자리에 탄 중년 여성이 불편하다며 항의하자 말싸움이 시작됩니다.
[이보세요, 지금 다른 의자들 보세요. 이렇게 뒤로 가 있는가 (뭔 X소리예요, 아줌마.) X소리는 무슨 X소리야! (소리 낮추세요.) 너나 똑바로 해, 그러니까.]
중년 여성은 다른 승객들은 등받이를 젖히지 않았다며 따지고, 젊은 남성은 반말로 맞서면서 거친 다툼으로 이어집니다.
[너 지금 다른 데 의자 한 번 봐봐. 너처럼 이렇게 돼 있는가? (어쩌라고.) 세우라고! (왜?) 왜? 내가 불편해서. (난 안 불편하다.) 네가 왜 불편한데? 다른 사람들은 그럼 바보라서 저렇게 세워서 있어? 어디 지금 너 혼자 전세 냈어? 너는 공중도덕이라는 개념도 없어?]
비슷한 갈등은 최근 한 고속버스 안에서도 벌어졌습니다.
한 젊은 여성 승객이 의자 등받이를 뒤로 끝까지 젖혀 뒷자리 승객이 몸을 움직이지 못하게 되자 보다 못한 버스기사가 등받이를 올려달라고 요청하면서 실랑이가 이어지는 겁니다.
[버스 기사 : 조금만 올려줘요. 뒷분이 좀 불편해하시니까. 누워서 가는 리무진 버스가 아니라 일반 버스니까 조금 양해 부탁드려요.]
[젊은 여성 승객 : 애초에 이만큼 숙이라고 만든 건데 뭐가 문제냐니까요?]
결국 해당 승객은 등받이를 올리긴 했지만, 옆 좌석에서 이를 지켜보던 다른 승객과 말싸움까지 벌이며 소란을 일으켰습니다.
[다른 승객 : 이렇게 막 누워서, 이게 침대야? 안방이야?]
[젊은 여성 승객 : 그렇게 불편하면 차를 끌고 가세요. (너나 그래, 난 차 없다.) 그럼 불편해도 참고 가야지. 애초에 이렇게 만들어진 걸 어쩌라고.]
[다른 승객 : 넌 부모도 없니?]
[젊은 여성 승객 : 넌 없어? 존중받고 싶으면 먼저 그렇게 행동을 하세요. (너나 그래야지) 그니까 못 한다고. 존중 못 한다고. 바보냐? XX 진짜.]
[다른 승객 : 망나니도 이런 망나니 처음 봐.]
이 영상이 SNS에 퍼지면서, 여성의 태도에 대한 사람들의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그러면서, 등받이를 두고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는데요.
애초에 젖히라고 만든 등받이인데 무슨 문제냐며 당연한 승객의 권리라는 의견과 뒷자리 승객 배려해서 등받이를 과하게 젖히면 안 된다 이런 의견이 맞서고 있는 겁니다.
또 한편으로는 애초에 최소한의 공간 확보가 어려울 정도로 빡빡하게 좌석을 배치한 게 근본적인 문제라는 의견도 나옵니다.
버스 등 자동차의 경우, 좌석 간 거리는 최소 65㎝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공간이 애초에 넉넉하지 않은 데다 등받이를 세운 상태에서의 간격 규정이기 때문에 좌석 간격을 두고 승객 불편이 발생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필수/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 (규정상 거리는) 등받이를 기울였을 때의 거리가 아니라 실제로 정상적으로 세웠을 때의 거리이기 때문에 앞좌석의 등받이를 기울였을 때 최소한의 거리 확보를 위한 규정을 지을 필요가 있고. 제한된 공간에다 너무 많은 승객을 넣기 위해서 간격을 너무 좁게 만들어 놨다는 거죠. 그 간격 속에서 등받이가 기울어지게 되면 내 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그게 바로 싸움의 발단이 된다. 또 실질적으로 윤리적으로 서로 배려를 해야 되는데 그런 것들도 부족한 상태에서는 싸움이 될 수밖에 없어요.]
비행기에서도 등받이를 두고 승객들 간에 비슷한 갈등이 자주 발생하는데요, 지난 2015년에는 60대 남성이 비행기에서 의자를 뒤로 젖힌 앞자리 승객과 실랑이를 벌이다 폭행해 벌금 150만 원을 선고받기도 했습니다.
해외 저가 항공사들은 아예 등받이를 젖히는 기능을 없애거나, 좌석 기울기 범위를 줄이는 곳도 나오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7387823
#SBS뉴스 #뉴스브리핑 #등받이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https://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user-yi9hw2ic7i : 이건 양심이 아니라 사고력 문제임
항상 평생 공부해야 합니다
@user-oo6nc2qw9h : 권리는 존중해주되, 사람에게는 피해를 끼치지는 말아야지..
@user-pf2wk1hb5h : 저러한 경우처럼 우리의 삶, 사회 속에는 서로의 욕구가 부딪혀 다툼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아니 그게 전체의 주제인가 싶군요.
@user-kj9cd4ws5r : 참 말세다
자기 권리만 요구하고 남에게 피해주는 인간들이 왜이리 많은지....
@beluga9820 : 배려도 인성도 지능이다;;
'반말·욕설 난무' 뒤로 젖힌 의자 등받이 때문에?…역무원의 제지로 마무리 / JTBC 사건반장
· 욕설 난무한 기차 안…대체 무슨 일?
· 뒤로 젖힌 의자 등받이 불편 항의로 '시끌'
· 반말·욕설 난무…역무원의 제지로 마무리
▶ 시리즈 더 보기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3Eb1N33oAXhyGnsc4PYRuDlonNBlpnfg
본방 후 유튜브에서 앵커들과 더 가까이!
☞JTBC 모바일라이브 시청하기 https://www.youtube.com/@jtbc_news/streams
☞JTBC유튜브 구독하기 (https://www.youtube.com/user/JTBC10news)
☞JTBC유튜브 커뮤니티 (https://www.youtube.com/user/JTBC10news/community)
#JTBC뉴스 공식 페이지
(홈페이지) https://news.jtbc.co.kr
(APP) https://news.jtbc.co.kr/Etc/SmartPhoneReport.aspx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jtbcnews
트위터 https://twitter.com/JTBC_news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jtbcnews
☏ 제보하기 https://news.jtbc.co.kr/Etc/InterNetReport.aspx
방송사 : JTBC (https://jtbc.co.kr)
@user-ll7rb3ul7b : 저건 교육문제가 아니라 지능 문제입니다. 지능이 없어서 상대방의 입장까지 고려하는게 어려운 것이죠. 상대방의 입장을 알아차리는건 그만큼 지능이 요구되는 문제라서, 지능이 없는자에게 상대의 입장을 알아라 하는 식의 말은 그사람에겐 도저히 이해가 불가능하다라는것을 아셔야 할것입니다. 즉 교육을해도 소용이 없다라는 것이죠. 이 계기점을 통해 모두가 상대의 입장을 알아차리지는 못한다는것을 아셔야 합니다. 지능이 낮은 사람은 수 없이도 많습니다. 인구 절반이상이 지능이 낮은사람이다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많습니다.
@cybi8056 : 의자가 젖혀지는 각도를 개선하면 이런 싸움 자체가 사라지겠죠. 이와 마찬가지로 아파트 층간 소음 문제도 건설사가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사회적인 문제를 시스템의 문제로만 보는 것도 문제지만, 개인의 문제로만 치부하는 것도 문제입니다. 이 영상에서 저도 저 남성분의 기본적인 배려나 매너가 부족했다 생각합니다. 그런데 다른 관점에서 보자면 각 개인의 자유를 일정 수준 제한(의자 각도)했었다면 오히려 서로가 에너지 소모하며 싸울 필요도 없었지 않을까요? 무조건적인 자유로움의 확대는 오히려 서로의 자유를 침해할 확률이 훨씬 높다고 생각합니다.
@user-qu9si6qq3r : 뒤로 눕히는 각도를 제한해야 만들어서 이런 사태가 안되게 해야 합니다.
@user-jl4wy9or1s : 여자분 대단하다... 난 저런 인간은 애초에 정상적 사고를 가진 사람은 아닐테니 저런 행동을 하는구나싶어서 괜히 잘못 건드리면 칼 휘두를까봐 걍 참는데....
@qoo968 : 의자를 뒤로 조금 젖힐수도 있고 이해는 가는데 뒷사람이 불편하다고 말할 정도면 과하게 내렸다는거니까 당연히 좀 더 올려주는게 맞는 거예요.
[씬속뉴스] 고속버스 이어 기차 등받이 논란…"내 돈 내고 젖히는데 왜?" vs "전세 냈어?"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최근 한 고속버스에서 좌석 등받이 '최대치'로 뒤로 젖힌 승객 행동이 SNS 등서 논란 일고 있는 가운데..\r
이번에는 SRT서 찍힌 '등받이 논쟁' 영상 SNS 확산 \r
달리는 기차 안, 젖혀진 좌석 등받이가 불편하다며 시작된 중년 여성 항의 \r
\r
[뒷자리 승객]\r
"이보세요, 다른 의자들 보세요 이렇게 뒤로 가 있는가" \r
\r
[앞자리 승객]\r
"뭔 X소리예요 아줌마"\r
\r
[뒷자리 승객]\r
"X소리는 X소리야!"\r
\r
서로 거친 반응에 욕설 섞인 말싸움은 계속되고 \r
\r
[뒷자리 승객]\r
"너 지금 다른 데 의자 한번 봐봐 너처럼 이렇게 돼 있는가"\r
\r
[앞자리 승객]\r
"어쩌라고"\r
\r
[뒷자리 승객]\r
"세우라고"\r
\r
[앞자리 승객]\r
"왜?"\r
\r
[뒷자리 승객]\r
"왜? 내가 불편해서"\r
\r
[앞자리 승객]\r
"난 안 불편한데"\r
\r
[뒷자리 승객]\r
"다른 사람들은 그럼 바보라서 저렇게 세워져 있어?"\r
\r
[앞자리 승객] \r
"XX고 앉으세요" \r
\r
한 치의 양보도 없이 2분 넘게 이어지는 욕설과 고성 \r
\r
[뒷자리 승객]\r
"공중 도덕도 몰라? 여기 지금 열차 전세 냈어?"\r
\r
[앞자리 승객]\r
"XXX XX"\r
\r
[뒷자리 승객]\r
"너나 XXX XX"\r
\r
급기야 직원 출동해 중재 나서보지만 실랑이는 계속 \r
\r
[앞자리 승객]\r
"아니 내 돈 주고 내가 앉는데 등받이 젖히는 게 뭔 상관인데" \r
\r
해당 영상, 조회수 33만 댓글 1,000개 넘어 \r
\r
네티즌들 사이 대중교통 등받이\r
\r
"세우는 게 맞다" VS "젖히는 게 맞다" 갑론을박 \r
\r
"뒷 승객이 불편할 정도로 눕혀지지 않았다"\r
\r
"뒷사람 양해 구하고 괜찮을 정도 등받이 각도 젖히는 게 상식" \r
\r
과연 여러분들의 생각은? \r
\r
-구성·내레이션 : 이채연\r
-편집 : 박종욱\r
\r
#고속버스등받이 #고속버스 #열차 #SRT #SNS화제 #등받이 #등받이논쟁 #좌석 #좌석논쟁\r
\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r
\r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r
https://goo.gl/VuCJMi\r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
http://www.yonhapnewstv.co.kr/
@user-om6de1je2u : 서로 배려를 하지 못하면 싸움이 나거나 불편한 상태로 가겠죠.
앞사람 등받이는 뒷사람 선반이 되기에 앞사람에게 정중하게 양해를 부탁하고 뒷사람은 감사하는 마음 가지고 살아야 겠죠.
즉, 양단간의 문제는 앞사람이 먼저 양해를 해주지 않아 뒷사람이 불편의 가중을 시키고 그러면 뒷사람은 그냥 선반을 툭툭 치면 됩니다.
서로 불편하게 가거나... 뒷사람이 민폐남의 앞좌석 사람에게 똑같이 뒤로 제껴달라 하고... 뒷사람은 계속 선반치며 가면 됩니다.
자신이 당하지 않으니 조그마한 배려도 못하는 것이겠죠.
@use888 : 이렇게 싸울거면 의자를 고정시키는게 나을거같은데……젖히라고 만든 의자가 모든 사람한테 불편을 주고잇는게 참 아이러니함
@user-ku2zr5zr8g : 뒤에서 불편하다고 좀 새워달라하면 아예~하고 조금 새워주면되지..뭘 그리 싸울일이라고 에휴..
@watcher9892 : 뒤에 사람이 불쾌해 하면 세우는 게 맞음
그리고 앞 사람에게 정중히 세워달라고 부탁해야 함
@wj2791 : 저런놈은 회사나 단체에서 잘러 버려야 정신을 차릴듯 합니다.
고속버스나 기차 같은 대중교통을 오래 타고 가다 보면, 허리가 아파서 등받이를 뒤로 젖힐 때가 많죠.
그런데, 최근, 이 등받이를 두고 승객 간에 싸움이 벌어지는 일이 빈번하다는데요, 영상으로 함께 확인하시죠.
달리는 기차 안입니다.
한 젊은 남성이 좌석 등받이를 뒤로 젖힌 채 테이블을 펴 휴대전화를 올려두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자, 뒷자리에 탄 중년 여성이 불편하다며 항의하자 말싸움이 시작됩니다.
[이보세요, 지금 다른 의자들 보세요. 이렇게 뒤로 가 있는가 (뭔 X소리예요, 아줌마.) X소리는 무슨 X소리야! (소리 낮추세요.) 너나 똑바로 해, 그러니까.]
중년 여성은 다른 승객들은 등받이를 젖히지 않았다며 따지고, 젊은 남성은 반말로 맞서면서 거친 다툼으로 이어집니다.
[너 지금 다른 데 의자 한 번 봐봐. 너처럼 이렇게 돼 있는가? (어쩌라고.) 세우라고! (왜?) 왜? 내가 불편해서. (난 안 불편하다.) 네가 왜 불편한데? 다른 사람들은 그럼 바보라서 저렇게 세워서 있어? 어디 지금 너 혼자 전세 냈어? 너는 공중도덕이라는 개념도 없어?]
비슷한 갈등은 최근 한 고속버스 안에서도 벌어졌습니다.
한 젊은 여성 승객이 의자 등받이를 뒤로 끝까지 젖혀 뒷자리 승객이 몸을 움직이지 못하게 되자 보다 못한 버스기사가 등받이를 올려달라고 요청하면서 실랑이가 이어지는 겁니다.
[버스 기사 : 조금만 올려줘요. 뒷분이 좀 불편해하시니까. 누워서 가는 리무진 버스가 아니라 일반 버스니까 조금 양해 부탁드려요.]
[젊은 여성 승객 : 애초에 이만큼 숙이라고 만든 건데 뭐가 문제냐니까요?]
결국 해당 승객은 등받이를 올리긴 했지만, 옆 좌석에서 이를 지켜보던 다른 승객과 말싸움까지 벌이며 소란을 일으켰습니다.
[다른 승객 : 이렇게 막 누워서, 이게 침대야? 안방이야?]
[젊은 여성 승객 : 그렇게 불편하면 차를 끌고 가세요. (너나 그래, 난 차 없다.) 그럼 불편해도 참고 가야지. 애초에 이렇게 만들어진 걸 어쩌라고.]
[다른 승객 : 넌 부모도 없니?]
[젊은 여성 승객 : 넌 없어? 존중받고 싶으면 먼저 그렇게 행동을 하세요. (너나 그래야지) 그니까 못 한다고. 존중 못 한다고. 바보냐? XX 진짜.]
[다른 승객 : 망나니도 이런 망나니 처음 봐.]
이 영상이 SNS에 퍼지면서, 여성의 태도에 대한 사람들의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그러면서, 등받이를 두고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는데요.
애초에 젖히라고 만든 등받이인데 무슨 문제냐며 당연한 승객의 권리라는 의견과 뒷자리 승객 배려해서 등받이를 과하게 젖히면 안 된다 이런 의견이 맞서고 있는 겁니다.
또 한편으로는 애초에 최소한의 공간 확보가 어려울 정도로 빡빡하게 좌석을 배치한 게 근본적인 문제라는 의견도 나옵니다.
버스 등 자동차의 경우, 좌석 간 거리는 최소 65㎝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공간이 애초에 넉넉하지 않은 데다 등받이를 세운 상태에서의 간격 규정이기 때문에 좌석 간격을 두고 승객 불편이 발생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필수/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 (규정상 거리는) 등받이를 기울였을 때의 거리가 아니라 실제로 정상적으로 세웠을 때의 거리이기 때문에 앞좌석의 등받이를 기울였을 때 최소한의 거리 확보를 위한 규정을 지을 필요가 있고. 제한된 공간에다 너무 많은 승객을 넣기 위해서 간격을 너무 좁게 만들어 놨다는 거죠. 그 간격 속에서 등받이가 기울어지게 되면 내 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그게 바로 싸움의 발단이 된다. 또 실질적으로 윤리적으로 서로 배려를 해야 되는데 그런 것들도 부족한 상태에서는 싸움이 될 수밖에 없어요.]
비행기에서도 등받이를 두고 승객들 간에 비슷한 갈등이 자주 발생하는데요, 지난 2015년에는 60대 남성이 비행기에서 의자를 뒤로 젖힌 앞자리 승객과 실랑이를 벌이다 폭행해 벌금 150만 원을 선고받기도 했습니다.
해외 저가 항공사들은 아예 등받이를 젖히는 기능을 없애거나, 좌석 기울기 범위를 줄이는 곳도 나오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7387823
#SBS뉴스 #뉴스브리핑 #등받이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https://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user-yi9hw2ic7i : 이건 양심이 아니라 사고력 문제임
항상 평생 공부해야 합니다
@user-oo6nc2qw9h : 권리는 존중해주되, 사람에게는 피해를 끼치지는 말아야지..
@user-pf2wk1hb5h : 저러한 경우처럼 우리의 삶, 사회 속에는 서로의 욕구가 부딪혀 다툼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아니 그게 전체의 주제인가 싶군요.
@user-kj9cd4ws5r : 참 말세다
자기 권리만 요구하고 남에게 피해주는 인간들이 왜이리 많은지....
@beluga9820 : 배려도 인성도 지능이다;;
'반말·욕설 난무' 뒤로 젖힌 의자 등받이 때문에?…역무원의 제지로 마무리 / JTBC 사건반장
· 욕설 난무한 기차 안…대체 무슨 일?
· 뒤로 젖힌 의자 등받이 불편 항의로 '시끌'
· 반말·욕설 난무…역무원의 제지로 마무리
▶ 시리즈 더 보기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3Eb1N33oAXhyGnsc4PYRuDlonNBlpnfg
본방 후 유튜브에서 앵커들과 더 가까이!
☞JTBC 모바일라이브 시청하기 https://www.youtube.com/@jtbc_news/streams
☞JTBC유튜브 구독하기 (https://www.youtube.com/user/JTBC10news)
☞JTBC유튜브 커뮤니티 (https://www.youtube.com/user/JTBC10news/community)
#JTBC뉴스 공식 페이지
(홈페이지) https://news.jtbc.co.kr
(APP) https://news.jtbc.co.kr/Etc/SmartPhoneReport.aspx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jtbcnews
트위터 https://twitter.com/JTBC_news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jtbcnews
☏ 제보하기 https://news.jtbc.co.kr/Etc/InterNetReport.aspx
방송사 : JTBC (https://jtbc.co.kr)
@user-ll7rb3ul7b : 저건 교육문제가 아니라 지능 문제입니다. 지능이 없어서 상대방의 입장까지 고려하는게 어려운 것이죠. 상대방의 입장을 알아차리는건 그만큼 지능이 요구되는 문제라서, 지능이 없는자에게 상대의 입장을 알아라 하는 식의 말은 그사람에겐 도저히 이해가 불가능하다라는것을 아셔야 할것입니다. 즉 교육을해도 소용이 없다라는 것이죠. 이 계기점을 통해 모두가 상대의 입장을 알아차리지는 못한다는것을 아셔야 합니다. 지능이 낮은 사람은 수 없이도 많습니다. 인구 절반이상이 지능이 낮은사람이다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많습니다.
@cybi8056 : 의자가 젖혀지는 각도를 개선하면 이런 싸움 자체가 사라지겠죠. 이와 마찬가지로 아파트 층간 소음 문제도 건설사가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사회적인 문제를 시스템의 문제로만 보는 것도 문제지만, 개인의 문제로만 치부하는 것도 문제입니다. 이 영상에서 저도 저 남성분의 기본적인 배려나 매너가 부족했다 생각합니다. 그런데 다른 관점에서 보자면 각 개인의 자유를 일정 수준 제한(의자 각도)했었다면 오히려 서로가 에너지 소모하며 싸울 필요도 없었지 않을까요? 무조건적인 자유로움의 확대는 오히려 서로의 자유를 침해할 확률이 훨씬 높다고 생각합니다.
@user-qu9si6qq3r : 뒤로 눕히는 각도를 제한해야 만들어서 이런 사태가 안되게 해야 합니다.
@user-jl4wy9or1s : 여자분 대단하다... 난 저런 인간은 애초에 정상적 사고를 가진 사람은 아닐테니 저런 행동을 하는구나싶어서 괜히 잘못 건드리면 칼 휘두를까봐 걍 참는데....
@qoo968 : 의자를 뒤로 조금 젖힐수도 있고 이해는 가는데 뒷사람이 불편하다고 말할 정도면 과하게 내렸다는거니까 당연히 좀 더 올려주는게 맞는 거예요.
[씬속뉴스] 고속버스 이어 기차 등받이 논란…"내 돈 내고 젖히는데 왜?" vs "전세 냈어?"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최근 한 고속버스에서 좌석 등받이 '최대치'로 뒤로 젖힌 승객 행동이 SNS 등서 논란 일고 있는 가운데..\r
이번에는 SRT서 찍힌 '등받이 논쟁' 영상 SNS 확산 \r
달리는 기차 안, 젖혀진 좌석 등받이가 불편하다며 시작된 중년 여성 항의 \r
\r
[뒷자리 승객]\r
"이보세요, 다른 의자들 보세요 이렇게 뒤로 가 있는가" \r
\r
[앞자리 승객]\r
"뭔 X소리예요 아줌마"\r
\r
[뒷자리 승객]\r
"X소리는 X소리야!"\r
\r
서로 거친 반응에 욕설 섞인 말싸움은 계속되고 \r
\r
[뒷자리 승객]\r
"너 지금 다른 데 의자 한번 봐봐 너처럼 이렇게 돼 있는가"\r
\r
[앞자리 승객]\r
"어쩌라고"\r
\r
[뒷자리 승객]\r
"세우라고"\r
\r
[앞자리 승객]\r
"왜?"\r
\r
[뒷자리 승객]\r
"왜? 내가 불편해서"\r
\r
[앞자리 승객]\r
"난 안 불편한데"\r
\r
[뒷자리 승객]\r
"다른 사람들은 그럼 바보라서 저렇게 세워져 있어?"\r
\r
[앞자리 승객] \r
"XX고 앉으세요" \r
\r
한 치의 양보도 없이 2분 넘게 이어지는 욕설과 고성 \r
\r
[뒷자리 승객]\r
"공중 도덕도 몰라? 여기 지금 열차 전세 냈어?"\r
\r
[앞자리 승객]\r
"XXX XX"\r
\r
[뒷자리 승객]\r
"너나 XXX XX"\r
\r
급기야 직원 출동해 중재 나서보지만 실랑이는 계속 \r
\r
[앞자리 승객]\r
"아니 내 돈 주고 내가 앉는데 등받이 젖히는 게 뭔 상관인데" \r
\r
해당 영상, 조회수 33만 댓글 1,000개 넘어 \r
\r
네티즌들 사이 대중교통 등받이\r
\r
"세우는 게 맞다" VS "젖히는 게 맞다" 갑론을박 \r
\r
"뒷 승객이 불편할 정도로 눕혀지지 않았다"\r
\r
"뒷사람 양해 구하고 괜찮을 정도 등받이 각도 젖히는 게 상식" \r
\r
과연 여러분들의 생각은? \r
\r
-구성·내레이션 : 이채연\r
-편집 : 박종욱\r
\r
#고속버스등받이 #고속버스 #열차 #SRT #SNS화제 #등받이 #등받이논쟁 #좌석 #좌석논쟁\r
\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r
\r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r
https://goo.gl/VuCJMi\r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
http://www.yonhapnewstv.co.kr/
@user-om6de1je2u : 서로 배려를 하지 못하면 싸움이 나거나 불편한 상태로 가겠죠.
앞사람 등받이는 뒷사람 선반이 되기에 앞사람에게 정중하게 양해를 부탁하고 뒷사람은 감사하는 마음 가지고 살아야 겠죠.
즉, 양단간의 문제는 앞사람이 먼저 양해를 해주지 않아 뒷사람이 불편의 가중을 시키고 그러면 뒷사람은 그냥 선반을 툭툭 치면 됩니다.
서로 불편하게 가거나... 뒷사람이 민폐남의 앞좌석 사람에게 똑같이 뒤로 제껴달라 하고... 뒷사람은 계속 선반치며 가면 됩니다.
자신이 당하지 않으니 조그마한 배려도 못하는 것이겠죠.
@use888 : 이렇게 싸울거면 의자를 고정시키는게 나을거같은데……젖히라고 만든 의자가 모든 사람한테 불편을 주고잇는게 참 아이러니함
@user-ku2zr5zr8g : 뒤에서 불편하다고 좀 새워달라하면 아예~하고 조금 새워주면되지..뭘 그리 싸울일이라고 에휴..
@watcher9892 : 뒤에 사람이 불쾌해 하면 세우는 게 맞음
그리고 앞 사람에게 정중히 세워달라고 부탁해야 함
@wj2791 : 저런놈은 회사나 단체에서 잘러 버려야 정신을 차릴듯 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