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복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스카이캐슬 조회 4회 작성일 2024-01-23 15:29:48 댓글 0

본문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나아지고는 있지만 여전히 팍팍” / KBS 2021.09.05.

대한민국 여성의 삶은 어떤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통계로 살펴봤는데요.혼자 사는 여성이 20년 전과 비교해 2.6배 늘었고, 육아휴직 사용은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여성의 평균 임금은 남성의 70% 수준에 불과했고, 고용 면에서도 차이가 분명했는데요.

[리포트]

6살 아들을 둔 박연정 씨, 두 달 전부터 근무시간을 2시간 단축해 오후 4시면 퇴근합니다.

아이의 어린이집 하원을 직접 챙기면서 아이도 엄마도 만족도가 높아졌습니다.

[박연정/육아기 단축근로자 : "매번 아이한테 빨리빨리 하라고 이야기하죠, 시간이 없으니까. (지금은) 마음에 여유가 되니까 아이를 기다려주는거 같아요. 집에서 마음이 편하니까 회사에서도 마음이 편해요."]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가정 내 보육 부담이 커지면서, 어린 자녀가 있는 부모들의 근로시간 단축 제도 이용이 크게 늘었습니다.

여성의 육아휴직 사용도 꾸준히 증가하는 등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제도가 점차 자리 잡고 있지만 현실에서 느끼는 벽은 여전합니다.

여성의 평균 임금은 남성의 70% 수준에 머물러 있고, 남성과 여성 고용률도 20% 가까이 벌어져 있습니다.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여성관리직 비율도 점차 늘고 있지만, OECD 평균보다 현저히 떨어집니다.

[장미교/회사원 : "임금 격차가 있다 보니, 남녀가 있다 보니 조금 더 급여가 높은 남성이 사회적인 일을 하고 여자가 가정을 지켜야 한다는 인식이 크다 보니까."]

가정폭력과 성폭력, 데이트 폭력 등 여성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늘면서 사회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여성이 남성보다 낮았습니다.

[김종미/여성가족부 여성정책국장 : "스토킹 피해자 보호 지원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등으로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다양한 유형의 여성폭력 피해자를 위한 맞춤형 지원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또 교육과 복지 등 분야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우리 사회를 공정하다고 평가했지만, '성별에 따른 대우'는 남성보다 낮게 평가했습니다.

KBS 뉴스 석혜원입니다.

촬영기자:유성주 김휴동/영상편집:김형균/그래픽:최민영\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272570\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여성 #육아휴직 #임금
@user-im8il9yj2b : 오후 4시에 퇴근할수있는 직장을 다닌다는것도 축복이네요. 부럽습니다.
@ttoja1267 : 근데 기업은 그냥 일 잘 하는 사람한테 돈 많이 주고 높은 자리 맡기지 않나... 기업은 1원이라도 더 벌어주는 사람을 좋아할 텐데
@qqq25q34 : 오후 4시에 퇴근하면서 임금의 70%라고 찡찡대는 여성의 삶..
@user-qf9iy8hz2h : 동일한 직장 내에서 동일 시간(야근을 했는지 안했는지, 출장을 가는지 안가는지), 동일 노동에 한해서 임금차이를 따져야 하는데 비교를 사회 전체로 하니까 이런 결론이 나오죠. 대체로 남자가 힘쓰는 일을 많이하고 야근같은 힘든 일을 맡아해서 임금을 더 많이 받는건 알고계시는건가요? 그리고 여자들이 야근같은 힘든 일은 피해가는 일이 많다는 것도 한몫 하고있습니다
@add133cho5 : 같은 일을 똑같이 하면 임금격차가 날 수가 없어요. 그냥 단순히 비교되는 통계는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대한민국 사회복지제도 변천사-9] 대한민국 여성의 사회참여 역사

1960년대 36% (남성은77.6%)에 그쳤던 경제활동참가율은 2014년 51.3%까지 높아졌고, 1990년대까지 3% 미만이었던
여성국회의원의 비율도 최근(2016년 기준) 17%까지 올라갔습니다.

대한민국 여성의 사회참여는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해왔을까요? 9편 카드뉴스에서는 여성의 사회참여 역사를 살펴보았습니다.

※본 카드뉴스는 곧 공개될 연구보고서 "한국 사회보장제도의 역사적 변화과정과 미래 발전 방향"에 기초해 제작되었습니다.

#사회보장 #복지국가 #사회보장제도

“남자는 여자 3명 거느려야”…자치구 여성복지기관장 막말 / KBS 2021.02.25.

서울의 한 자치단체의 위탁을 받은 여성가족복지센터장이 성적 수치심을 주거나 장애인을 비하하는 등의 막말을 일삼았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이 센터장이 부임한 뒤로 그만둔 직원만 50명이 넘는다고 합니다.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126806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여성복지기관장 #막말 #센터장
@goldenstate6900 : 이 시대의 참된 여성 센터장 분이시네
남자는 하늘 여자는 땅
@betterthantoday6404 : 그의 어록을 저렇게 쓴다는데 뭐..
@user-sw7xz7zv8l : 왜 이런 인간들만 기관장으로 앉히는지 참 답답함에....
인성이 안되는 인간들은 자기 가족들에게는 어떻게 처신할지..??
@user-so3xz6fc2e : 와... 처음 듣는 신선한 개소리다
@user-hs9xb8ck5l : 저 여자는 무슨 근거로 저기 센터장으로 임명 된거냐?

... 

#여성 복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360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