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제뉴스
페이지 정보
본문
위기의 중국 경제...빠져나온 외국 자본이 일본·인도로 가는 까닭 / SBS / 김밥경제
중국 경제가 침체에 빠졌습니다. 미·중 긴장 고조에 더해 부동산 경기 둔화, 높은 청년 실업률 등 여러 악재가 겹쳤기 때문인데요. 최근 중국 증시도 고전을 면치 못하며 외국인 자금 이탈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빠져나간 글로벌 자금이 일본이나 다른 신흥국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일본·인도증시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중국 경제는 언제까지 추락할지, 그리고 이탈한 자금은 왜 한국으로 오지 않는지, 김밥경제를 통해 만나보시죠!
( 총괄 : 정호선 / 기획 : 손승욱 / 취재 : 안상우 / 구성 : 이미숙 / 편집 : 정다운 / 콘텐츠디자인 : 강이경 / 제작 : 디지털뉴스제작부 )
#SBS뉴스 #중국경제 #투자 #뉴스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https://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user-qc9gg5ju4m : 영원한 오르막은 없다는걸 중국도 깨달을 때가 되었다. 국제 사회에서 살아남으려면 결국 이해와 협력이 필요하다는 지극히 간단한 사실을 모른 척한 댓가를 치뤄야할 때라는 사실도.
@user-lw7ny7lf3z : 한국 리스크 정리
1) 지정학적 리스크(북한)
2) 중국 경제 간접 영향 상당히 큼
3) 내수가 약한 수출 의존 국가
4) 대주주가 다 해 먹는 지배 구조, 투자자 보호따윈 안드로메다간 무한 쪼개기 상장
5) 주주환원율 주요국 중 최하위
6) 원화 약세
7) 외국계에서 투자할만한 해자를 가진 매력적인 BM을 갖춘 기업이 딱히 없음, 손에 꼽을정도
8) 타국에 비해 부동산에 국민들의 자산이 몰빵되어 있어 증시로의 자금 유입이 매우 적을 듯한 비정상적인 투자 비중의 구조
@millionairefastline : 한국사람들도 다 국내가 아닌 미국이나 타국에 투자하는데, 개인투자가 거의 불가능한 국내에 누가 투자해 ㅋㅋㅋㅋㅋ
@tisflsdos : 세금이 너무 쎄요
@retechsilo : 나같아도 한국에 투자안함 ㅋㅋ 미쳤냐???? 코스피 그 꼬라지 보고도 한국에 투자한다고????
그 돈을 써놓고…아프리카서 ‘한 방’ 먹은 중국 [경제합시다] / KBS 2024.01.22.
'자원'은 넘치지만 '자본'은 부족한 대륙.
아프리카의 전형적 특징이죠.
10여 년 전부터 중국은 이 틈을 파고 들었습니다.
자원 부국에 막대한 돈을 빌려주고, 그 빚을 지렛대로 영향력을 키워왔는데요.
그런 아프리카에서 중국이 미국에 '한 방 먹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아프리카 콩고는 구리, 망간, 코발트가 풍부합니다.
다만, 바다가 없는 내륙입니다.
그래서 콩고에서 앙골라 로비토 항까지 가는 철도망, '로비토 회랑'이 설계됐습니다.
전기차 배터리에 꼭 필요한 망간과 코발트 등을 30년간 운송하는 핵심 사업입니다.
앙골라는 '일대일로' 등에 참여하며 아프리카에서 가장 많은 57조 원을 중국에 빚졌습니다.
연간 GDP의 40%에 해당할 정도여서 중국은 낙승을 예상했는데, 앙골라가 미국에 사업권을 줘버린 겁니다.
[바이든/미국 대통령/지난해 11월/미국-앙골라 정상회담 : "(앙골라에 대한) 최초의 프로젝트입니다. 미국이 아프리카에 깐 철도 중 최대 투자입니다."]
알고 보니 속사정이 있었습니다.
앙골라의 한 기차역은 열차 시각과 가격 전광판이 10년째 그대로입니다.
철도를 깐 중국 국영기업이 시스템 관리권도 안 넘기고 떠난 겁니다.
열차 탈선과 시스템 다운도 빈발했습니다.
'일대일로'라는 핵심 국가 시책의 일환이었는데도, 중국의 품질 관리가 기대 이하였던 겁니다.
일대일로는 지난해 이탈리아가 탈퇴하는 등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이번 앙골라의 이변 역시 그 연장선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경제합시다였습니다.\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872083\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아프리카 #중국 #앙골라
@user-ng7mc1wz7s : 연초에 가슴이 따뜻해지는 뉴스네요
@takustation : 중국이 너무 착하네~
"시스템은 못만들어도.. 바이러스는 잘만든다!"를 보여주는 착한뉴스네요~
@user-cu4nb6sb9o : 무례하고 욕심이 너무 많아...그러니 적이 많지...
@hypermental9308 : 다 같이 일대일로 먹튀 가즈아~ 아프리카 홧팅!
@user-nu5eq6mj8u : 싼 맛에 중국산을 쓰다가
꼭 뒤통수를 맞지.....진리야 진리....
'부동산 공룡' 헝다 청산 명령‥중국 경제 영향은? (2024.01.29/뉴스데스크/MBC)
부채가 4백조 원이 넘는 중국 최대 부동산 기업 헝다에 대해서
홍콩 법원이 청산 명령을 내렸습니다.
살아날 기미가 없으니까 자산을 팔아서 빚을 갚으라는 건데,
헝다의 자산이 대부분 중국 본토에 있어서
중국 당국의 반응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ㅤ
https://imnews.imbc.com/replay/2024/nwdesk/article/6566826_36515.html
#홍콩증시 #중국 #헝다
ⓒ MBC \u0026 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user-qw9yz9rz3o : 모래위에 쌓은 건설은
젯더니 되는건 한순간임
@smapowr1048 : 회사가 잘되면 주주들이 돈 버니 망할때도 주주들이 책임지면 된다.
@user-oq7tw8bz5f : 잘하네 중국... 안그래도 외국투자자 다 빠져 나가는데 .. 이제 쐐기를 박네... 자력갱생해라...
@user-bc7fw3no5h : 와~~~ 기업히나가 우리나라의 세수재정이랑 균등하네요
@JSH-do5qf : 저게 정상이지. 우리 정부는 규제 해제, 건설사 지원등을 하면서 그 부실을 일반 서민들에게 떠 넘길려고 하고 있음, 그와 동시에 부자 감세.
중국 경제가 침체에 빠졌습니다. 미·중 긴장 고조에 더해 부동산 경기 둔화, 높은 청년 실업률 등 여러 악재가 겹쳤기 때문인데요. 최근 중국 증시도 고전을 면치 못하며 외국인 자금 이탈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빠져나간 글로벌 자금이 일본이나 다른 신흥국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일본·인도증시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중국 경제는 언제까지 추락할지, 그리고 이탈한 자금은 왜 한국으로 오지 않는지, 김밥경제를 통해 만나보시죠!
( 총괄 : 정호선 / 기획 : 손승욱 / 취재 : 안상우 / 구성 : 이미숙 / 편집 : 정다운 / 콘텐츠디자인 : 강이경 / 제작 : 디지털뉴스제작부 )
#SBS뉴스 #중국경제 #투자 #뉴스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https://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user-qc9gg5ju4m : 영원한 오르막은 없다는걸 중국도 깨달을 때가 되었다. 국제 사회에서 살아남으려면 결국 이해와 협력이 필요하다는 지극히 간단한 사실을 모른 척한 댓가를 치뤄야할 때라는 사실도.
@user-lw7ny7lf3z : 한국 리스크 정리
1) 지정학적 리스크(북한)
2) 중국 경제 간접 영향 상당히 큼
3) 내수가 약한 수출 의존 국가
4) 대주주가 다 해 먹는 지배 구조, 투자자 보호따윈 안드로메다간 무한 쪼개기 상장
5) 주주환원율 주요국 중 최하위
6) 원화 약세
7) 외국계에서 투자할만한 해자를 가진 매력적인 BM을 갖춘 기업이 딱히 없음, 손에 꼽을정도
8) 타국에 비해 부동산에 국민들의 자산이 몰빵되어 있어 증시로의 자금 유입이 매우 적을 듯한 비정상적인 투자 비중의 구조
@millionairefastline : 한국사람들도 다 국내가 아닌 미국이나 타국에 투자하는데, 개인투자가 거의 불가능한 국내에 누가 투자해 ㅋㅋㅋㅋㅋ
@tisflsdos : 세금이 너무 쎄요
@retechsilo : 나같아도 한국에 투자안함 ㅋㅋ 미쳤냐???? 코스피 그 꼬라지 보고도 한국에 투자한다고????
그 돈을 써놓고…아프리카서 ‘한 방’ 먹은 중국 [경제합시다] / KBS 2024.01.22.
'자원'은 넘치지만 '자본'은 부족한 대륙.
아프리카의 전형적 특징이죠.
10여 년 전부터 중국은 이 틈을 파고 들었습니다.
자원 부국에 막대한 돈을 빌려주고, 그 빚을 지렛대로 영향력을 키워왔는데요.
그런 아프리카에서 중국이 미국에 '한 방 먹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아프리카 콩고는 구리, 망간, 코발트가 풍부합니다.
다만, 바다가 없는 내륙입니다.
그래서 콩고에서 앙골라 로비토 항까지 가는 철도망, '로비토 회랑'이 설계됐습니다.
전기차 배터리에 꼭 필요한 망간과 코발트 등을 30년간 운송하는 핵심 사업입니다.
앙골라는 '일대일로' 등에 참여하며 아프리카에서 가장 많은 57조 원을 중국에 빚졌습니다.
연간 GDP의 40%에 해당할 정도여서 중국은 낙승을 예상했는데, 앙골라가 미국에 사업권을 줘버린 겁니다.
[바이든/미국 대통령/지난해 11월/미국-앙골라 정상회담 : "(앙골라에 대한) 최초의 프로젝트입니다. 미국이 아프리카에 깐 철도 중 최대 투자입니다."]
알고 보니 속사정이 있었습니다.
앙골라의 한 기차역은 열차 시각과 가격 전광판이 10년째 그대로입니다.
철도를 깐 중국 국영기업이 시스템 관리권도 안 넘기고 떠난 겁니다.
열차 탈선과 시스템 다운도 빈발했습니다.
'일대일로'라는 핵심 국가 시책의 일환이었는데도, 중국의 품질 관리가 기대 이하였던 겁니다.
일대일로는 지난해 이탈리아가 탈퇴하는 등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이번 앙골라의 이변 역시 그 연장선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경제합시다였습니다.\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872083\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아프리카 #중국 #앙골라
@user-ng7mc1wz7s : 연초에 가슴이 따뜻해지는 뉴스네요
@takustation : 중국이 너무 착하네~
"시스템은 못만들어도.. 바이러스는 잘만든다!"를 보여주는 착한뉴스네요~
@user-cu4nb6sb9o : 무례하고 욕심이 너무 많아...그러니 적이 많지...
@hypermental9308 : 다 같이 일대일로 먹튀 가즈아~ 아프리카 홧팅!
@user-nu5eq6mj8u : 싼 맛에 중국산을 쓰다가
꼭 뒤통수를 맞지.....진리야 진리....
'부동산 공룡' 헝다 청산 명령‥중국 경제 영향은? (2024.01.29/뉴스데스크/MBC)
부채가 4백조 원이 넘는 중국 최대 부동산 기업 헝다에 대해서
홍콩 법원이 청산 명령을 내렸습니다.
살아날 기미가 없으니까 자산을 팔아서 빚을 갚으라는 건데,
헝다의 자산이 대부분 중국 본토에 있어서
중국 당국의 반응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ㅤ
https://imnews.imbc.com/replay/2024/nwdesk/article/6566826_36515.html
#홍콩증시 #중국 #헝다
ⓒ MBC \u0026 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user-qw9yz9rz3o : 모래위에 쌓은 건설은
젯더니 되는건 한순간임
@smapowr1048 : 회사가 잘되면 주주들이 돈 버니 망할때도 주주들이 책임지면 된다.
@user-oq7tw8bz5f : 잘하네 중국... 안그래도 외국투자자 다 빠져 나가는데 .. 이제 쐐기를 박네... 자력갱생해라...
@user-bc7fw3no5h : 와~~~ 기업히나가 우리나라의 세수재정이랑 균등하네요
@JSH-do5qf : 저게 정상이지. 우리 정부는 규제 해제, 건설사 지원등을 하면서 그 부실을 일반 서민들에게 떠 넘길려고 하고 있음, 그와 동시에 부자 감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