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에관하여
페이지 정보
본문
[풀버전] 그 유명한 〈정의란 무엇인가〉, 설민석이 엑기스만 뽑아 읽어드립니다 | #책읽어드립니다 #사피엔스
#사피엔스 #책읽어드립니다 #강독
요즘책방 : 책읽어드립니다
스테디셀러 책들을 알기 쉽게 풀어주는 독서 프로그램
《책 읽어드립니다》, 《어쩌다 어른》 제작진이 만든 대한민국 대표 지식 큐레이팅 채널 『사피엔스』
→ https://www.youtube.com/c/사피엔스스튜디오
@aspearandshield : 사놓고 안읽었는데ㅋㅋㅋㅋ 이걸봐야겠네요
@user-cs8fj5lo8m : 진짜 정의는 사람들의 의식 수준이 높아지는 것 부터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함. 공동체의 선의 추구는 개개인의 의식 수준이 높아져서 자연스러운 정의가 펼쳐지는 것에 있다.
아무리 좋은 법을 만든다고 하여도 개개인의 의식이 낮아서 그걸 지킬 의무와 책임을 못 느낀다면 그 사회는 발전이 아니라 퇴보할듯.
@kimhuirae : 책을 한 7번쯤 읽었는데 제가 읽고 아직도 기억하는 내용이 영상 내용과 똑같아서 참 행복합니다 전 아직 책한권의 내용을 전부 잊지 않았네요.
@Oohnuy : 이거 진짜 재밌게 보던 프로인데ㅠㅠㅠㅠ 없어져서 너무 아쉬움
@Koreafp : 고등학교때 필수도서여서 읽었다가 너무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던 책이었습니다. 직장인이 되어서 다시 읽으니 또 내가 생각하는 정의가 달라지고 나의 기준이 달라졌다는 것이 느껴지더라고요..
쉽게 사람들이 정의를 생각해볼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 추천!
마이클 샌델은 좌파? [정의란 무엇인가] 핵심 요약과 마이클 샌델의 사상!
#정의란무엇인가 #마이클샌델 #공정하다는착각 #정의란무엇인가요약
마이클 샌델은 좌파? [정의란 무엇인가]
진짜 핵심 요약과 마이클 샌델의 사상!
즐거움과 유익함이 가득가득
김지윤 박사가 들려주는 재미있는 이야기
구독 , 좋아요! 김지윤의 지식Play
kimjyTV@gmail.com
참고문헌
Rawls, J. (1971). A Theory of Justice, Harvard University Press.
강준호. (2016). 공리주의적 전통과 벤담의 독창성. 범한철학, 81(2), 87-121.
강준호. (2019). 제러미 벤담과 현대: 공리주의 설계자가 꿈꾼 자유와 정의 그리고 행복. 성균관 대학교 출판부.
김범수. (2022). 한국사회에서 공정이란 무엇인가. 아카넷.
김비환. (2004). 시장과 민주주의의 관계를 중심으로 본 현대자유 주의의 내적 분화: 기본권 개념을 중심으로.법철학연구,7(2),63-100.
김석수. (2002). 공리주의, 합리성 그리고 한국 사회.사회와 철학,(3),117-144.
김영기. (2011). 마이클 샌델의 정의관 비판.동서사상,10,1-26.
박정순. (1999). 마이클 왈쩌의 공동체주의. 철학과 현실, 175-198.
마이클 샌델. (2010). 정의란 무엇인가. 김영사.
양천수. (2014).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의 가능성-마이클 샌델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하여. 법철학연구, 17(2), 205-242.
오재호. (2010). 쾌락주의의 계보와 공리주의.철학연구,114(),141-162.
임의영. (2003). 사회적 형평성의 개념적 심화를 위한 정의론의 비교연구: Rawls 에 대한 Nozick, Walzer, Young 의 비판적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4(2), 47-63.
최정운. (1997). 미국의 자유주의: 롤스 (Rawls) 와 노직 (Nozick) 의 논쟁. 미국학, 20.
@user-oy8cv6jr8z : 제가 정의란 무엇인가 책을 읽어보고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한 정의론은 롤스의 정의론 이었습니다. 이유는 (현실적으로 어렵겠지만) 우리 모두가 무지의 장막을 가정하고 합의를 이룰수있다면 10장공동체주의에서 말하는 공동선에 대한 공동체의 합의를 이룰수있다고 보기때문입니다. 최근 벌어지는 갈등도 결국은 자신의 처지에 가장 이익되는 주장만 하기때문인데 능력[부모로부터물려받은부/선천적재능과성실성 등을 모두 포함]이 있는 자는 능력주의를 주장할것이고, 지금의 처지에 좌절하는 이는 분배에 더 관심을 가질것입니다. 그러므로 무지의 장막을 설정하여 객관적으로 사회적합의를 한다면 지금보이는 사회적갈등을 해소할수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박사님께서 통찰하신 구체적 방법론이 없어 그또한 전체주의로 흐를수있지만 적절한 권력분립을 가능케하는 민주주의를 최악으로 흐르는것을 막을수있을것입니다. 자라나는 세대에 이념보다는 이러한 다양한 정의론을 알려주고 무지의장막을 자신에게 입히고 토론을 통해 합의를 이끌어내는 교육과정이 절실해보입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hiroquet36 : 공정하다는 착각을 읽어 봤습니다. 책을 읽어 볼수록, 어떤 규칙도 당연하다고 여겨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사람은 누구도 개인만으로는 살 수 없습니다. 공존을 위해서는 연대의 힘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user-wn3kp3xy9w : 같이 책읽기 기획 진짜 너무너무 좋아요 계속~쭉 해주세요 ㅠ
@user-nx9wg3hr5v : 헉 필독도서지만 아직 안 읽었는데.... 박사 님 덕분에 아는 척이라도 할 수 있겠네요...
@nununn : "정의가 있다는 착각"
이 말 말고는 생각나는게 없네요..
[고1 통합사회] 20차시│정의의 의미│업적 분배│능력 분배│필요 분배
검수 : 박형준 선생님
@user-el2pw1gy6o : ㅎㅎㅎ 감사합니다 ❤
@PKDONG : 영상 감사합니다
@user-lw7xh6qt3v :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ql2yu1tj1z : 업적에 따른 분배가 이해 안됐었는데 드디어 이해가 됐네요 감사합니다ㅎㅎ
@user-on2bm8vy4x : ❤
#사피엔스 #책읽어드립니다 #강독
요즘책방 : 책읽어드립니다
스테디셀러 책들을 알기 쉽게 풀어주는 독서 프로그램
《책 읽어드립니다》, 《어쩌다 어른》 제작진이 만든 대한민국 대표 지식 큐레이팅 채널 『사피엔스』
→ https://www.youtube.com/c/사피엔스스튜디오
@aspearandshield : 사놓고 안읽었는데ㅋㅋㅋㅋ 이걸봐야겠네요
@user-cs8fj5lo8m : 진짜 정의는 사람들의 의식 수준이 높아지는 것 부터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함. 공동체의 선의 추구는 개개인의 의식 수준이 높아져서 자연스러운 정의가 펼쳐지는 것에 있다.
아무리 좋은 법을 만든다고 하여도 개개인의 의식이 낮아서 그걸 지킬 의무와 책임을 못 느낀다면 그 사회는 발전이 아니라 퇴보할듯.
@kimhuirae : 책을 한 7번쯤 읽었는데 제가 읽고 아직도 기억하는 내용이 영상 내용과 똑같아서 참 행복합니다 전 아직 책한권의 내용을 전부 잊지 않았네요.
@Oohnuy : 이거 진짜 재밌게 보던 프로인데ㅠㅠㅠㅠ 없어져서 너무 아쉬움
@Koreafp : 고등학교때 필수도서여서 읽었다가 너무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던 책이었습니다. 직장인이 되어서 다시 읽으니 또 내가 생각하는 정의가 달라지고 나의 기준이 달라졌다는 것이 느껴지더라고요..
쉽게 사람들이 정의를 생각해볼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 추천!
마이클 샌델은 좌파? [정의란 무엇인가] 핵심 요약과 마이클 샌델의 사상!
#정의란무엇인가 #마이클샌델 #공정하다는착각 #정의란무엇인가요약
마이클 샌델은 좌파? [정의란 무엇인가]
진짜 핵심 요약과 마이클 샌델의 사상!
즐거움과 유익함이 가득가득
김지윤 박사가 들려주는 재미있는 이야기
구독 , 좋아요! 김지윤의 지식Play
kimjyTV@gmail.com
참고문헌
Rawls, J. (1971). A Theory of Justice, Harvard University Press.
강준호. (2016). 공리주의적 전통과 벤담의 독창성. 범한철학, 81(2), 87-121.
강준호. (2019). 제러미 벤담과 현대: 공리주의 설계자가 꿈꾼 자유와 정의 그리고 행복. 성균관 대학교 출판부.
김범수. (2022). 한국사회에서 공정이란 무엇인가. 아카넷.
김비환. (2004). 시장과 민주주의의 관계를 중심으로 본 현대자유 주의의 내적 분화: 기본권 개념을 중심으로.법철학연구,7(2),63-100.
김석수. (2002). 공리주의, 합리성 그리고 한국 사회.사회와 철학,(3),117-144.
김영기. (2011). 마이클 샌델의 정의관 비판.동서사상,10,1-26.
박정순. (1999). 마이클 왈쩌의 공동체주의. 철학과 현실, 175-198.
마이클 샌델. (2010). 정의란 무엇인가. 김영사.
양천수. (2014).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의 가능성-마이클 샌델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하여. 법철학연구, 17(2), 205-242.
오재호. (2010). 쾌락주의의 계보와 공리주의.철학연구,114(),141-162.
임의영. (2003). 사회적 형평성의 개념적 심화를 위한 정의론의 비교연구: Rawls 에 대한 Nozick, Walzer, Young 의 비판적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4(2), 47-63.
최정운. (1997). 미국의 자유주의: 롤스 (Rawls) 와 노직 (Nozick) 의 논쟁. 미국학, 20.
@user-oy8cv6jr8z : 제가 정의란 무엇인가 책을 읽어보고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한 정의론은 롤스의 정의론 이었습니다. 이유는 (현실적으로 어렵겠지만) 우리 모두가 무지의 장막을 가정하고 합의를 이룰수있다면 10장공동체주의에서 말하는 공동선에 대한 공동체의 합의를 이룰수있다고 보기때문입니다. 최근 벌어지는 갈등도 결국은 자신의 처지에 가장 이익되는 주장만 하기때문인데 능력[부모로부터물려받은부/선천적재능과성실성 등을 모두 포함]이 있는 자는 능력주의를 주장할것이고, 지금의 처지에 좌절하는 이는 분배에 더 관심을 가질것입니다. 그러므로 무지의 장막을 설정하여 객관적으로 사회적합의를 한다면 지금보이는 사회적갈등을 해소할수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박사님께서 통찰하신 구체적 방법론이 없어 그또한 전체주의로 흐를수있지만 적절한 권력분립을 가능케하는 민주주의를 최악으로 흐르는것을 막을수있을것입니다. 자라나는 세대에 이념보다는 이러한 다양한 정의론을 알려주고 무지의장막을 자신에게 입히고 토론을 통해 합의를 이끌어내는 교육과정이 절실해보입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hiroquet36 : 공정하다는 착각을 읽어 봤습니다. 책을 읽어 볼수록, 어떤 규칙도 당연하다고 여겨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사람은 누구도 개인만으로는 살 수 없습니다. 공존을 위해서는 연대의 힘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user-wn3kp3xy9w : 같이 책읽기 기획 진짜 너무너무 좋아요 계속~쭉 해주세요 ㅠ
@user-nx9wg3hr5v : 헉 필독도서지만 아직 안 읽었는데.... 박사 님 덕분에 아는 척이라도 할 수 있겠네요...
@nununn : "정의가 있다는 착각"
이 말 말고는 생각나는게 없네요..
[고1 통합사회] 20차시│정의의 의미│업적 분배│능력 분배│필요 분배
검수 : 박형준 선생님
@user-el2pw1gy6o : ㅎㅎㅎ 감사합니다 ❤
@PKDONG : 영상 감사합니다
@user-lw7xh6qt3v :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ql2yu1tj1z : 업적에 따른 분배가 이해 안됐었는데 드디어 이해가 됐네요 감사합니다ㅎㅎ
@user-on2bm8vy4x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