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신문사이트
페이지 정보
본문
기사 한 줄 안 쓰고 언론사를 유지할 수 있는 신박한 방법 / KBS 2021.04.25.
등록된 인터넷 신문의 숫자가 만 개에 이를 정도로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기사 한 건 쓰지 않아도 이런 언론사를 운영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저희가 직접 인터넷 언론사를 운영해봤습니다.
[리포트]
지자체에 신청서를 접수한 지 10여 일, 인터넷신문 등록증이 나왔습니다.
대행업체에 개설 비용과 월 관리비만 내면 홈페이지가 자동으로 운영됩니다.
신청 3일째.
그럴듯한 홈페이지가 생겼습니다.
저는 기사를 단 한 줄도 쓰지 않았습니다.
그런데도 제가 만든 인터넷 언론사의 홈페이지는 연일 기사로 채워지고 있는데요.
기사창이 2600페이지, (홈페이지를 개설한 지) 단 이틀 만에 기사량은 5만 개가 넘었습니다.
심지어 3년 전 기사도 올라와 있습니다.
한 인터넷 신문사의 홈페이지입니다.
최근 기사를 분석했더니, 직접 쓴 기사는 단 3%에 불과합니다.
어디에 있는지 찾아가봤습니다.
사무실은 텅 비어있고 비닐봉투만 쌓여 있습니다.
대표는 매체 운영의 목적을 '이윤'이라고 말합니다.
[해당 인터넷신문 대표/음성변조 : "이윤을 얻기 위해서 운영되는 업체다 보니까, 법적으로 그러지 말아야 한다는 것도 없는 것 같고."]
이윤의 주요 출처는 지방자치단체 홍보비 등입니다.
일부 인터넷 언론사의 광고 요구는 노골적이고 집요합니다.
언론사를 폐간한 후에 광고비를 받아 내기도 하고 광고 요구를 참다못해 공무원 노조가 경찰에 수사를 의뢰한 경우도 있습니다.
[OO언론사 대표/음성변조 : "지금 우리를 보고 일 년에 (광고) 두 번 받아먹으라면 '내 파 삐지'(괴롭히는 기사를 쓰지) 그냥 있겠습니까. 아니 이게 지금 뭐하는 거예요? 사람을 갖고 노는 것도 아니고."]
지자체의 예산으로 집행되는 광고비가 일부 인터넷 언론사의 먹잇감이 되고 있는 겁니다.
[유현재/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 "이거는 다들 알지만 쉬쉬하는 그런 비즈니즈 모델인데 중요한 건 굉장히 큰 빅픽처로 보면 언론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거예요."]
최근 1년 간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언론사에 집행한 광고비는 모두 약 2천8백 억 원.
약 천만 명이 코로나19 백신을 맞을 수 있는 비용입니다.
KBS 뉴스 엄진아입니다.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170716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사이비언론 #인터넷언론사 #질문하는기자들
인터넷신문 기자 공갈 등 혐의로 기소.."광고비 요구" | 전주MBC 220531 방송
비판 기사를 무기로 자치단체에 광고비를 재촉한 의혹이 제기된 언론사 기자가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전주지방검찰청은 공갈과 강요 등의 혐의로 인터넷 신문사 기자 A 씨를 불구속 기소했습니다.
A 씨는 지난해 5월까지 3년여 동안 임실군청에 대한 비판기사를 지속적으로 쓰겠다며 공무원에게 겁을 주고, 22차례에 걸쳐 광고비 2600만 원을 지급 받은 혐의 등으로 기소됐습니다.
#인터넷신문 #기자 #재판
@user-st4tp6sb1d : 최고엠씨 미소가 아름다운 모지안 아나운서의 세련되고 정확한 뉴스 진행으로 몰랐던 문제를 쉽게 알수가 있네요 모지안 화이팅 인터넷 신문 기자 공갈등 강요로 기소 광고비 요구
[뉴스데스크] 자치단체가 '인터넷 신문사' 손바닥 안?
#언론사 #갑질 #지방자치단체
현재 논란되고 있는 기자가 기사를 쓰고
있는 매체는 '인터넷 신문사'입니다.
홈페이지 하나만을 가지고 언론사를
자처하고 있는데도, 자치단체들은
그간 눈치 보며 광고비를 집행했는데
말 그대로 휘둘려왔습니다.
조수영 기자가 이유를 들여다봤습니다.
현재 전라북도에 등록하고 영업 중인
신문사는 200곳에 가깝습니다.
대부분 인터넷에 기반을 둔 신문사들입니다.
최근 2년 사이 도내에 새로 등록된 곳들도
절대 다수가 인터넷 신문사들입니다.
미디어 소비 패턴이 바뀐 배경도 있겠지만,
매체 특성상 등록자체도 까다롭지 않습니다.
전라북도 관계자
"등록이라는 말 자체가 간단합니다. 일간지는 법인이어야 가능하고요. '인터넷 신문'들은
개인까지 가능하도록 열어놨어요. 발행소의
등기부등본 등 떼어 오시면 됩니다.(개인
집이어도 상관이 없겠네요?) 예."
하지만 인터넷 신문의 영향력은 손쉬운
설립과 영세한 규모론 설명되지 않습니다.
해당 기자들이 기사 유통망으로 적극 활용하는
카카오톡 등 소셜 네트워크를 만나면 이야기가 달라지는 것입니다.
도내 인터넷 신문 기자
"핫이슈가 되는 것들이 있어요. 지역 정치인들이라든가, 코로나라든가.. (홈페이지에)기사를
올려놓으면 잘 안 보니까.. SNS통해 전달하면
받아서 또 다른 사람들한테 전달하면서 (전파가) 상당히 빨라지는 것 같아요."
실제로 문제가 된 임실 김 모 씨의 경우도
자신이 쓴 기사를 공무원 등 주변인에게
카카오톡을 통해 끊임없이 전파해 왔습니다.
링크만 누르면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기사형식의
홈페이지로 연결되는 탓에 매체의 권위나
신뢰도와는 상관없이 주목도를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한 다리 건너면 다 아는 좁은 지역 사회일수록
기사의 파급효과가 배가 되는 셈입니다.
문제는 바로 이 점을 기자들이 악용해
기사를 무기로, 광고비 등 돈이 나오는
공공기관을 압박하고 있다는 겁니다.
도내 공공기관 홍보담당자
"ㅇㅇ(A지역) 같은 경우는 지금 말을
안 듣는데 방 하나 얻어놓고 뒷조사 하면
뭐가 안 나오겠냐 그런 이야기를 막.."
/
재선을 노리는 단체장이 소속된 자치단체일수록 기사 한 줄에 예민할 수밖에 없어
결국 여론을 의식한 나머지 기자의
광고비 요구에 백기를 들어온 게 현실.
손주화 /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국장
"언론사에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비용으로
인식되면서 어찌보면 비판 기사를 무기로
홍보비를 얻어내려는 현재 언론사의 문제
있는 태도를 만들어냈다고 볼 수 있거든요.
언론 예산 운용에 대한 지침과 기준을 마련하고
지역사회에 공개하는 결과가 자리 잡을 때.."
문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하고 나선
임실군공무원 노조는 일단 경찰수사
결과를 지켜본 뒤 이른바 '적폐언론'과의
전면전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조수영입니다.
@user-st4tp6sb1d : 최고엠씨 세련미의 미남 정진형 아나운서의 세련되고 정확한 뉴스 진행으로 몰랐던 문제를 쉽게 알수가 있네요 정진형 화이팅 자치단체가 인터넷 신문사 손바닥 안에서
@user-fu9pm7qw7y : 인터넽 방송에서 일본을 "본"으로 축소해서 읽고 쓰는 이유가 무엇인가?
그것 말고도 자막에서 단어의 앞 또는 뒤의 한 글자씩 생략해서 쓰고 읽는데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이해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기자나 아나운서의 실수라면 잘라라.
방송 원고나 자막을 수정 검토 없이 방송 히는 것은 시청자를 무시하는 처사가 아닌가?
등록된 인터넷 신문의 숫자가 만 개에 이를 정도로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기사 한 건 쓰지 않아도 이런 언론사를 운영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저희가 직접 인터넷 언론사를 운영해봤습니다.
[리포트]
지자체에 신청서를 접수한 지 10여 일, 인터넷신문 등록증이 나왔습니다.
대행업체에 개설 비용과 월 관리비만 내면 홈페이지가 자동으로 운영됩니다.
신청 3일째.
그럴듯한 홈페이지가 생겼습니다.
저는 기사를 단 한 줄도 쓰지 않았습니다.
그런데도 제가 만든 인터넷 언론사의 홈페이지는 연일 기사로 채워지고 있는데요.
기사창이 2600페이지, (홈페이지를 개설한 지) 단 이틀 만에 기사량은 5만 개가 넘었습니다.
심지어 3년 전 기사도 올라와 있습니다.
한 인터넷 신문사의 홈페이지입니다.
최근 기사를 분석했더니, 직접 쓴 기사는 단 3%에 불과합니다.
어디에 있는지 찾아가봤습니다.
사무실은 텅 비어있고 비닐봉투만 쌓여 있습니다.
대표는 매체 운영의 목적을 '이윤'이라고 말합니다.
[해당 인터넷신문 대표/음성변조 : "이윤을 얻기 위해서 운영되는 업체다 보니까, 법적으로 그러지 말아야 한다는 것도 없는 것 같고."]
이윤의 주요 출처는 지방자치단체 홍보비 등입니다.
일부 인터넷 언론사의 광고 요구는 노골적이고 집요합니다.
언론사를 폐간한 후에 광고비를 받아 내기도 하고 광고 요구를 참다못해 공무원 노조가 경찰에 수사를 의뢰한 경우도 있습니다.
[OO언론사 대표/음성변조 : "지금 우리를 보고 일 년에 (광고) 두 번 받아먹으라면 '내 파 삐지'(괴롭히는 기사를 쓰지) 그냥 있겠습니까. 아니 이게 지금 뭐하는 거예요? 사람을 갖고 노는 것도 아니고."]
지자체의 예산으로 집행되는 광고비가 일부 인터넷 언론사의 먹잇감이 되고 있는 겁니다.
[유현재/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 "이거는 다들 알지만 쉬쉬하는 그런 비즈니즈 모델인데 중요한 건 굉장히 큰 빅픽처로 보면 언론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거예요."]
최근 1년 간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언론사에 집행한 광고비는 모두 약 2천8백 억 원.
약 천만 명이 코로나19 백신을 맞을 수 있는 비용입니다.
KBS 뉴스 엄진아입니다.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170716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사이비언론 #인터넷언론사 #질문하는기자들
인터넷신문 기자 공갈 등 혐의로 기소.."광고비 요구" | 전주MBC 220531 방송
비판 기사를 무기로 자치단체에 광고비를 재촉한 의혹이 제기된 언론사 기자가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전주지방검찰청은 공갈과 강요 등의 혐의로 인터넷 신문사 기자 A 씨를 불구속 기소했습니다.
A 씨는 지난해 5월까지 3년여 동안 임실군청에 대한 비판기사를 지속적으로 쓰겠다며 공무원에게 겁을 주고, 22차례에 걸쳐 광고비 2600만 원을 지급 받은 혐의 등으로 기소됐습니다.
#인터넷신문 #기자 #재판
@user-st4tp6sb1d : 최고엠씨 미소가 아름다운 모지안 아나운서의 세련되고 정확한 뉴스 진행으로 몰랐던 문제를 쉽게 알수가 있네요 모지안 화이팅 인터넷 신문 기자 공갈등 강요로 기소 광고비 요구
[뉴스데스크] 자치단체가 '인터넷 신문사' 손바닥 안?
#언론사 #갑질 #지방자치단체
현재 논란되고 있는 기자가 기사를 쓰고
있는 매체는 '인터넷 신문사'입니다.
홈페이지 하나만을 가지고 언론사를
자처하고 있는데도, 자치단체들은
그간 눈치 보며 광고비를 집행했는데
말 그대로 휘둘려왔습니다.
조수영 기자가 이유를 들여다봤습니다.
현재 전라북도에 등록하고 영업 중인
신문사는 200곳에 가깝습니다.
대부분 인터넷에 기반을 둔 신문사들입니다.
최근 2년 사이 도내에 새로 등록된 곳들도
절대 다수가 인터넷 신문사들입니다.
미디어 소비 패턴이 바뀐 배경도 있겠지만,
매체 특성상 등록자체도 까다롭지 않습니다.
전라북도 관계자
"등록이라는 말 자체가 간단합니다. 일간지는 법인이어야 가능하고요. '인터넷 신문'들은
개인까지 가능하도록 열어놨어요. 발행소의
등기부등본 등 떼어 오시면 됩니다.(개인
집이어도 상관이 없겠네요?) 예."
하지만 인터넷 신문의 영향력은 손쉬운
설립과 영세한 규모론 설명되지 않습니다.
해당 기자들이 기사 유통망으로 적극 활용하는
카카오톡 등 소셜 네트워크를 만나면 이야기가 달라지는 것입니다.
도내 인터넷 신문 기자
"핫이슈가 되는 것들이 있어요. 지역 정치인들이라든가, 코로나라든가.. (홈페이지에)기사를
올려놓으면 잘 안 보니까.. SNS통해 전달하면
받아서 또 다른 사람들한테 전달하면서 (전파가) 상당히 빨라지는 것 같아요."
실제로 문제가 된 임실 김 모 씨의 경우도
자신이 쓴 기사를 공무원 등 주변인에게
카카오톡을 통해 끊임없이 전파해 왔습니다.
링크만 누르면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기사형식의
홈페이지로 연결되는 탓에 매체의 권위나
신뢰도와는 상관없이 주목도를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한 다리 건너면 다 아는 좁은 지역 사회일수록
기사의 파급효과가 배가 되는 셈입니다.
문제는 바로 이 점을 기자들이 악용해
기사를 무기로, 광고비 등 돈이 나오는
공공기관을 압박하고 있다는 겁니다.
도내 공공기관 홍보담당자
"ㅇㅇ(A지역) 같은 경우는 지금 말을
안 듣는데 방 하나 얻어놓고 뒷조사 하면
뭐가 안 나오겠냐 그런 이야기를 막.."
/
재선을 노리는 단체장이 소속된 자치단체일수록 기사 한 줄에 예민할 수밖에 없어
결국 여론을 의식한 나머지 기자의
광고비 요구에 백기를 들어온 게 현실.
손주화 /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국장
"언론사에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비용으로
인식되면서 어찌보면 비판 기사를 무기로
홍보비를 얻어내려는 현재 언론사의 문제
있는 태도를 만들어냈다고 볼 수 있거든요.
언론 예산 운용에 대한 지침과 기준을 마련하고
지역사회에 공개하는 결과가 자리 잡을 때.."
문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하고 나선
임실군공무원 노조는 일단 경찰수사
결과를 지켜본 뒤 이른바 '적폐언론'과의
전면전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조수영입니다.
@user-st4tp6sb1d : 최고엠씨 세련미의 미남 정진형 아나운서의 세련되고 정확한 뉴스 진행으로 몰랐던 문제를 쉽게 알수가 있네요 정진형 화이팅 자치단체가 인터넷 신문사 손바닥 안에서
@user-fu9pm7qw7y : 인터넽 방송에서 일본을 "본"으로 축소해서 읽고 쓰는 이유가 무엇인가?
그것 말고도 자막에서 단어의 앞 또는 뒤의 한 글자씩 생략해서 쓰고 읽는데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이해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기자나 아나운서의 실수라면 잘라라.
방송 원고나 자막을 수정 검토 없이 방송 히는 것은 시청자를 무시하는 처사가 아닌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