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센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한국은행총재 조회 7회 작성일 2024-03-09 09:54:00 댓글 0

본문

이렇게 생긴 멀티탭 절대!! 쓰지 마세요! 우리집 불납니다

생각보다 정말 위험한데 이걸 모르고 그냥 사용하는 분들이 계시더라고요. 그렇게 사용하다가 언젠가 진짜 불납니다. 그래서 오늘 영상을 보면서 우리집에도 이렇게 생긴 멀티탭이 있다면 당장 버리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에 유용한 꿀팁도 있으니까 꼭! 활용해보세요. #멀티탭, #멀티탭화재, #꿀팁, #멀티탭꿀팁,
@Matt-xy1po : 이건 뭐야…. 전국 가정, 사무실, 창고 할것 없이 다 불났겠네.
@MookieBetts50 : 전기기사입니다. 집에 있는 멀티탭 선에 생산 날짜있습니다. 5년 넘었거나 글씨가 지워져서 안보이면 오래 된거니 바꾸세요. 조금이라도 그을린 자국이 있으면 바로 바꾸셔야 됩니다.
멀티탭도 소모품입니다.
16a, 250V로 사시고 kc 인증 된 국산제품으로 사세요. 중국산(X) 사실때는 줄자로 재서 길이에 맞는 멀티탭을 사야 되고 너무 길다고 선을 묶어 놓으면 안됩니다. 선이 길다면 안 꼬이게 풀어 놓으세요. 먼지때문에 불이 나기때문에 멀티탭 주변 청소도 자주 해주시구요. 그리고 중요한건 콘센트에 플러그를 확실하게 세게 꽂아 주세요. 절대 헐렁하게 꽂으면 안됩니다.
에어컨, 건조기, 온풍기, 인덕션은 메인콘센트에 꽂아야 되고
구조상 멀티탭 사용해야 될 경우 고용량 멀티탭 사용해야 됩니다.
일반 멀티탭은 TV+냉장고+선풍기 사용가능,
압력밥솥 "보온시"+전자렌지 사용가능, 세탁기+냉장고 사용가능
냉장고+냉장고 사용가능 이정도입니다. 참고하세요.
@user-pn1yu5de7l : 접지는 잉여전력을 보내는 장치가 아닙니다.
누전 등으로 인한 감전방지이고요

비접지 기구가 찌릿한 것은 커패시터에 의한 외함 유도전위 때문이지 누설전력이 아닙니다.

선풍기를 예로 90% 효율이라 함은 내가 활용한 풍동에너지가 90%이고
나머지는 열에너지, 기계적 에너지 등등으로 소비된다는 것이지 10%가 접지로 누설된다는 것은 아닙니다.

내용은 좋으나, 세밀한 기술적인 내용은 전문가의 조언을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만약 2.2kW의 90%효율인 장치에서 10%의 전력 누설이 발생한다면,
220W의 1A 누설인 바, 이정도의 누설이면 거의 누전화재 입니다.

또한 정상적인 기구를사용할 경우에 접지선에는 아무런 전류도 흐르지 않습니다.
(아주 미세한 커패시터 전류는 흐를수있습니다)
@idoit4u : 전기전공자로써, 멀티탭을 버리라는건 어불성설이고, 같은 멀티탭에 높은 소비전력 가전제품과 연결하지 않는게 중요합니다. 구매시 KC인증 제품 확인하고, 낮은 소비전력 가전제품들 연결하면 문제없습니다.
그리고, 높은 소비전력 가전제품(전기온풍기, 온수 기능 있는 정수기 등)은 전용콘센트에 접속해야 합니다.
@llarcfantagy : 버리지말고 그냥쓰셈 정격용량이라는거는 그게 적당하다는거지 그거넘으면 불난다는게아닙니다 저런제품만들때 다 넉넉하게만들어서 조금 오바해도 불안나요 이말대로면 대한민국에서 사방팔방에서 불이나야정상입니다 대부분 이런거안따지고 그냥 막꽂아쓰니까요

와.. 집에 멀티탭 하나라도 쓴다면 바로 돌려보세요 (모르면 그냥 당하는 겁니다)

#멀티탭 #콘센트 #플러그 #전기 #누전 #정격전류 #가전제품 #감전 #생활꿀팁 #꿀팁 #1분미만 #화재예방 #화재
@119 : 과부하 차단기능!! 접지단자!! 정격!! 꼭 확인하고 써주세요!! 먼지가 쌓인 멀티탭은 코드를 빼고 한번씩 청소해주시구요.
@zuzu-ng4nx : 1. “과부하 차단” 표시된 멀티탭 구매 - 리셋버튼 이용
2. 접지 단자 있는 멀티탭 구매 +플러그에도 접지부분 있어야함
3. 정격 16A 이상 구매
4. 스위치 불 깜빡임은 사용해도 무방! 램프 자체가 노후된거임
@_stree2590 : 광고시간도 못 넣을 정도로 시청자들 시간을 아껴주는 방송은 유튜브에서 처음 봅니다. 정말 감동했습니다. 훌륭하십니다.
@user-tx4cs2fy2m : 와 역대급으로 유익한 정보에요!! 안 그래도 멀티탭 바꾸려고 했는데 처음 소개처럼 몇 개 끼울 수 있는지 이런 거나 대충 보고 사려고 했었거든요.. 항상 유익한 정보를 간단하게 요약해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rh6xh9lf6e : 정리
1. 멀티탭 개별스위치는 단순히 대기전력 차단 용일 뿐, 과부하 차단하곤 상관없다. 고로 과부하 차단 멀티탭을 사도록하자
2. 생활 속 누전 방지를 위해 "반드시" 콘센트에 금속접지가 달려 있는걸 사용해 누전을 방지하자
3. 멀티탭을 사는데 제품 뒤에 정격 16A 이상을 사자
ㅡ끗ㅡ

멀티탭에 이렇게 적힌것은 절대 쓰지마세요! 집에 큰 불이 날뻔했습니다..

멀티탭에 이렇게 적힌것은 절대 쓰지마세요! 집에 큰 불이 날뻔했습니다..
@after718 : 이거 국민 필수시청영상임
@Tv-zw7by : 문어발식이라고 해서 무조건 화재가 나는 것은 아니고요..
멀티탭에 사용한 전기제품 합산 용량이 20A를 순간적으로 초과해서
분전반(흔히 말하는 두꺼비집)에 있는 20A 차단기가 떨어지면 다행이지만
(대부분의 멀티탭에 10A 250V, 15A 250V, 16A 250V 이런식으로 써 있는데요.)

16A 멀티탭에 전기용품 합산값이 16A~19A 전류값이 형성되면 차단기가 떨어지지 않고
멀티탭의 용량은 초과하게 되어
몇 초~몇분 안에 콘센트에서 불이 나게 됩니다.
요즘 김치냉장고, 냉장고, 워시타워 건조기 등등 무조건 꽂아서 쓰는 분들이 많은데요.
오래된 아파트 분전반은 대부분 메인차단기(50A)에 전등용 20A, 전열용1 20A, 전열용2 20A, 에어컨 전용 전열 20A =>4가지 차단기가 달려있답니다.
아~쓰기 힘드네요 ㅠㅠ
요즘 지어진 아파트는 분전반 차단기 용량이 충분하고 회로가 분리되어서 문제가 없기는 하지만
오래된 아파트는 김치냉장고 2대는 가능한 사용하지 마시고 만약 사용하려면 전열회로가 다른 콘센트에 꽂아서 사용하세요.
전열회로는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가시면 자기집 도면이 있답니다.
열람하시고요.
전기담당자에게 문의하시고 전기제품 구매시 자기집에 전기제품이 무엇무엇 있는지 용량은 어떻게 되는지 말씀해주시고 제품 구매전 결정해주세요.
특히 워시타워 건조기(세탁, 건조)는 동시에 사용하지 마세요~
세탁하면서 건조까지 같이 하시면 벽콘센트에 불납니다.
빨래랑 건조랑 대부분 1시간 넘게 걸리는데
벽콘센트는 대부분 15A 250V인데 워시타워는 동시에 동작시키면 소비전력 3600W 그러니까 18A의 전류가 흐릅니다.
(3600W/200V=18A) 250V로 안나누고 200V로 계산합니다.
차단기는 20A가 넘어야 떨어지는데 15A를 초과했으니 화재가 날 수 밖에 없답니다.
워시타워 동시에 돌리고 밖에 나갔다 오면 빨래랑 건조랑 다 되어있겠지하면 집에 불납니다.
소비전력이 없어서 제조사에 문의해보니 워시타워 소비전력 합이 3600W라고 해서 글씁니다.
두서없이 써서 죄송^^

아참~전기온풍기, 라디에이터 등등 전열기기 소비전력 3000W라고 써 있는 제품 사용하지마세요~~
전기모르는 분들이 무조건 판매하고 사용하는데 불납니다.
전용회로(차단기에서 제품 직결)를 써야는데 플러그가 달려있죠~~위험합니다.
제가 한두번 본게 아닙니다..100% 불납니다..
그냥 3000W라고 써 있는건 사지마세요..2000W 정도로 구매해서 사용하세요..그것도 용량 큰거 같이 꽂아서 사용하면 화재나지만..
콘센트에 15A라고 써 있는건 거기에 15A*200V=3000W이라는 의미에요..
전열제품 합산해서 3000W를 넘으면 안된다는 야그죠..
@user-oj6fq2ml2k : 이거 진짜 중요한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아파트사는사람들 다들 시청하고 본인과이웃에 피해안가도록 해야할듯!!!
@sky3v163 : 2년마다 바꿔줘야 하는군요.
달그락 소리 왜 나는지 이유도 모르고 그냥 사용했는데 이젠 미련없이 바꿔야겠네요.
안에 금속막대가 무슨 역할을 하는지 몰랐어요.
화재예방을 위해 정말 황금같은 설명이었습니다.
이런 내용은 초,중,고 교육에 반복적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봐요.
각종 재난상황, 응급처치요령, 또 이런 생활안전에 관한 것들을 배우는 과목이 있어야
@user-nq7qk6xj9p : 이런 중요한영상이야말로 공익안내방송이나 교육이 절대필요합니다~ 귀한정보 감사합니다^^

... 

#콘센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327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