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취업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꼬꼬 조회 20회 작성일 2024-09-21 13:54:25 댓글 0

본문

서울에 살았다면 어땠을까…너무나 간절한 취업준비생 / KBS 2022.12.20.

청년의 수도권 집중 현상과 이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찾아보는 KBS 충북의 보도 기획 순서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청년 중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살고 있는데요. 매년 수 만 명의 지방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떠난 결과입니다. 원인은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대부분이 수도권에 집중됐기 때문입니다. 정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취업 준비생 허정진 씨는 수도권 이주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일자리 선택의 기회가 훨씬 더 많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허정진/취업 준비생 : "서울에 있었으면 참 좋았겠다란 생각을 몇 번 한 적 있어요. 진로 결정을 할 때도 그렇고, 내가 뭔가 도움을 구하고 싶다, 그럴 때 좀 (수도권에) 가까이 있었으면 괜찮았을걸..."]

대학생 김진희 씨도 졸업 뒤 수도권에 가려는 청년 중 한 명입니다.

지방에선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렵다는 생각입니다.

[김진희/대학생 : "자격증을 준비하고 자기소개서를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당연히 대기업을 목표로 잡고 있고, 그런 대기업은 수도권이나 경기도권에 집중돼 있어요."]

최근 조사 결과 청년들은 취업 시 임금과 복지를 최우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이를 충족해 줄 자산 5조 원 이상 대기업 87.3%는 본사가 수도권에 있고 매출액 1,000대 기업의 74.3%도 수도권에 분포돼 있는 게 현실입니다.

결국 청년은 수도권에 집중된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지방을 떠나고 기업은 청년이 떠난 지방에 가지 않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겁니다.

[허동숙/공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 "수도권에 스타트업이라든지 청년층이 선호하는 직군, 그리고 기업 본사. 소위 말하는 고급 일자리들이 풍부하기 때문에 지방에서 계속 청년층 이탈이 가속화되는..."]

2020년 수도권으로 '순 이동'한 청년은 10년 전보다 2배 늘어난 9만 3천 여명.

'양질의 일자리' 수도권 쏠림 현상은 국토 면적의 10%에 불과한 수도권에 청년 인구 55%가 거주하는 기형적 구조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VJ 장용석/그래픽:오은지\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723141\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수도권 #서울시 #취업준비생

탈지방러가 말하는 지방 취업의 현실

서울 사는 게 스펙..?

▶ 출연문의 : catch@jinhak.com

#철업썰 #취업 #서울취직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삶의 차이. 그들은 왜 서울을 버렸나|정착을 위해 한 뼘 고시원 속 외로이 살아가는 청년과 미련 없이 서울을 버린 청년들|다큐멘터리K|#골라듄다큐

사람, 인프라, 일자리 모든 것을 빨아들인 서울 역시 화려함에 묻혀 보이지 않는 곳들이 있다. 서울 개발역사 속에는 밀려난 사람들이 있고, 청년들은 높은 주거비에 비해 턱없이 낮은 주거의 질을 견뎌야 한다. 따닥따닥 붙어있는 5평 남짓의 작은 방에서 당장의 생존이 급한 청년에게는 미래를 꿈꿀 여유가 없다.

인구의 절반이 서울로 몰린 우리에게 지방은 더이상 보이지 않는다. 이관후 前 경남연구원 연구위원은 “앞으로 의식적으로 강조하지 않으면 지방은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지역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지역을 인지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여기 자신들만의 방법으로 지역을 사유하는 사람들이 있다. 삼척의 방송국에서 지방 방송국만이 할 수 있는 것들에 집중하고 있는 하현제PD, 통영에서 작은 출판사를 경영하며 지방만이 갖고 있는 특색을 발견한 정은영 대표와 남해에서 '우리가 소멸하는 방법'이라는 잡지를 통해 자신들만의 방법으로 소멸을 이야기하는 5명의 청년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서울 외에 다른 선택지가 있음을 보여준다.

✔ 프로그램명 : 다큐멘터리K – 인구대기획 초저출생 5부 보이지 않는 도시
✔방송 일자 : 2023.10.18.

#다큐멘터리K #인구대기획 #초저출생 #지방소멸 #지방소멸다큐 #저출생 #서울빨대효과 #우리가소멸하는방법

... 

#서울시취업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195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