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비닐수거
페이지 정보
본문
농업용 폐비닐 수거·배출 이렇게 하세요!
농업용 폐비닐! 그냥 방치하면 안되겠죠?
폐비닐에서 흙, 잡초 등 기타 쓰레기를 잘 분리한 다음 꼭 정해진 배출 장소(마을 공동집하장)에 모아주세요.
┗농촌진흥청 SNS기자 류광우
“영농 폐비닐 60%만 수거”… 친환경 처리 대책 시급 / KBS 2022.10.24.
요즘 같은 수확 철 농촌에선 한 해 동안 사용한 많은 영농 폐기물이 발생되지만 제때 수거되지 않고 불법 소각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특히, 불에 태워지면서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폐비닐의 경우는 전체 발생량의 60%만이 수거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보도에 진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농약병과 비료 포대, 일반 생활 쓰레기까지...
한데 뒤섞여 버려진 영농 폐기물을 자원 봉사자들이 일일이 골라냅니다.
농촌 마을 곳곳에 오랫동안 방치되자 보다 못한 주민과 공공기관이 직접 처리에 나섰습니다.
[이상경/농가주부모임 충북도연합회장 : "이게 많은 양을 모아놔야 수거해가는 업체에서 차가 오기 때문에... 동네에서 그냥 쓰레기 태우면서 (같이) 태우시는 분들도 간혹 있으셔요."]
충청권엔 영농 폐기물 자체 처리장이 없어 마을 집하장과 광역 보관소 모두 늘 포화 상탭니다.
[김남용/충북 충주시 엄정면 : "(비닐을) 씌우기도 해야 하고 또 그걸 다시 걷어서 이렇게 갖다 놓기까지 과정이 굉장히 시간도 걸리고 인력이 많이 필요한데."]
영농 폐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폐비닐의 수거율은 60% 수준.
한해 10만 톤가량이 불법 소각되면서 국내 초미세먼지 배출량의 8.2%를 차지할 만큼 대기 오염의 주범으로 꼽힙니다.
그나마도 농약병과 폐비닐을 제외한 다른 폐농자재는 수거조차 안 돼 불법 처리가 끊이질 않습니다.
[김승남/국회 농해수위 국정감사/지난 11일 : "이게 규제 가지고는 안될 거 같아요. 불법으로 소각하면 직불금 감액한다고 했는데 이거 한 건도 실현된 것이 없고..."]
이런 상황에서 올해 들어 적발된 영농 폐기물 불법 소각만 천 5백여 건이나 돼 현실적인 처리 방안이 절실합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촬영기자:최승원/그래픽:최윤우\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584855\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영농 #폐기물 #폐비닐
2019. 4. 22 [원주MBC] 영농 폐비닐 처리 골치..방법은?
[MBC 뉴스데스크 원주]
■ 영농 폐비닐 처리 골치..방법은?
중국이 재활용 쓰레기 수입을 금지시키며
촉발된 이른바 중국발 쓰레기 대란이 시작된 지
1년이 지났습니다.
영농 폐비닐 처리에도 큰 차질을 빚어왔는데,
1년이 지나도록 해결책을 찾지 못하면서
농촌지역 주민들이 골치를 썩고 있습니다.
농업용 폐비닐! 그냥 방치하면 안되겠죠?
폐비닐에서 흙, 잡초 등 기타 쓰레기를 잘 분리한 다음 꼭 정해진 배출 장소(마을 공동집하장)에 모아주세요.
┗농촌진흥청 SNS기자 류광우
“영농 폐비닐 60%만 수거”… 친환경 처리 대책 시급 / KBS 2022.10.24.
요즘 같은 수확 철 농촌에선 한 해 동안 사용한 많은 영농 폐기물이 발생되지만 제때 수거되지 않고 불법 소각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특히, 불에 태워지면서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폐비닐의 경우는 전체 발생량의 60%만이 수거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보도에 진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농약병과 비료 포대, 일반 생활 쓰레기까지...
한데 뒤섞여 버려진 영농 폐기물을 자원 봉사자들이 일일이 골라냅니다.
농촌 마을 곳곳에 오랫동안 방치되자 보다 못한 주민과 공공기관이 직접 처리에 나섰습니다.
[이상경/농가주부모임 충북도연합회장 : "이게 많은 양을 모아놔야 수거해가는 업체에서 차가 오기 때문에... 동네에서 그냥 쓰레기 태우면서 (같이) 태우시는 분들도 간혹 있으셔요."]
충청권엔 영농 폐기물 자체 처리장이 없어 마을 집하장과 광역 보관소 모두 늘 포화 상탭니다.
[김남용/충북 충주시 엄정면 : "(비닐을) 씌우기도 해야 하고 또 그걸 다시 걷어서 이렇게 갖다 놓기까지 과정이 굉장히 시간도 걸리고 인력이 많이 필요한데."]
영농 폐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폐비닐의 수거율은 60% 수준.
한해 10만 톤가량이 불법 소각되면서 국내 초미세먼지 배출량의 8.2%를 차지할 만큼 대기 오염의 주범으로 꼽힙니다.
그나마도 농약병과 폐비닐을 제외한 다른 폐농자재는 수거조차 안 돼 불법 처리가 끊이질 않습니다.
[김승남/국회 농해수위 국정감사/지난 11일 : "이게 규제 가지고는 안될 거 같아요. 불법으로 소각하면 직불금 감액한다고 했는데 이거 한 건도 실현된 것이 없고..."]
이런 상황에서 올해 들어 적발된 영농 폐기물 불법 소각만 천 5백여 건이나 돼 현실적인 처리 방안이 절실합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촬영기자:최승원/그래픽:최윤우\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584855\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영농 #폐기물 #폐비닐
2019. 4. 22 [원주MBC] 영농 폐비닐 처리 골치..방법은?
[MBC 뉴스데스크 원주]
■ 영농 폐비닐 처리 골치..방법은?
중국이 재활용 쓰레기 수입을 금지시키며
촉발된 이른바 중국발 쓰레기 대란이 시작된 지
1년이 지났습니다.
영농 폐비닐 처리에도 큰 차질을 빚어왔는데,
1년이 지나도록 해결책을 찾지 못하면서
농촌지역 주민들이 골치를 썩고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