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운전면허학원가격
페이지 정보
본문
[일부터백]2종 보통 운전면허 따는 법! 가격비교까지 싹 다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시닌입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70만 원 넘는 수강료, 불경기에 면허따기 포기...사설 '불법업체' 찾는 발길도 늘어 / KBS 2024.03.09.
수능을 마친 수험생들, 방학을 맞이한 대학생들이 연말 연초, 면허를 따기 위해 운전학원으로 몰리곤 했는데요,
그런데 요즘 운전학원은 수강생이 줄어 한산하다고 합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17년, 신규 운전면허 취득자는 108만 명 선.
이후로 조금씩 줄더니, 2022년에는 처음 100만 명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때 배달업 종사를 위한 원동기 면허 수요가 있었지만, 그마저 코로나19 종식으로 운전면허 관련 업계는 큰 침체기에 빠졌습니다.
[이민호/전국자동차운전전문학원연합회장 : "(충청권은) 세종하고 천안, 아산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이 인구 감소가 뚜렷하잖아요. 군 단위 지역이 5년 전에 비하면 한 50% 정도의 수강생이 감소했다…. 운전면허가 젊은 층에서 절실하게 요구되거나 그런 건 아니다 보니까 지금 상태는 그냥 억지로 운영하고 있는…."]
고물가 속에 수십만 원에 달하는 운전학원 수강료는 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들에게 큰 부담일 수밖에 없죠.
대전의 한 운전전문학원의 경우 교육비가 최소 70만 원에서 최대 77만 원인데, 학원 등록부터 면허 취득까지 비용을 따져보면 80만 원이 훌쩍 넘습니다.
"운전 연습하러 갔다가 비싸서 그냥 왔다" "기능이나 주행 불합격하면 추가비용도 무시 못 하고 당장 필요하지 않으니 안 따는 것 같다" "차 몰고 다니면 저축하기 힘들어서 버스 타고 다닌다"
이렇게 면허는 나중에 여유 있을 때 따자는 현실적인 선택이 청년층을 중심으로 커지고 있습니다.
운전학원의 비싼 도로연수비 또한 운전학원 수강생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도로연수는 운전면허를 이미 취득했지만 운전능력을 보완하고자 하는 이른바 '장롱면허' 소지자들이 주로 이용하곤 하는데요,
비싼 비용 탓에 다른 곳으로 눈을 돌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사설 도로연수업체의 광고입니다. '고객님이라면 어디를 선택하시겠습니까?' 이런 글과 함께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수강생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도로연수 10시간 기준, 비용은 절반이다, 운전학원은 담합 된 높은 가격, 60대 꼰대 강사를 주의해야 한다, 이렇게 비교 글까지 써놨는데요,
이런 주장, 사실 여부는 따져봐야겠지만, 중요한 건 사설 업체의 도로연수가 모두 불법이라는 점입니다.
그럼에도 연수생들 사이에선 운전학원보다 저렴한 비용, 연수생 자차이용 등을 미끼로 한 불법 도로 연수가 성행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6월에는 무자격 강사 100여 명을 관리하며 불법 연수를 알선해온 일당이 경찰에 덜미를 잡히기도 했는데요,
총책과 알선책까지. 갈수록 음성화, 조직화 추세인 불법 도로 연수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이형규/도로교통공단 대전세종충남지부 교수 : "경찰청에 등록된 정식 학원에서 연수를 받으셔야지, 무허가 운전 연수학원(업체)을 통해서 하는 것은 불법이기 때문에 하시면 안 됩니다. 동승자가 보조장치로 조작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한 것이기 때문에 연수용으로 나온 차량을 이용해서 연수를 받는 게 안전하겠습니다."]
경찰청도 어제부터 5월 31일까지 무등록 불법 도로연수 강사뿐 아니라 모집, 알선책 등 관련자들을 집중 단속하기로 했는데요,
빨라지는 인구감소, 갈수록 팍팍해지는 경제에 더해 운전면허 취득을 꺼리는 청년층의 경향까지.
여기에 불법 도로 연수마저 만연하면서 운전학원의 부침은 더 깊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뉴스더하기'였습니다.\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906027\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수강료 #면허증 #운전학원
[경제뭐니] 껑충 뛰고 천차만별…운전학원 수강료 왜? / KBS 2021.06.16.
운전을 배우고 면허시험도 칠 수 있어 전문학원을 찾는 분들 많으시죠.
부산에도 18곳이 있는데요,
지난해 기준 11만여 명이 학원에서 면허증을 땄습니다.
그렇다면 비용은 얼마나 들까요?
운전전문학원 수강료에는 학과 수업과 장내 기능, 도로주행 등 기본적인 운전 연습에 드는 교육비에다 시험 응시료인 검정료가 포함됩니다.
경찰청에서 공개한 올해 1분기 기준 부산지역 운전전문학원의 수강료입니다.
부가가치세를 빼고도 평균 70만 6천 원 정도입니다.
학원별로는 최대 17만 원 넘게 차이 나는데요,
물론 시험에 떨어져 교육을 추가로 받으면 수강료는 더 들겠죠.
수강료가 얼마나 올랐는지, 또 다른 지역은 얼마인지도 궁금합니다.
부산지역 현황인데요,
2015년 40만 원 수준이던 수강료가 2017년 50만 원대, 이듬해 60만 원대로 뛰더니 6년 사이 30만 원이나 올랐습니다.
올해 1분기 수강료를 보면 서울에 이어 부산이 두 번째로 높은데요,
대구지역 운전전문학원보다 평균 24만 원 정도 더 내야 합니다.
학원은 임대료와 강사 인건비, 차량 유지비 등을 반영해 수강료를 산정한다는 입장인데요,
하지만 수강생 입장에선 수강료를 합리적으로 책정했는지 알 길이 없습니다.
영업 이익률부터 따져 보겠습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서 재무 자료를 공시한 전국의 운전전문학원 10곳을 분석한 결과인데요,
2019년 기준 평균 영업 이익률이 21%로 같은 업종보다 5배 정도 높았습니다.
면허 시험을 칠 때 내야 하는 응시료는 어떨까요?
1, 2종 보통을 기준으로 국가면허시험장은 장내 기능 2만 2천 원, 도로주행의 경우 2만 5천 원입니다.
아무래도 수강생 입장에선 운전 연습을 한 학원에서 바로 시험을 치려고 할 텐데요.
부산지역 전문학원 5곳을 살펴보니 장내 기능은 4만 원대에서 6만 원대까지, 도로주행은 6만 원 안팎으로 국가시험장보다 훨씬 많이 받았습니다.
도로교통법에 따라 시·도 경찰청은 교육 부실을 막기 위해 운전전문학원의 과도한 수강료 인하에 개입할 수 있는데요,
국민권익위원회가 수강생에게 일방적으로 부담을 떠넘기는 일이 없게 수강료 인상에 대한 조정권도 마련하라고 권고한 만큼 제도 개선이 시급해 보입니다.
지금까지 경제뭐니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시닌입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70만 원 넘는 수강료, 불경기에 면허따기 포기...사설 '불법업체' 찾는 발길도 늘어 / KBS 2024.03.09.
수능을 마친 수험생들, 방학을 맞이한 대학생들이 연말 연초, 면허를 따기 위해 운전학원으로 몰리곤 했는데요,
그런데 요즘 운전학원은 수강생이 줄어 한산하다고 합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17년, 신규 운전면허 취득자는 108만 명 선.
이후로 조금씩 줄더니, 2022년에는 처음 100만 명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때 배달업 종사를 위한 원동기 면허 수요가 있었지만, 그마저 코로나19 종식으로 운전면허 관련 업계는 큰 침체기에 빠졌습니다.
[이민호/전국자동차운전전문학원연합회장 : "(충청권은) 세종하고 천안, 아산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이 인구 감소가 뚜렷하잖아요. 군 단위 지역이 5년 전에 비하면 한 50% 정도의 수강생이 감소했다…. 운전면허가 젊은 층에서 절실하게 요구되거나 그런 건 아니다 보니까 지금 상태는 그냥 억지로 운영하고 있는…."]
고물가 속에 수십만 원에 달하는 운전학원 수강료는 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들에게 큰 부담일 수밖에 없죠.
대전의 한 운전전문학원의 경우 교육비가 최소 70만 원에서 최대 77만 원인데, 학원 등록부터 면허 취득까지 비용을 따져보면 80만 원이 훌쩍 넘습니다.
"운전 연습하러 갔다가 비싸서 그냥 왔다" "기능이나 주행 불합격하면 추가비용도 무시 못 하고 당장 필요하지 않으니 안 따는 것 같다" "차 몰고 다니면 저축하기 힘들어서 버스 타고 다닌다"
이렇게 면허는 나중에 여유 있을 때 따자는 현실적인 선택이 청년층을 중심으로 커지고 있습니다.
운전학원의 비싼 도로연수비 또한 운전학원 수강생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도로연수는 운전면허를 이미 취득했지만 운전능력을 보완하고자 하는 이른바 '장롱면허' 소지자들이 주로 이용하곤 하는데요,
비싼 비용 탓에 다른 곳으로 눈을 돌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사설 도로연수업체의 광고입니다. '고객님이라면 어디를 선택하시겠습니까?' 이런 글과 함께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수강생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도로연수 10시간 기준, 비용은 절반이다, 운전학원은 담합 된 높은 가격, 60대 꼰대 강사를 주의해야 한다, 이렇게 비교 글까지 써놨는데요,
이런 주장, 사실 여부는 따져봐야겠지만, 중요한 건 사설 업체의 도로연수가 모두 불법이라는 점입니다.
그럼에도 연수생들 사이에선 운전학원보다 저렴한 비용, 연수생 자차이용 등을 미끼로 한 불법 도로 연수가 성행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6월에는 무자격 강사 100여 명을 관리하며 불법 연수를 알선해온 일당이 경찰에 덜미를 잡히기도 했는데요,
총책과 알선책까지. 갈수록 음성화, 조직화 추세인 불법 도로 연수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이형규/도로교통공단 대전세종충남지부 교수 : "경찰청에 등록된 정식 학원에서 연수를 받으셔야지, 무허가 운전 연수학원(업체)을 통해서 하는 것은 불법이기 때문에 하시면 안 됩니다. 동승자가 보조장치로 조작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한 것이기 때문에 연수용으로 나온 차량을 이용해서 연수를 받는 게 안전하겠습니다."]
경찰청도 어제부터 5월 31일까지 무등록 불법 도로연수 강사뿐 아니라 모집, 알선책 등 관련자들을 집중 단속하기로 했는데요,
빨라지는 인구감소, 갈수록 팍팍해지는 경제에 더해 운전면허 취득을 꺼리는 청년층의 경향까지.
여기에 불법 도로 연수마저 만연하면서 운전학원의 부침은 더 깊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뉴스더하기'였습니다.\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906027\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수강료 #면허증 #운전학원
[경제뭐니] 껑충 뛰고 천차만별…운전학원 수강료 왜? / KBS 2021.06.16.
운전을 배우고 면허시험도 칠 수 있어 전문학원을 찾는 분들 많으시죠.
부산에도 18곳이 있는데요,
지난해 기준 11만여 명이 학원에서 면허증을 땄습니다.
그렇다면 비용은 얼마나 들까요?
운전전문학원 수강료에는 학과 수업과 장내 기능, 도로주행 등 기본적인 운전 연습에 드는 교육비에다 시험 응시료인 검정료가 포함됩니다.
경찰청에서 공개한 올해 1분기 기준 부산지역 운전전문학원의 수강료입니다.
부가가치세를 빼고도 평균 70만 6천 원 정도입니다.
학원별로는 최대 17만 원 넘게 차이 나는데요,
물론 시험에 떨어져 교육을 추가로 받으면 수강료는 더 들겠죠.
수강료가 얼마나 올랐는지, 또 다른 지역은 얼마인지도 궁금합니다.
부산지역 현황인데요,
2015년 40만 원 수준이던 수강료가 2017년 50만 원대, 이듬해 60만 원대로 뛰더니 6년 사이 30만 원이나 올랐습니다.
올해 1분기 수강료를 보면 서울에 이어 부산이 두 번째로 높은데요,
대구지역 운전전문학원보다 평균 24만 원 정도 더 내야 합니다.
학원은 임대료와 강사 인건비, 차량 유지비 등을 반영해 수강료를 산정한다는 입장인데요,
하지만 수강생 입장에선 수강료를 합리적으로 책정했는지 알 길이 없습니다.
영업 이익률부터 따져 보겠습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서 재무 자료를 공시한 전국의 운전전문학원 10곳을 분석한 결과인데요,
2019년 기준 평균 영업 이익률이 21%로 같은 업종보다 5배 정도 높았습니다.
면허 시험을 칠 때 내야 하는 응시료는 어떨까요?
1, 2종 보통을 기준으로 국가면허시험장은 장내 기능 2만 2천 원, 도로주행의 경우 2만 5천 원입니다.
아무래도 수강생 입장에선 운전 연습을 한 학원에서 바로 시험을 치려고 할 텐데요.
부산지역 전문학원 5곳을 살펴보니 장내 기능은 4만 원대에서 6만 원대까지, 도로주행은 6만 원 안팎으로 국가시험장보다 훨씬 많이 받았습니다.
도로교통법에 따라 시·도 경찰청은 교육 부실을 막기 위해 운전전문학원의 과도한 수강료 인하에 개입할 수 있는데요,
국민권익위원회가 수강생에게 일방적으로 부담을 떠넘기는 일이 없게 수강료 인상에 대한 조정권도 마련하라고 권고한 만큼 제도 개선이 시급해 보입니다.
지금까지 경제뭐니였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