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불자
페이지 정보
본문
2021 통도사 사시불공 (전체풀버전/ 자막있음)
영축총림 통도사의 2021사시불공 영상입니다. 사시불공이란 사시(오전 9시 ~ 11시)에 부처님과 불보살 께 마지공양을 올리는 예불의식을 말합니다. 영축총림 통도사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불보사찰로 매일 아침 11시 사시불공을 올립니다.
사찰에서 사시 즉 오전 아홉 시에서 열한 시 사이에 올리는 예불과 기도를 말합니다. 사시마지(巳時摩旨), 또는 사시예불(巳時禮佛)이라고도 합니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수행처에서 마을로 나가 일곱 집을 돌며 탁발을 하고 다시 수행처로 돌아와서 탁발받아 온 음식을 먹은 시간이 사시(巳時)였다는 전승에 따라, 매일 이 시간에 천수경을 비롯한 여러 가지 게송을 읊은 다음 예불을 올리고 밥을 지어 공양을 올리는 의식을 갖습니다.
이때 불단에 올리는 밥을 '마지'라고 부르는데, 한자로는 摩指, 摩旨, 磨旨 등 여러 가지 표기가 쓰입니다. 정확한 어원은 알 수 없으나 '마지'란 표현은 순우리말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합니다. 순우리말을 한자로 음사하다 보니 여러 가지 표기가 병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사시불공은 새벽 예불이나 저녁 예불에 비해 절차가 다소 길고 복잡한데요. 대체로 보례진언 - 천수경 - 사대진언 - 삼보통청 - 사대진언 순으로 진행하지만 각 사찰마다 주관하는 스님에 따라 순서가 달라지거나 생략되기도 합니다.
#통도사 #사시불공 #통도사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3k5nt10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BTN 붓다회 가입
https://btn.co.kr/youtube/cms.html (링크 누르고 가입 신청)
1855-0108 (정기후원)
불자여러분의 정기후원이 부처님법을 널리 홍포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불자라면 증명하세요ㅣ내가 지은 공덕과 선업ㅣ광우스님의 소나무 2편 모아보기
다시 돌아온 광우스님의 소나무 시즌 함께 모아보기
00:01 내가 지은 공덕과 선업
40:01 중생을 보호하는 관세음보살님
이제 광우스님의 소나무를 매일 저녁 9시에 만나세요~!
여러분들의 성원에 힘입어 광우스님의 소나무 전편을 매일매일 평일 저녁에 정규방송합니다.
정규방송 후에는 언제든지 BTN조이 채널에 들어와서 다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광우스님의 소나무와 함께 하셔서, 복과 선업과 공덕이 이끄는 진정한 행복의 길로 들어서세요^ㅇ^
#광우스님 #소나무 #경전 #기도 #법문 #불교 #스님말씀 #가피 #보살 #공양 #복덕 #마음챙김 #전생 #인연 #염불 #불교TV
● BTN조이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30y8cAE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 BTN조이 정기후원하기
https://bit.ly/3Hx4loa (링크 누르고 가입 신청)
● BTN조이는 여러분의 후원수익으로 운영됩니다.
새로운 불교! 즐거운 불교! 가 되도록 적극적인 보시 부탁드립니다.
(후원계좌 국민은행 782737 - 04 - 002577 예금주: 불교텔레비전)
BTN조이의 인스타그램
https://bit.ly/3ciEbqT
BTN조이의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btnjoy365/
↓ 후원 문의 및 광고제안 방법
tnsdus@btn.co.kr
↓ 쇼핑도 하고 후원도 하고
https://coupa.ng/caBJBT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BTN조이(불교조이) 참 좋은 인연
도반에게 공유해주시면 공덕지수 up!!
https://www.miricanvas.com/v/1qj6jz
수행을 통하여 얻어지는 초인간적인 능력 '신통'에 대한 비밀 [전현수박사가 풀어주는 초기불교 34회]
신통에 대해 알아봅니다
신통이란 불교의 수행을 통하여 얻어지는 무애자재(無碍自在)하고 초인간적인 능력입니다.
신통은 인간이 노력하면 얻을 수 있는 인간의 한계를 넘어선 탁월한 능력이다 지혜입니다.
불교의 신통에 대한 분류로는 삼명(三明)·삼달(三達)·삼종시도(三種示導)·삼통력(三通力)·오종통(五種通)·육신통(六神通)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우리 나라에서 가장 널리 채택되고 있는 것은 삼명과 육신통이다. 삼명은 숙명명(宿命明)·천안명(天眼明)·누진명(漏盡明)이며, 이것은 곧 육신통의 여섯 가지 중의 세 가지이기도 하다.
육신통의 첫째는 신족통(神足通)으로서, 생각하는 곳이면 어디로든지 날아서 갈 수 있는 능도(能到)와 마음대로 형상을 바꾸는 전변(轉變), 외계의 대상을 자유자재로 하는 성여의(聖如意)의 셋으로 세분된다. 이 가운데 성여의는 부처만이 갖추고 있다. 둘째, 천안통(天眼通)은 세상의 모든 것을 멀고 가까움에 관계없이 모두 볼 수 있는 능력이다. 셋째, 천이통(天耳通)은 보통사람이 들을 수 없는 세간의 모든 소리를 남김없이 듣는 능력이다.
넷째, 타심통(他心通)은 다른 사람이 마음속에 생각하고 있는 선악을 모두 아는 능력이다. 다섯째, 숙명통(宿命通)은 자신과 다른 사람의 과거와 그 생존의 상태를 모두 아는 능력이다. 여섯째, 누진통(漏盡通)은 번뇌를 모두 끊어서 다시는 미혹의 세계에 태어나지 않게 된 상태를 말한다.
#전현수 #신통 #전현수초기불교
●BTN 유튜브를 후원해주세요.
https://btn.co.kr/youtube/cms.html (링크 누르고 가입 신청)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3k5nt10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영축총림 통도사의 2021사시불공 영상입니다. 사시불공이란 사시(오전 9시 ~ 11시)에 부처님과 불보살 께 마지공양을 올리는 예불의식을 말합니다. 영축총림 통도사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불보사찰로 매일 아침 11시 사시불공을 올립니다.
사찰에서 사시 즉 오전 아홉 시에서 열한 시 사이에 올리는 예불과 기도를 말합니다. 사시마지(巳時摩旨), 또는 사시예불(巳時禮佛)이라고도 합니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수행처에서 마을로 나가 일곱 집을 돌며 탁발을 하고 다시 수행처로 돌아와서 탁발받아 온 음식을 먹은 시간이 사시(巳時)였다는 전승에 따라, 매일 이 시간에 천수경을 비롯한 여러 가지 게송을 읊은 다음 예불을 올리고 밥을 지어 공양을 올리는 의식을 갖습니다.
이때 불단에 올리는 밥을 '마지'라고 부르는데, 한자로는 摩指, 摩旨, 磨旨 등 여러 가지 표기가 쓰입니다. 정확한 어원은 알 수 없으나 '마지'란 표현은 순우리말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합니다. 순우리말을 한자로 음사하다 보니 여러 가지 표기가 병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사시불공은 새벽 예불이나 저녁 예불에 비해 절차가 다소 길고 복잡한데요. 대체로 보례진언 - 천수경 - 사대진언 - 삼보통청 - 사대진언 순으로 진행하지만 각 사찰마다 주관하는 스님에 따라 순서가 달라지거나 생략되기도 합니다.
#통도사 #사시불공 #통도사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3k5nt10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BTN 붓다회 가입
https://btn.co.kr/youtube/cms.html (링크 누르고 가입 신청)
1855-0108 (정기후원)
불자여러분의 정기후원이 부처님법을 널리 홍포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불자라면 증명하세요ㅣ내가 지은 공덕과 선업ㅣ광우스님의 소나무 2편 모아보기
다시 돌아온 광우스님의 소나무 시즌 함께 모아보기
00:01 내가 지은 공덕과 선업
40:01 중생을 보호하는 관세음보살님
이제 광우스님의 소나무를 매일 저녁 9시에 만나세요~!
여러분들의 성원에 힘입어 광우스님의 소나무 전편을 매일매일 평일 저녁에 정규방송합니다.
정규방송 후에는 언제든지 BTN조이 채널에 들어와서 다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광우스님의 소나무와 함께 하셔서, 복과 선업과 공덕이 이끄는 진정한 행복의 길로 들어서세요^ㅇ^
#광우스님 #소나무 #경전 #기도 #법문 #불교 #스님말씀 #가피 #보살 #공양 #복덕 #마음챙김 #전생 #인연 #염불 #불교TV
● BTN조이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30y8cAE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 BTN조이 정기후원하기
https://bit.ly/3Hx4loa (링크 누르고 가입 신청)
● BTN조이는 여러분의 후원수익으로 운영됩니다.
새로운 불교! 즐거운 불교! 가 되도록 적극적인 보시 부탁드립니다.
(후원계좌 국민은행 782737 - 04 - 002577 예금주: 불교텔레비전)
BTN조이의 인스타그램
https://bit.ly/3ciEbqT
BTN조이의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btnjoy365/
↓ 후원 문의 및 광고제안 방법
tnsdus@btn.co.kr
↓ 쇼핑도 하고 후원도 하고
https://coupa.ng/caBJBT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BTN조이(불교조이) 참 좋은 인연
도반에게 공유해주시면 공덕지수 up!!
https://www.miricanvas.com/v/1qj6jz
수행을 통하여 얻어지는 초인간적인 능력 '신통'에 대한 비밀 [전현수박사가 풀어주는 초기불교 34회]
신통에 대해 알아봅니다
신통이란 불교의 수행을 통하여 얻어지는 무애자재(無碍自在)하고 초인간적인 능력입니다.
신통은 인간이 노력하면 얻을 수 있는 인간의 한계를 넘어선 탁월한 능력이다 지혜입니다.
불교의 신통에 대한 분류로는 삼명(三明)·삼달(三達)·삼종시도(三種示導)·삼통력(三通力)·오종통(五種通)·육신통(六神通)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우리 나라에서 가장 널리 채택되고 있는 것은 삼명과 육신통이다. 삼명은 숙명명(宿命明)·천안명(天眼明)·누진명(漏盡明)이며, 이것은 곧 육신통의 여섯 가지 중의 세 가지이기도 하다.
육신통의 첫째는 신족통(神足通)으로서, 생각하는 곳이면 어디로든지 날아서 갈 수 있는 능도(能到)와 마음대로 형상을 바꾸는 전변(轉變), 외계의 대상을 자유자재로 하는 성여의(聖如意)의 셋으로 세분된다. 이 가운데 성여의는 부처만이 갖추고 있다. 둘째, 천안통(天眼通)은 세상의 모든 것을 멀고 가까움에 관계없이 모두 볼 수 있는 능력이다. 셋째, 천이통(天耳通)은 보통사람이 들을 수 없는 세간의 모든 소리를 남김없이 듣는 능력이다.
넷째, 타심통(他心通)은 다른 사람이 마음속에 생각하고 있는 선악을 모두 아는 능력이다. 다섯째, 숙명통(宿命通)은 자신과 다른 사람의 과거와 그 생존의 상태를 모두 아는 능력이다. 여섯째, 누진통(漏盡通)은 번뇌를 모두 끊어서 다시는 미혹의 세계에 태어나지 않게 된 상태를 말한다.
#전현수 #신통 #전현수초기불교
●BTN 유튜브를 후원해주세요.
https://btn.co.kr/youtube/cms.html (링크 누르고 가입 신청)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3k5nt10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