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만에읽는몸의구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병아리 조회 27회 작성일 2020-08-01 00:09:05 댓글 0

본문

소화계, 소화의 과정, (암기법)


lumi vely : 1학기 첫 시험은 전체적으로 다 망했어요 ㅠㅠ 2학기 중간은 최선을 다해보려고 지금부터 미리 하려구요! 잘 보고 갑니다 ! 완전 이해 잘돼요
펭수의 불시착 : 다음주 시험인데,, 선생님께서 소화에서 시험문제 어려운거 낸다!!! 라고 하셔서 빡시게 공부중인데.. 어떤 부분이 나올까요? ㅠㅠ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덕분에 전기와자기도 이해하고 원자도 이해하고.. 태양계도 이해하고 ㅋㅋ 다 이해했네요 ㅋㅋㅋ
샌즈엔더맨크리퍼TV : 감사합니다 솬쌤
녹말을 탄수화물이라고 봐도 되는거죠?
달보드레 : 쉽게 외울 수 있는 재미난 방법들 너무너무 좋아요 ❤️❤️❤️ 짱짱
윤서진 : 녹말을 입에서 분해했는데 소장에서 분해하는건 무엇을하는건가요?엿당을 분해하나요?
GS덕성시대 : 저 궁금한거있는데 탄수화물,단백질은
소화효소가 2개인데 지방은 왜 한개인가요?
__ : 와...나란 사람 쩐다...다이어트 영상에서 씹기의 중요성 영상에서 여기까지 왔네...ㅋㅋㅋㅋㅋㅋ
나야나 : 고등학교시절 과학9등급에 문과교차지원으로 간호대입학한 학생입니다! 교수님들 수업 따라가느라 힘들었는데 선생님 강의는 이해도 잘되고 힐링되네요ㅎ 잘 들었어요!
조이서 : 내일 시험이라 보는 사람 !
해성지 : 쌤 12분이라는 시간 안 아깝습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해요

뇌 [내 몸 둘러보기]

우리 몸의 모든 신체 활동을 관장하는 콘트롤타워는
바로 ‘뇌’ 입니다.

흔히 뇌가 몸에서 얼만큼을 차지하느냐에 따라
지능지수가 결정된다고 하는데요.

뇌 무게가 5-8kg 정도인 고래는
몸집에 비해 뇌가 차지하는 비율이 1 : 2,000정도이고
지능지수 높기로 유명한 침팬지, 오랑우탄 등도
그 비율이 1: 100정도라고 합니다.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의 뇌 무게는
약 1.5kg로 그 비율이 1 : 50 정도라고 하는데요.

하는 일이 많아서인지 뇌의 무게는 1.5kg에 불과하지만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량의 20%를 공급 받습니다.


우리 몸의 중추신경계에 속하는 뇌는
아래로는 척수와 연결되어 있으며
신체 각 부분을 통솔하는 기관입니다.

뇌를 구성하는 약 천억 개의 신경세포, 즉 뉴런들은
끊임없이 정보를 교환하며 근육과 심장, 소화기관 같은
모든 기관의 기능을 조절할 뿐 아니라,
생각하고 기억하고 상상하는 등의
복잡한 정신 활동을 관장합니다.

단단한 두개골과 여러겹의 뇌막에 싸여있는 뇌는
뇌막 안에 있는 뇌척수액이라고 하는 액체에
둥둥 떠 있는 형상입니다.



약 1.5kg 정도인 뇌 속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 기능과 형태에 따라
대뇌, 소뇌, 뇌줄기(뇌간)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요.

이중에서 뇌줄기를 좀 더 세분화하면
중간뇌, 다리뇌(교뇌), 숨뇌(연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인간의 뇌 중에서 4분의 3을 차지하는 가장 큰 부분인 대뇌는
좌우 2개의 반구로 구성돼 있는데,
감각, 지각, 운동, 기술, 상상력, 추리력,
언어능력, 통찰력뿐만 아니라
자율신경계 조절, 호르몬 조절, 항상성 유지 등을 담당합니다.

대뇌의 아래쪽, 뒤편에 위치한 소뇌는
말 그대로 150g 정도의 작은 뇌로서,
전체 뇌의 10%를 차지하며
표면에 있는 자잘한 주름이 특징입니다.

평형기관에서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몸의 균형을 유지하며, 대뇌겉질이 내린 운동 지시가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우리 몸의 근육을 선택하여
어느 정도 움직이게 할 것인지를 판단합니다.

운동선수들이 보통 사람들보다
빠르고 정교하게 움직일 수 있는 건
체력 단련을 하는 동안 소뇌가 함께 발달한 덕분입니다.

뇌간, 간뇌라 불리는 뇌줄기는
대뇌와 척수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호흡과 소화, 혈액 순환 등 무의식적인 생명 유지 기능을
담당하여 '생명의 뇌'라 불리기도 합니다.

뇌의 한가운데에서
수많은 신경섬유로 구성돼 있는 뇌줄기는
중간뇌와 다리뇌(교뇌), 숨뇌(연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뇌의 정중앙에 위치한 중간뇌는
몸의 균형을 유지하고 안구운동, 홍채조절과 같은
시각반사와 청각반사에 관여합니다.

그 아래쪽의 다리뇌는
소뇌와 대뇌 사이의 정보전달을 도와주고
얼굴과 눈을 움직임을 관장합니다.

연수라고도 하는 숨뇌는 호흡과 순환을 조절하며
침 분비, 하품, 재채기와 같은 무의식적인 활동을 일으켜
몸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합니다.


뇌사는 뇌줄기가 회복하지 못할 정도로 손상된 상태이고, 식물인간은 뇌줄기가 제 역할을 하고 있어
인공호흡기 없이도 자발적인 호흡이 가능한 상태를 말합니다.

뇌는 하는 일이 워낙 다양해서
뇌 손상으로 발생하는 질환 역시 매우 많은데요.

뇌혈관 손상, 알코올 과다 섭취, 흡연, 과도한 스트레스는
심각한 뇌손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한번 파괴된 뇌 세포는 복구가 불가능한데요.

뇌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생활 습관을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건강한 식습관, 적절한 운동, 긍정적인 마음자세,
이 3가지는 꼭 지키시고!

과도한 음주, 흡연, 과격한 스포츠 등의 위험한 행동,
이 3가지는 삼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SoHyun Hwang : #뇌를다쳐바보된사람들
련화 : 뭐지 m.naver.com
Dolgo Dolgo : 좋은 콘텐츠 응원 합니다
구독 과 좋아요 기본 설정 완료
이정민 : tsu에서왔슴다
lan lu Lan : 흥미롭군
신원석 : 모르고 하는 말 입니다.
경락을 모르기 때문이지요.
민태준 : 혹시 섬망 증세에 대하여도 알려주실 수 있나요
kim jihan : 생명의 뇌
kim jihan : 간뇌
kim jihan : 소뇌

[초등 과학 6-2] 4.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 3차시 우리가 먹은 음식물은 어떻게 될까요? : 소화기관

4.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 3차시 우리가 먹은 음식물은 어떻게 될까요?
[성취기준] 소화, 순환, 호흡, 배설 기관의 종류, 위치, 생김새,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우리 몸속에 들어간 음식물은 어떻게 될까요?
우리가 생활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얻는 과정을
영상을 통해 확인하세요~!
#소화기관 #소화과정 #음식물

수업의 클래스를 높이는 채널, 클래스로그
클래스로그 구독하기: https://www.youtube.com/channel/UCpmsbv_SZcLFoRE4OyP8qZg?sub_confirmation=1
원본 다시보기: http://primary.ebs.co.kr/CPG/course/view?courseId=10022877

아이콘 저작권
1.University free icon \u0026 Building, Good Ware
https://www.flaticon.com/packs/building-13
2.Man free icon \u0026 Prehistoric, Freepik
https://www.flaticon.com/packs/prehistoric-4
3.Helmet free icon \u0026 Construction, Good Ware
https://www.flaticon.com/free-icon/helmet_1084834#term=safety\u0026page=6\u0026position=14
4.Flask free icon \u0026 Blood Donation, Freepik
https://www.flaticon.com/packs/blood-donation-17
즐거울소시망 : 간은 중 요한일을 하는 군요
베이글 : 뭔가 무서워요..
고윤지 : 조회수는 되게 많은데 댓은 별로 없어가지고 제가 댓 대신 달아주고 갈게요~ 요즘 사람들은 댓을 잘 안다나요? 보니까 비교가 확실히 되네요..조회수가 많이 나온만큼 댓도 많이 달려야 되는거 아닌가요? 근데 조회수에 비해 댓은 좀 썰렁해서 어떤천사가 와서 일부로 댓 달고 갑니다~^^ 댓창 보는 사람도 썰렁하게 만들어주네요~ 좋은 영상 많이 찍어주시고 건강하시고 올해 새 해 복 많이 받으시고 코로나19 조심하세요~!
김경일 : 온라인 학습 손
쉼표가 더 강하다구 : 조회수는 4천인데...왜.....
신우SW : 아무도 댓을 안달아서 제가 달고 갑니다

... 

#3일만에읽는몸의구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1197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