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종교
페이지 정보
본문
[인문학 강좌] 387주차 철학과 종교의 차이
통청아카데미 인문학 강좌는 매주 수요일 오후 7시~9시에
대구시립수성도서관 제1강좌실에서 진행됩니다.
인문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참석가능합니다.
문의
대구시립수성도서관 독서문화과
053-740-5532~3
통청아카데미 카페에서 강의자료를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http://cafe.daum.net/tongchungdg
[신신마당] 철학의 신과 기독교의 신은 다른가요? (박영식 교수)
기독미디어 로고스TV는 하나님의 말씀을 더 깊고, 풍성하게 이해할 수 있는 영상자료를 제작 및 배포하는 사역을 하고 있습니다.
기독미디어 로고스TV 팟캐스트: "신신愛"
팟빵: http://www.podbbang.com/ch/16946
팟티: https://www.podty.me/cast/183359
기독미디어 로고스TV 페이스북: https://bit.ly/2K7fFw6
후원안내: https://go.missionfund.org/logostv
개인후원: 1005-003-812520 우리은행 (기독미디어 로고스)
-박영식-
서울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질문: 철학의 신과 기독교의 신은 다른가요?“
철학자들이 찾고 있는 신과, 성경에 적혀있는 하나님은 같을까요? 그들은 같은 하나님을 찾고 있는 것일까요?
"신신마당"은 이 질문을 가지고 서울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이신 박영식교수님을 찾아 뵙고, 여쭈어 보았습니다.
20 20 : 질문이 잘못됐습니다.
철학자의 하나님(X)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하나님(O)
하나님을 부동의 원동자로 정의하는 철학자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한 서구의 철학자들이죠. 비서구의 철학자들은 하나님(혹은 신적인 그 무엇)은 끊임없이 변하는 가운데 변하지 않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정의합니다(가령 유교ㆍ노장사상의 '도', 불교의 '제행무상'). 같은 서구 철학자라도 헤라클레이토스의 신관은 유ㆍ불ㆍ도의 신관과 같았죠(만물은 유전한다).
또 하나 지적할 것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나아가 서구의 철학자들이 철학자를 대표한다는 관념은 독단이라는 겁니다. 이는 전형적인 서구중심주의 사고이며 특히 기독교인들이 이러한 사고에 쩔어 있더군요. 과연 불변해야만 신인가, 아니면 신이기 때문에 끊임없이 변화해야 하는가, 근본적인 물음을 뭍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전통사상인 '유불도'에서는 신적인 것은 변하는 것이고 변하지 않는 건 죽음이라고 하거든요.
이제는 기독교 신학자들은 사고의 전환을 시도해 볼 시점입니다.
[책] 베다와 우파니샤드 철학과 종교 힌두교 사상과 정통철학 | 인도 철학 산책 낭독 | 자막제공| 힌두교 힌두철학 6파철학 사상가
안녕하세요. 효현의 수행 TV입니다.
이번에는 인도 철학 산책이라는 책을 여러분들께 소개합니다.
책 인도 철학 산책 소개.
비폭력과 평화의 실천으로 인도 독립을 이끈 간디의 정신적 배경인 힌두교,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 역사 문화의 거대한 뿌리인 불교, 일상의 삶을 구도적 삶으로 전환시킨 요가, 서구인들의 정신문화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킨 크리슈나무르티, 오쇼 라즈니쉬, 달라이라마 등 이들의 정신세계와 철학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인도철학의 역사를 통해 서양철학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세계 정신문화의 흐름을 파악하고 있다.
저자는 인도철학을 대할 때 '다양하게 전개되는 인간의 정신체계를 살펴보면 인간의 사고방식 중 인도철학에서 논의되는 정신체계와 다른 것이 과연 얼마나 존재할까, 하는 의문이 들 정도'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렇게 다양한 정신세계를 탄생시킨 인도는 어떤 곳이며, 그곳에서 발생한 인도철학은 무엇인가에 대해 사회환경을 바탕으로 탐구한다. 그는 다양한 철학사상의 생성과 소멸, 서로간의 논쟁과 융합, 영향을 주고받는 역사를 인도철학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간단하고 쉽게 설명하고 있다.
저자 이태성 소개.
동국대학교 문학 석사, 일본 고마자와(駒澤) 대학 불교학 박사
현재 위덕대학교 불교문화학부 교수
주요논문:「즈냐나가르바의 이제설」, 「중관장엄론의 형상설에 대하여」,
「무아에 관한 중관파의 해석」, 「구법승이 본 인도불교의 소승부파와 대승」외
역 서: 『불교혼성범어 입문』
저 서: 『실담자기와 망월사본 진언집 연구』(공저), 『을유불교산책』
오늘은 저와 함께 인도 철학 산책이라는 책을 통해
인도 정통 철학인 베다와 우파니샤드 철학과 종교를 중점적으로 알아보았습니다.
향후에도 바가바드 기타, 6파 철학
인도 비정통철학인 불교, 자이나교의 철학과 종교 및 이슬람교 등
인도에서 전개되는 다양한 사상과 철학과 종교를 저와 함께 공부해보십시오.
그리고 이러한 인도 철학 공부를 통해
삶의 진리와 해탈의 열쇠를 얻어보시길 바랍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수행에 관련된 책들을 낭독하고 있는 수행TV 채널을 지금 구독해보세요.❤
#인도철학 #힌두교 #불교
감사합니다.
수행TV 효현합장.
steve Lee : 좋은 내용 감사!
내용은 어렵네요~
김태길 : 베다는 bc3370년에
브라만교로 시작.
bc1500년부터는
유럽인들이 만들은
역사년표다
통청아카데미 인문학 강좌는 매주 수요일 오후 7시~9시에
대구시립수성도서관 제1강좌실에서 진행됩니다.
인문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참석가능합니다.
문의
대구시립수성도서관 독서문화과
053-740-5532~3
통청아카데미 카페에서 강의자료를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http://cafe.daum.net/tongchungdg
[신신마당] 철학의 신과 기독교의 신은 다른가요? (박영식 교수)
기독미디어 로고스TV는 하나님의 말씀을 더 깊고, 풍성하게 이해할 수 있는 영상자료를 제작 및 배포하는 사역을 하고 있습니다.
기독미디어 로고스TV 팟캐스트: "신신愛"
팟빵: http://www.podbbang.com/ch/16946
팟티: https://www.podty.me/cast/183359
기독미디어 로고스TV 페이스북: https://bit.ly/2K7fFw6
후원안내: https://go.missionfund.org/logostv
개인후원: 1005-003-812520 우리은행 (기독미디어 로고스)
-박영식-
서울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질문: 철학의 신과 기독교의 신은 다른가요?“
철학자들이 찾고 있는 신과, 성경에 적혀있는 하나님은 같을까요? 그들은 같은 하나님을 찾고 있는 것일까요?
"신신마당"은 이 질문을 가지고 서울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이신 박영식교수님을 찾아 뵙고, 여쭈어 보았습니다.
20 20 : 질문이 잘못됐습니다.
철학자의 하나님(X)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하나님(O)
하나님을 부동의 원동자로 정의하는 철학자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한 서구의 철학자들이죠. 비서구의 철학자들은 하나님(혹은 신적인 그 무엇)은 끊임없이 변하는 가운데 변하지 않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정의합니다(가령 유교ㆍ노장사상의 '도', 불교의 '제행무상'). 같은 서구 철학자라도 헤라클레이토스의 신관은 유ㆍ불ㆍ도의 신관과 같았죠(만물은 유전한다).
또 하나 지적할 것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나아가 서구의 철학자들이 철학자를 대표한다는 관념은 독단이라는 겁니다. 이는 전형적인 서구중심주의 사고이며 특히 기독교인들이 이러한 사고에 쩔어 있더군요. 과연 불변해야만 신인가, 아니면 신이기 때문에 끊임없이 변화해야 하는가, 근본적인 물음을 뭍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전통사상인 '유불도'에서는 신적인 것은 변하는 것이고 변하지 않는 건 죽음이라고 하거든요.
이제는 기독교 신학자들은 사고의 전환을 시도해 볼 시점입니다.
[책] 베다와 우파니샤드 철학과 종교 힌두교 사상과 정통철학 | 인도 철학 산책 낭독 | 자막제공| 힌두교 힌두철학 6파철학 사상가
안녕하세요. 효현의 수행 TV입니다.
이번에는 인도 철학 산책이라는 책을 여러분들께 소개합니다.
책 인도 철학 산책 소개.
비폭력과 평화의 실천으로 인도 독립을 이끈 간디의 정신적 배경인 힌두교,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 역사 문화의 거대한 뿌리인 불교, 일상의 삶을 구도적 삶으로 전환시킨 요가, 서구인들의 정신문화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킨 크리슈나무르티, 오쇼 라즈니쉬, 달라이라마 등 이들의 정신세계와 철학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인도철학의 역사를 통해 서양철학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세계 정신문화의 흐름을 파악하고 있다.
저자는 인도철학을 대할 때 '다양하게 전개되는 인간의 정신체계를 살펴보면 인간의 사고방식 중 인도철학에서 논의되는 정신체계와 다른 것이 과연 얼마나 존재할까, 하는 의문이 들 정도'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렇게 다양한 정신세계를 탄생시킨 인도는 어떤 곳이며, 그곳에서 발생한 인도철학은 무엇인가에 대해 사회환경을 바탕으로 탐구한다. 그는 다양한 철학사상의 생성과 소멸, 서로간의 논쟁과 융합, 영향을 주고받는 역사를 인도철학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간단하고 쉽게 설명하고 있다.
저자 이태성 소개.
동국대학교 문학 석사, 일본 고마자와(駒澤) 대학 불교학 박사
현재 위덕대학교 불교문화학부 교수
주요논문:「즈냐나가르바의 이제설」, 「중관장엄론의 형상설에 대하여」,
「무아에 관한 중관파의 해석」, 「구법승이 본 인도불교의 소승부파와 대승」외
역 서: 『불교혼성범어 입문』
저 서: 『실담자기와 망월사본 진언집 연구』(공저), 『을유불교산책』
오늘은 저와 함께 인도 철학 산책이라는 책을 통해
인도 정통 철학인 베다와 우파니샤드 철학과 종교를 중점적으로 알아보았습니다.
향후에도 바가바드 기타, 6파 철학
인도 비정통철학인 불교, 자이나교의 철학과 종교 및 이슬람교 등
인도에서 전개되는 다양한 사상과 철학과 종교를 저와 함께 공부해보십시오.
그리고 이러한 인도 철학 공부를 통해
삶의 진리와 해탈의 열쇠를 얻어보시길 바랍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수행에 관련된 책들을 낭독하고 있는 수행TV 채널을 지금 구독해보세요.❤
#인도철학 #힌두교 #불교
감사합니다.
수행TV 효현합장.
steve Lee : 좋은 내용 감사!
내용은 어렵네요~
김태길 : 베다는 bc3370년에
브라만교로 시작.
bc1500년부터는
유럽인들이 만들은
역사년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