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포상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애드마왕 조회 33회 작성일 2020-12-15 20:08:01 댓글 0

본문

2020년 포상금 제도 종류 I 생활주변 신고포상금 I 공익신고 포상금 지급 I 국가 지자체 포상금헌터 I 재테크 (법보안관)

여러분들, 국내에서 몇몇 범법행위에 대해서는 그 내용을 신고하면 포상금을 지급 받을 수 있다는걸 알고 계신가요? 그래서 오늘은 현재 유지되고 있는 각종 포상금 제도 중에서 일반적으로 우리가 주변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는 건 들을 법보안관이 선별하여 알려드리니 기억하셨다가 쏠쏠한 부수입 다들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포상금 #공익신고 #신고포상금

[두잇터] 파손 도로 신고하면 30만원 준다면서요ㅠㅠ서울시한테 낚였습니다... / 조선일보

서울시는 지난16일 파손된 도로 등을 신고하면 반기에 최대 3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 하기로 했다. 기존에는 도로시설물을 망가뜨린 사람을 신고해야 포상금 지급이 가능했지만, 규칙이 개정됨에 따라 지급 대상이 확대된 것이다. 정말 30만원을 받을 수 있을까? 직접 파손된 도로를 찾아 신고해보기로 했다. / 김유섭 기자

조선닷컴 공식 홈페이지 http://www.chosun.com
조선비즈 공식 홈페이지 http://www.biz.chosun.com
공식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chosun
공식 트위터 : https://twitter.com/chosun

◈ 사실에 대한 믿음, 할 말을 하는 용기. 조선일보◈

#조선일보 #뉴스 #속보 #제보 #두잇터 #파손도로 #서울시 #포상금

“불법주정차 신고 해봐야 헛수고?” KTV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즌2 57회 "지금 바로 팩트체크 들어갑니다!"

83회 불법주정차 신고, 해봐야 헛수고?
  
√헤드라인  
-불법주정차 ‘주민신고제’ 순항하고 있을까
-불법 주정〮차 적발… 주민 참여 급증

√팩트체크 포인트1 
불법주정차 주민신고제의 신고기준이 지자체별로 달라 혼란스럽다?
√오늘의 팩트1
대부분의 지자체는 주민신고제 도입 취지와 주차 관행 개선에 대해 적극적으로 시행중임!
신고에 제한을 두던 일부 지자체도 제한을 없애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음!

√팩트체크 포인트2 
신고는 증가하는데 실제 과태료 부과율은 60%이고, 정작 불법주정차는 해결되지 않는다?
√오늘의 팩트2
초기에는 다소 낮았던 과태료 부과율이 현재는 84.1%로 지자체에서 적극적인 조치중임!
국민 인식개선으로 4대 구간의 준수율이 개선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

√출연  
MC: 최대환 기자, 이지예 아나운서  
출연공무원: 행정안전부 예방안전과 지만석 과장
전문가: 협성대학교 도시공학과 최회균 교수



정책에 대한 답답한 오보는 이제 그만!  
사이다 같이 속시원하고 명확한 사실이 필요하다.  

'언론 전문가'와'정책담당 공무원'이 함께하는  
청량감 끝판왕~ #사실은이렇습니다 
  
#불법주정차 #불법주차 #불법정차 #주차 #정차 #주민신고제 #과태료부과 #과태료 #생활불편신고 #안전신문고 #안전신고 #공익신고 #도로교통법 #제2조24항 #주차금지 #정차금지 #소화전 #교차로 #버스정류소 #횡단보도 #현장단속 #4대위반 #보행자안전 #승하차안전 #교통사고위험 #교통사고 #자동차사고 #행정예고 #안전보안관 #교통위반 #위반율 #불법주차단속반 #주차단속반 #주차단속원 #주차계획관리 #교통문화수준 #교통문화지수 #교통안전강화 #행정안전부 #예방안전과 #도시공학과 #국민방송 #팩트 #사실 #거짓 #팩트체크 #사이다 #ASMR #사실은이렇습니다 #사저씨 #시원해 #유튜브 #청량감 #사실인가요?  
  
▶페이스북https://goo.gl/4JJZzN  
▶유튜브https://goo.gl/7yuedv  
▶트위터https://goo.gl/Aen58u  
▶네이버TVhttps://tv.naver.com/ktv  
▶TV채널https://goo.gl/F7p7kR

... 

#신고포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281건 1111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