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프라스틱
페이지 정보
본문
호접란 재활용 플라스틱 투명용기에 구멍 뚫기 (Making holes in a clear plastic container- Phalaenopsis Orchid)
생활주변에서 깨끗한 투명용기들을 화분으로 재활용 할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투명용기에 난종류나 식물들을 심을때 통풍과 배수가 잘되도록 구멍을 뚫어서 이용 하시면 좋습니다. ~~♡
* Virginia Story 버지니아 이야기 *
https://www.youtube.com/channel/UCplj81lEX5cBqvSoJEdTAMg
좋아요와 구독은 사랑 ❤ 입니다!! 감사합니다.
* Thank you for watching, Subscribe and hit the like button for more videos !!
[플라스틱에 대한 착각]투명페트병 7개면 티셔츠 하나…"뚜껑 꼭 닫으세요" [MBN 종합뉴스]
【 앵커멘트 】
환경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전국의 아파트에서 투명페트병 분리배출제를 시행 중입니다.
왜 투명페트병만 이렇게 하는 걸까요?
또 분리배출된 투명페트병은 어디로 가서 어떻게 재활용될까요?
재활용 과정과 올바른 배출법을 강영호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 기자 】
경북 구미의 한 공장
옷감을 짜는 데 이용되는 원사가 여러 갈래로 이어져 나옵니다.
원사의 원료는 다름 아닌 투명페트병입니다.
지난해 12월부터 아파트에서 시행 중인 투명페트병 분리배출제는 올해 말부턴 단독주택으로 확대됩니다.
투명페트병은 어떻게 재활용되는 것일까?
컨베이어 벨트 위로 버려진 페트병이 계속해서 운반됩니다.
원통에 들어가 뚜껑과 라벨을 제거한 뒤, 분쇄와 분리, 세척과 선별작업을 거칩니다.
▶ 스탠딩 : 강영호 / 기자
- "모든 과정을 거치면 투명페트병은 미세한 조각 형태의 플레이크로 변신하는데요. 플레이크는 옷을 제조하는 원사나 각종 용기의 원료가 돼 고품질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통상 투명페트병 7개면 반팔티셔츠 1장을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모든 투명페트병이 옷으로 재탄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물질이 섞이면 제조 과정에서 끊어져 장섬유로 활용되지 못합니다.
▶ 인터뷰 : 임영철 / 원사 제조업체 공장장
- "이물이 없어야 되죠. 분리배출할 때 깨끗한 병이 들어와야지 저희들도 장섬유로 쓸 수 있는 거고요."
이물질을 막기 위해 세척은 물론 페트병을 찌그러뜨린 뒤 뚜껑을 닫아 버리는 게 중요합니다.
▶ 인터뷰 : 김종석 / 플라스틱 선별업체 공장장
- "이물이 들어가는 걸 방지하고 페트병이 원상태로 다시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개를 닫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과일이나 테이크아웃 용기는 무색일지라도 품질이 다른 만큼 투명페트병과 함께 버려선 안 됩니다.
MBN뉴스 강영호입니다.
[ nathaniel@mbn.co.kr ]
영상취재 : 김회종·김진성·김현우 기자
영상편집 : 이범성
그래픽 :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https://goo.gl/6ZsJGT
MBN 유튜브 커뮤니티https://www.youtube.com/user/mbn/community?disable_polymer=1
#MBN #종합뉴스 #플라스틱에대한착각
MBN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mbntv
MBN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mbn_news/
[앵커리포트] 투명 페트병, 내일부턴 '라벨' 떼고 내세요 / YTN
생수나 음료수병 같은 투명 페트병의 라벨을 떼서 버리는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이 내일부터 전국 대부분 아파트에서 시행됩니다.
빈 생수병, 직접 가져와 봤는데요.
먼저 깨끗이 헹궈서 내용물을 비워야 합니다.
그리고 라벨을 이렇게 제거하는데요, 자세히 보시면 라벨 테두리에 쉽게 뗄 수 있는 부분이 표시돼 있습니다.
요즘은 많은 업체가 쉽게 뗄 수 있도록 라벨을 만드는 추세고요.
부피를 줄여야 하는데, 뚜껑 닫은 상태로는 공기가 안 빠지겠죠, 뚜껑 열어서 최대한 부피 줄어들게 눌러주고요. 이후에 뚜껑 다시 닫은 상태로 색깔 있는 페트병이나 기타 플라스틱과 분리해서 버리는 겁니다.
분리배출 의무화 대상, 전국의 300가구 이상 공동주택 또는 150가구 이상으로 승강기가 설치되거나 중앙집중식 난방을 하는 아파트입니다.
단독 주택은 내년 12월부터 시행합니다.
이렇게 조금은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는 이유, 투명 페트병은 티셔츠나 가방, 화장품 용기 같은 제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 티셔츠 만들 때 500㎖ 12병, 긴 팔 재킷은 500㎖ 약 32병이 필요한데요.
정부는 폐페트병 10만 톤을 재활용하면 약 4,200억 원의 신규 시장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음식 배달 주문하거나, 포장해서 집에서 드시는 분 많죠.
재활용품도 급증했습니다.
통계를 보면 올해 상반기 플라스틱 폐기물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6%나 늘었습니다.
늘어난 만큼 잘 처리되고 있을까요?
지난 6월 많은 보도가 이어진 경기도 평택시의 '쓰레기 산' 모습입니다.
한 폐기물 처리 업체가 재활용 단가는 떨어지고, 폐기물 처리비용은 늘어나니 폐기하겠다며 돈만 받고는 무단 방치한 건데요.
지난해 2월까지 쌓아둔 양만 2만3천 톤, 허가된 양의 40배가 넘습니다.
단속 피하려 공무원에게 뒷돈까지 건넸습니다.
실제 폐플라스틱 단가, 최근 조금 회복세를 보이긴 하지만 코로나 이전 수준과는 차이가 있는데요.
유가 하락으로 폐플라스틱 가격 자체가 하락했고 코로나 와중에 수출에도 제한을 받았습니다.
여기에 이물질까지 분류해야 하니, 더 쉽지 않습니다.
음료는 텀블러, 음식 포장은 휴대용 용기에, 물론 이렇게 하면 가격을 깎아주는 유인책도 필요하겠고요.
일회용품 배출 줄이고 잘 버리고, 코로나 시대 꼭 필요한 작은 실천입니다.
박광렬 [parkkr0824@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01224125558271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u0026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생활주변에서 깨끗한 투명용기들을 화분으로 재활용 할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투명용기에 난종류나 식물들을 심을때 통풍과 배수가 잘되도록 구멍을 뚫어서 이용 하시면 좋습니다. ~~♡
* Virginia Story 버지니아 이야기 *
https://www.youtube.com/channel/UCplj81lEX5cBqvSoJEdTAMg
좋아요와 구독은 사랑 ❤ 입니다!! 감사합니다.
* Thank you for watching, Subscribe and hit the like button for more videos !!
[플라스틱에 대한 착각]투명페트병 7개면 티셔츠 하나…"뚜껑 꼭 닫으세요" [MBN 종합뉴스]
【 앵커멘트 】
환경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전국의 아파트에서 투명페트병 분리배출제를 시행 중입니다.
왜 투명페트병만 이렇게 하는 걸까요?
또 분리배출된 투명페트병은 어디로 가서 어떻게 재활용될까요?
재활용 과정과 올바른 배출법을 강영호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 기자 】
경북 구미의 한 공장
옷감을 짜는 데 이용되는 원사가 여러 갈래로 이어져 나옵니다.
원사의 원료는 다름 아닌 투명페트병입니다.
지난해 12월부터 아파트에서 시행 중인 투명페트병 분리배출제는 올해 말부턴 단독주택으로 확대됩니다.
투명페트병은 어떻게 재활용되는 것일까?
컨베이어 벨트 위로 버려진 페트병이 계속해서 운반됩니다.
원통에 들어가 뚜껑과 라벨을 제거한 뒤, 분쇄와 분리, 세척과 선별작업을 거칩니다.
▶ 스탠딩 : 강영호 / 기자
- "모든 과정을 거치면 투명페트병은 미세한 조각 형태의 플레이크로 변신하는데요. 플레이크는 옷을 제조하는 원사나 각종 용기의 원료가 돼 고품질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통상 투명페트병 7개면 반팔티셔츠 1장을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모든 투명페트병이 옷으로 재탄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물질이 섞이면 제조 과정에서 끊어져 장섬유로 활용되지 못합니다.
▶ 인터뷰 : 임영철 / 원사 제조업체 공장장
- "이물이 없어야 되죠. 분리배출할 때 깨끗한 병이 들어와야지 저희들도 장섬유로 쓸 수 있는 거고요."
이물질을 막기 위해 세척은 물론 페트병을 찌그러뜨린 뒤 뚜껑을 닫아 버리는 게 중요합니다.
▶ 인터뷰 : 김종석 / 플라스틱 선별업체 공장장
- "이물이 들어가는 걸 방지하고 페트병이 원상태로 다시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개를 닫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과일이나 테이크아웃 용기는 무색일지라도 품질이 다른 만큼 투명페트병과 함께 버려선 안 됩니다.
MBN뉴스 강영호입니다.
[ nathaniel@mbn.co.kr ]
영상취재 : 김회종·김진성·김현우 기자
영상편집 : 이범성
그래픽 :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https://goo.gl/6ZsJGT
MBN 유튜브 커뮤니티https://www.youtube.com/user/mbn/community?disable_polymer=1
#MBN #종합뉴스 #플라스틱에대한착각
MBN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mbntv
MBN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mbn_news/
[앵커리포트] 투명 페트병, 내일부턴 '라벨' 떼고 내세요 / YTN
생수나 음료수병 같은 투명 페트병의 라벨을 떼서 버리는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이 내일부터 전국 대부분 아파트에서 시행됩니다.
빈 생수병, 직접 가져와 봤는데요.
먼저 깨끗이 헹궈서 내용물을 비워야 합니다.
그리고 라벨을 이렇게 제거하는데요, 자세히 보시면 라벨 테두리에 쉽게 뗄 수 있는 부분이 표시돼 있습니다.
요즘은 많은 업체가 쉽게 뗄 수 있도록 라벨을 만드는 추세고요.
부피를 줄여야 하는데, 뚜껑 닫은 상태로는 공기가 안 빠지겠죠, 뚜껑 열어서 최대한 부피 줄어들게 눌러주고요. 이후에 뚜껑 다시 닫은 상태로 색깔 있는 페트병이나 기타 플라스틱과 분리해서 버리는 겁니다.
분리배출 의무화 대상, 전국의 300가구 이상 공동주택 또는 150가구 이상으로 승강기가 설치되거나 중앙집중식 난방을 하는 아파트입니다.
단독 주택은 내년 12월부터 시행합니다.
이렇게 조금은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는 이유, 투명 페트병은 티셔츠나 가방, 화장품 용기 같은 제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 티셔츠 만들 때 500㎖ 12병, 긴 팔 재킷은 500㎖ 약 32병이 필요한데요.
정부는 폐페트병 10만 톤을 재활용하면 약 4,200억 원의 신규 시장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음식 배달 주문하거나, 포장해서 집에서 드시는 분 많죠.
재활용품도 급증했습니다.
통계를 보면 올해 상반기 플라스틱 폐기물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6%나 늘었습니다.
늘어난 만큼 잘 처리되고 있을까요?
지난 6월 많은 보도가 이어진 경기도 평택시의 '쓰레기 산' 모습입니다.
한 폐기물 처리 업체가 재활용 단가는 떨어지고, 폐기물 처리비용은 늘어나니 폐기하겠다며 돈만 받고는 무단 방치한 건데요.
지난해 2월까지 쌓아둔 양만 2만3천 톤, 허가된 양의 40배가 넘습니다.
단속 피하려 공무원에게 뒷돈까지 건넸습니다.
실제 폐플라스틱 단가, 최근 조금 회복세를 보이긴 하지만 코로나 이전 수준과는 차이가 있는데요.
유가 하락으로 폐플라스틱 가격 자체가 하락했고 코로나 와중에 수출에도 제한을 받았습니다.
여기에 이물질까지 분류해야 하니, 더 쉽지 않습니다.
음료는 텀블러, 음식 포장은 휴대용 용기에, 물론 이렇게 하면 가격을 깎아주는 유인책도 필요하겠고요.
일회용품 배출 줄이고 잘 버리고, 코로나 시대 꼭 필요한 작은 실천입니다.
박광렬 [parkkr0824@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01224125558271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u0026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