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습니다. 자동차 급발진 대처 방법 / HOW TO STOP YOUR CAR SUDDEN ACCELERA…
페이지 정보
작성자 차업차득 작성일20-10-11 00:00 조회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오늘은 자동차 급발진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실제 급발진 상황이 일어나면 아무런 조치도 못하고 패닉 상황에 빠지게 되겠지만
사전에 방법을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은 분명 큰 차이가 있습니다. 영상 참고하시고 안전운전 하시길 바랍니다.
급발진 예방방법
첫 번째. 시동은 엔진 체크등이 꺼진 뒤 걸어준다.
시동키를 1단 ACC에 넣고 2단 ON으로 돌리면 엔진 체크등이 켜지고 2~3초 후 체크등이 꺼진 후
시동을 걸어야 합니다. 급하게 시동을 걸 경우 ECU가 차의 전자장치의 정상 여부가 채 파악 되지 못한 상태로
급발진이 발생 될 수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시동을 걸고 2~3초 후 변속 한다.
시동이 걸리기 전에는 브레이크 페달이 무겁게 밟히고 시동이 걸린 뒤 2~3초가 지나야 브레이크가
자동차를 제동 할 수 있을 정도의 진공이 진공펌프에 가득 차기 때문입니다.
세 번째. 시동이 걸리자 마자 출발하지 않는다.
변속이 된 뒤에도 2~3초 정도 기다렸다가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야합니다.
변속레버를 움직이는 동안 급발진이 일어나더라도 이미 브레이크를 밟아 제동이 되어있는 상태이고
바로 시동을 끄면 되기 때문입니다.
네 번째. RPM이 1000이하로 떨어진 뒤 움직인다.
시동을 켠 직후에는 엔진을 정상 온도로 올리기 위해 RPM이 높아졌다가
안정적인 수치로 내려오게 되는데 고장증세가 있는 차량들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RPM을 확인 한 후 운전을 하도록 해야합니다.
● 영상 속 반말은 촬영과 편집을 담당하는 동튜브에게 설명하는 컨셉이니 이해부탁드립니다.
● 영상을 보시고 혹시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급발진 #초보운전 #운전상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