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입력방식
페이지 정보
본문
밀려난 ‘천지인’ 자판…세종대왕 화나실라 [경제합시다] / KBS 2024.03.12.
스마트폰에 한글을 입력할 때 어떤 방식을 쓰십니까.
키보드와 똑같은 '쿼티' 자판이 편할 수도 있고, 한글 창제 원리를 응용한 '천지인'이 익숙한 분도 있을 텐데요.
삼성 스마트폰이 최근 기본 자판을 '천지인'에서 '쿼티'로 바꿨다고 합니다.
한 유튜브 채널의 웹 예능입니다.
스마트폰의 한글 자판이 대화 소재가 된 대목입니다.
[웹 예능 '뜬뜬' 중/지난해 12월 : "(요즘 친구들은 '천지인'을 잘 안 쓴대요.) 안 써, 안 써. (천지인 안 써요?)"]
["(천지인 쓰면)아이고, '이제 아저씨네' 이러는 거예요."]
한글 자판에도 세대 차가 있다는 얘긴데, 삼성이 기본 한글 자판을 바꾼 이유이기도 합니다.
삼성은 1990년대 피처폰부터 '천지인'을 기본값으로 했습니다.
적은 자판으로도 모든 모음을 입력할 수 있어서, 크기가 작은 기기에 적합했기 때문입니다.
한글 원리가 묻어있다는 상징성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올해 나온 갤럭시 S24는 기본 자판이 '쿼티'입니다.
젊은 소비자일수록 어릴 때부터 태블릿이나 노트북에서 쓴 '쿼티'를 더 편해하기 때문입니다.
아이폰을 더 선호하는 젊은 층을 뺏어와야 하는 삼성으로선 훈민정음이란 상징성만 계속 고집하긴 어려웠던 거로 보입니다.
단, 천지인 자판을 아예 없애지는 않았고, 설정 항목에서 선택할 수 있게 남겨뒀습니다.
지금까지 경제합시다였습니다. \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911580\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천지인 #자판 #아저씨
“한글로 쓰면 5초면 된다고?” 한글과 일본 중국문자를 같은 문장으로 비교하자 속도 차이 7배 이상 나버린 상황
우리나라 문화의 독자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시가 무엇일까요?
한복, 광화문, 판소리, 씨름, 한국 대표요리인 비빔밥? 등이 생각나실 겁니다.
하지만 한국 문화의 독자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가 바로 한글이죠.
세계 역사상 국가의 권력을 한 개인이 장악하고 마음대로 그 권력을 행사하는 전제주의 사회에서 국왕이 일반백성을 위해 문자를 창안한 유래는 한국 빼고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만큼 한글은 문자발명의 목적과 대상이 분명했죠.
그러므로 그 효용성은 다른 문자와 비교할 수 조차 없는데요.
#해외반응 #한글 #일본반응
[세종 즉위 600년] 한·중·일 자판 대결
+--------------------------------------------------------------------------------+
◈ 중앙일보 공식 SNS 채널 ◈
-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joongang/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joongangilbo
- 트위터 : http://www.twitter.com/joongangilbo
- 유튜브 : https://goo.gl/DyGoPC
- 네이버 TV : http://tvcast.naver.com/joongangsisa
- 네이버포스트 : https://goo.gl/eeYh4k
당신이 원하는 뉴스,
중앙일보 SNS 채널과 함께하세요.
+--------------------------------------------------------------------------------+
스마트폰에 한글을 입력할 때 어떤 방식을 쓰십니까.
키보드와 똑같은 '쿼티' 자판이 편할 수도 있고, 한글 창제 원리를 응용한 '천지인'이 익숙한 분도 있을 텐데요.
삼성 스마트폰이 최근 기본 자판을 '천지인'에서 '쿼티'로 바꿨다고 합니다.
한 유튜브 채널의 웹 예능입니다.
스마트폰의 한글 자판이 대화 소재가 된 대목입니다.
[웹 예능 '뜬뜬' 중/지난해 12월 : "(요즘 친구들은 '천지인'을 잘 안 쓴대요.) 안 써, 안 써. (천지인 안 써요?)"]
["(천지인 쓰면)아이고, '이제 아저씨네' 이러는 거예요."]
한글 자판에도 세대 차가 있다는 얘긴데, 삼성이 기본 한글 자판을 바꾼 이유이기도 합니다.
삼성은 1990년대 피처폰부터 '천지인'을 기본값으로 했습니다.
적은 자판으로도 모든 모음을 입력할 수 있어서, 크기가 작은 기기에 적합했기 때문입니다.
한글 원리가 묻어있다는 상징성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올해 나온 갤럭시 S24는 기본 자판이 '쿼티'입니다.
젊은 소비자일수록 어릴 때부터 태블릿이나 노트북에서 쓴 '쿼티'를 더 편해하기 때문입니다.
아이폰을 더 선호하는 젊은 층을 뺏어와야 하는 삼성으로선 훈민정음이란 상징성만 계속 고집하긴 어려웠던 거로 보입니다.
단, 천지인 자판을 아예 없애지는 않았고, 설정 항목에서 선택할 수 있게 남겨뒀습니다.
지금까지 경제합시다였습니다. \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911580\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천지인 #자판 #아저씨
“한글로 쓰면 5초면 된다고?” 한글과 일본 중국문자를 같은 문장으로 비교하자 속도 차이 7배 이상 나버린 상황
우리나라 문화의 독자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시가 무엇일까요?
한복, 광화문, 판소리, 씨름, 한국 대표요리인 비빔밥? 등이 생각나실 겁니다.
하지만 한국 문화의 독자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가 바로 한글이죠.
세계 역사상 국가의 권력을 한 개인이 장악하고 마음대로 그 권력을 행사하는 전제주의 사회에서 국왕이 일반백성을 위해 문자를 창안한 유래는 한국 빼고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만큼 한글은 문자발명의 목적과 대상이 분명했죠.
그러므로 그 효용성은 다른 문자와 비교할 수 조차 없는데요.
#해외반응 #한글 #일본반응
[세종 즉위 600년] 한·중·일 자판 대결
+--------------------------------------------------------------------------------+
◈ 중앙일보 공식 SNS 채널 ◈
-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joongang/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joongangilbo
- 트위터 : http://www.twitter.com/joongangilbo
- 유튜브 : https://goo.gl/DyGoPC
- 네이버 TV : http://tvcast.naver.com/joongangsisa
- 네이버포스트 : https://goo.gl/eeYh4k
당신이 원하는 뉴스,
중앙일보 SNS 채널과 함께하세요.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