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직기출문제정복
페이지 정보
본문
2021년 19회, 사회복지 조사론 기출문제 풀이 1, 제주, 복지 in 연구소, 말말복지 김진훈
2021년 19회, 사회복지 조사론 기출문제 풀이 1
사회복지사1급 시험 응시생들을 위한 채널, 사회복지사 1급 합격을 응원합니다.
복지 in 연구소 채널 구독과 좋아요, 알람과 친구 맺기를 통해 소통할 수 있습니다.
26. 사회과학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연과학에 비해 인과관계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
②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현상을 규명한다.
③ 관찰대상물과 관찰자가 분명히 구분된다.
④ 인간의 행위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⑤ 사회문화적 특성의 영향을 받는다.
27. 사회과학과 사회복지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사회복지학은 사회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학문이다.
ㄴ. 사회과학은 사회복지의 실천적 지식의 제공 및 이론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ㄷ. 사회복지학은 응용 과학이 아닌 순수 과학에 속한다.
ㄹ. 사회복지학은 사회과학에 의해 발전된 개념들을 활용할 수 있다.
① ㄴ, ㄷ ②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ㄱ, ㄷ, ㄹ
28. 양적조사와 질적조사의 비교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질적조사에 비하여 양적조사의 표본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다.
② 질적조사에 비하여 양적조사에서는 귀납법을 주로 사용한다.
③ 양적조사에 비하여 질적조사는 사회 현상의 주관적 의미에 관심을 갖는다.
④ 양적조사는 가설검증을 지향하고 질적조사는 탐색, 발견을 지향한다.
⑤ 양적조사에 비하여 질적조사는 조사결과의 일반화가 어렵다.
29. 사회복지조사를 위한 수행단계로 옳은 것은?
① 문제설정→가설설정 →조사설계→자료수집→자료분석 →보고서작성
② 문제설정→가설설정 →자료수집→자료분석→조사설계 →보고서작성
③ 가설설정→문제설정 →자료수집→조사설계→자료분석 →보고서작성
④ 가설설정→문제설정 →자료수집→자료분석→조사설계 →보고서작성
⑤ 가설설정→문제설정 →조사설계→자료수집→자료분석 →보고서작성
30. 다음 ( )에 알맞은 내용으로 옳은 것은?
○ 독립변수 앞에서 독립변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 ㄱ )라고 한다.
○ 독립변수의 결과인 동시에 종속변수의 원인이 되는 변수를 ( ㄴ )라고 한다.
○ 다른 변수에 의존하지만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 변수를 ( ㄷ )라고 한다.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제3의 변수를 ( ㄹ )라고 한다.
① ㄱ: 외생변수, ㄴ: 더미변수, ㄷ: 종속변수, ㄹ: 조절변수
② ㄱ: 외생변수, ㄴ: 매개변수, ㄷ: 종속변수, ㄹ: 더미변수
③ ㄱ: 선행변수, ㄴ: 조절변수, ㄷ: 종속변수, ㄹ: 외생변수
④ ㄱ: 선행변수, ㄴ: 매개변수, ㄷ: 외생변수, ㄹ: 조절변수
⑤ ㄱ: 선행변수, ㄴ: 매개변수, ㄷ: 종속변수, ㄹ: 외생변수
31. 다음 ( )에 알맞은 조사유형을 모두 나열한 것은?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연구대상을 표본추출하여 반복적으로 조사하는 방법에는 ( ), ( ), 동년배 조사 등이 있다.
① 패널조사, 경향조사 ② 패널조사, 문헌조사 ③ 전수조사, 경향조사
④ 전수조사, 표본조사 ⑤ 문헌조사, 전문가조사
32. 다음 ( )에 알맞은 내용으로 옳은 것은?
○ 내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 ㄱ ) 이외의 다른 변수가 ( ㄴ )에 개입할 조건을 통제하여야 한다.
○ 외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 ㄷ )으로 연구대상을 선정하거나 표본크기를 ( ㄹ ) 하여야 한다.
① ㄱ: 원인변수, ㄴ: 결과변수, ㄷ: 확률표집방법, ㄹ: 크게
② ㄱ: 원인변수, ㄴ: 결과변수, ㄷ: 무작위할당, ㄹ: 작게
③ ㄱ: 원인변수, ㄴ: 결과변수, ㄷ: 확률표집방법, ㄹ: 작게
④ ㄱ: 결과변수, ㄴ: 원인변수, ㄷ: 확률표집방법, ㄹ: 크게
⑤ ㄱ: 결과변수, ㄴ: 원인변수, ㄷ: 무작위할당, ㄹ: 작게
33.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정한 규칙에 따라 측정대상에 값을 부여하는 과정이다.
② 이론적 모델과 사건이나 현상을 연결하는 방법이다.
③ 사건이나 현상을 세분화하고 통계적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④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설문문항 수가 적을수록 좋다.
⑤ 측정의 수준에 따라 명목, 서열, 등간, 비율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34.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명목척도는 응답범주의 서열이 없는 척도이다.
ㄴ. 비율척도의 대표적인 유형은 리커트 척도이다.
ㄷ. 비율척도는 절대 0점이 존재하는 척도이다.
ㄹ. 서열척도는 변수의 속성에 따라 일정한 범주로 분류한다.
① ㄱ, ㄴ ② ㄴ, ㄹ ③ ㄷ, ㄹ ④ ㄱ, ㄴ, ㄷ ⑤ ㄱ, ㄷ, ㄹ
35. 다음 사례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타당도로 옳은 것은?
연구자는 새로 개발한 우울척도 A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아존중감 척도 B와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A와 B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① 동시타당도(concurrent validity) ② 판별타당도(discriminant validity)
③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④ 수렴타당도(convergent validity)
⑤ 예측타당도(predictive validity)
36.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재검사법 ㄴ. 대안법
ㄷ. 반분법 ㄹ. 내적일관성분석법
①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ㄱ, ㄴ, ㄷ, ㄹ
37. 다음이 설명하는 척도로 옳은 것은?
○ 사회복지사에 대해 느끼는 감정에 대해 해당 점수에 체크하시오.
1점 2점 3점 4점 5점 6점 7점
1. 친절한 I-----I-----I-----I-----I-----I-----I 불친절한
2. 행복한 I-----I-----I-----I-----I-----I-----I 불행한
① 리커트척도(Likert scale)
② 거트만척도(Guttman scale)
③ 보가더스척도(Borgadus scale)
④ 어의적 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⑤ 써스톤척도(Thurstone scale)
개인후원 https://toon.at/donate/637483081684492145
블로그 _ https://blog.naver.com/rabbatry77
페이스북 _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2104104503
핑크뮬리 : 19회 기출풀이 다 봤습니다~!! 강의가 귀에 정말 쏙쏙 잘 들어와요! 담주 토요일이 시험인데 꼭 좋은 결과 가지고 오도록 할게요! 이 강의 듣고 뭔가 붙을 수도 있겠다 할 정도로 정말 잘 들었습니다!! 다른분들도 20회 시험 화이팅하세요~!!!
조영미 : 변수, 타당도, 신뢰도에 대한 설명이 상당히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신나고 즐거운 채연♥송아 : 교수님 남은시간도 끝까지 강의 듣고 공부하겠습니다 좋은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수심월TV : 감사합니다
반복 계속 잘 듣고있습니다^^
현숙 윤 : 이해가 정말 잘되네요. 감사 감사합니다.
2021년 19회, 사회복지 조사론 기출문제 풀이 2, 제주, 복지 in 연구소, 말말복지 김진훈
사회복지사1급 시험 응시생들을 위한 채널, 사회복지사 1급 합격을 응원합니다.
복지 in 연구소 채널 구독과 좋아요, 알람과 친구 맺기를 통해 소통할 수 있습니다.
38. 표본크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② 신뢰수준을 높이려면 표본의 크기도 커져야 한다.
③ 표본의 크기가 증가하면 표본오차(sampling error)도 커진다.
④ 모집단이 이질적인 경우에는 표본의 크기를 늘려야 한다.
⑤ 같은 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한다면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대표성은 커진다.
39. 질적조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본추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론적(theoretical) 표본추출 ② 집락(cluster) 표본추출
③ 눈덩이(snowball) 표본추출 ④ 극단적 사례(extreme case) 표본추출
⑤ 최대변이(maximum variation) 표본추출
40.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기존자료에 의존하기 때문에 연구의 범위가 무제한적이다.
ㄴ. 선정편향(selection bias)이 발생할 수 있다.
ㄷ. 연구대상자의 반응성을 배제할 수 있다.
ㄹ. 기존자료를 활용하는 질적조사이기 때문에 가설검증은 필요하지 않다.
① ㄴ ② ㄱ, ㄴ ③ ㄱ, ㄹ ④ ㄷ, ㄹ ⑤ ㄱ, ㄴ, ㄹ
41. 외부사건(history)을 통제할 수 있는 실험설계를 모두 고른 것은?
ㄱ. 솔로몬 4집단 설계(Solomon four-group design)
ㄴ.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ㄷ. 단일집단 사후검사 설계(one-group posttest-only design)
ㄹ.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posttest-only control group design)
① ㄹ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42. 단일사례설계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ABCD설계는 여러 개의 개입효과를 개별적으로 증명하기 위한 설계이다.
② AB설계는 외부요인을 충분히 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유형의 문제에 적용가능하다.
③ 복수기초선설계는 기초선 단계 이후 여러 개의 다른 개입방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한다.
④ ABAB설계는 외부요인을 통제할 수 있어 개입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⑤ 평균비교는 기초선이 불안정할 때 기초선의 변화의 폭과 기울기까지 고려하여 결과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43. 외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옳은 것은?
① 실험대상의 탈락 ② 외부사건(history) ③ 통계적 회귀
④ 개입의 확산 또는 모방 ⑤ 연구 참여자의 반응성
44. 다음에서 설명하는 근거이론의 분석방법은?
수집된 자료에서 나타난 범주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범주들을 특정한 구조적 틀에 맞추어 연결하는 과정이다. 중심현상을 설명하는 전략들, 전략을 형성하는 맥락과 중재조건, 그리고 전략을 수행한 결과를 설정하여 찾아내는 과정이다.
① 조건 매트릭스 ② 개방코딩 ③ 축코딩
④ 괄호치기 ⑤ 선택코딩
45. 다음 사례에서 설명하는 표본추출방법은?
사회복지사들의 감정노동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은 전국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연령(30세 미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50세 이상)을 고려하여 연령 집단별 각각 100명씩 총 300명을 임의 추출하였다.
① 비례 층화 표본추출 ② 할당 표본추출 ③ 체계적 표본추출
④ 눈덩이 표본추출 ⑤ 집락 표본추출
46. 질적조사의 엄격성(rigor)을 높이는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장기간 관찰 ㄴ. 표준화된 척도의 사용
ㄷ. 부정적 사례(negative cases)분석 ㄹ. 다각화(triangulation)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ㄱ, ㄴ, ㄷ, ㄹ
47. 초점집단(focus group) 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집단을 활용한 자료수집방법이다.
② 익명의 전문가들을 패널로 활용한다.
③ 욕구조사에서 활용된다.
④ 직접적인 자료수집 방법이다.
⑤ 연구자의 개입에 의해 편향이 발생할 수 있다.
48. 설문지 작성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개방형 질문은 미리 유형화된 응답범주들을 제시해놓은 질문 유형이다.
② 행렬식(matrix) 질문은 한 주제의 응답에 따라 부가질문을 연결해서 사용하는 질문이다.
③ 많은 정보가 필요할 경우 이중질문을 사용한다.
④ 신뢰도 측정을 위해 짝(pair)으로 된 문항들은 이어서 배치한다.
⑤ 다항선택식(multiple choice) 질문은 응답범주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도록 하는 질문이다.
49. 실험설계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다중 시계열 설계(multiple time-series design)는 통제집단을 설정하지 않는다.
②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는 검사효과를 통제하기 어렵다.
③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posttest-only control group design)는 사전검사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④ 시계열 설계(time-series design)는 검사효과와 외부사건을 통제하기 어렵다.
⑤ 정태적 집단 비교설계(static group design)는 두 집단의 본래의 차이를 확인하기 어렵다.
50. 서베이(survey) 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전화조사는 무작위 표본추출이 가능하다.
ㄴ. 우편조사는 심층규명이 쉽다.
ㄷ. 배포조사는 응답 환경을 통제하기 쉽다.
ㄹ. 면접조사는 우편조사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든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개인후원 https://toon.at/donate/637483081684492145
블로그 _ https://blog.naver.com/rabbatry77
페이스북 _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2104104503
정순 심 : 너무너무 도움이 됩니당~ 막연한 조사론인데, 꼼꼼하게 설명해주셔서 참으로 감사드립니다^^
조영미 : 선생님 해설 강의만 다 들으면 만점 받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송형자 : 지금까지 조사론을비롯해서 기출17,18,19회 5과목 3회이상,인행사19회 3회 이상 교수님의 강의로 공부했어요~~실천론,실천기술론은 안하시니까 너무 아쉽습니다~~~아무튼 열정 넘치게 강의하신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꼭 합격으로 보답해 드리겠습니다~~~
김현진 : 오랫만에 공부 하려니 너무 적응이 힘드네요. 좋은 강의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영 : 다시 새로운 마음으로 설명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1 지방직 9급 해설강의] 공무원사회복지학 기출문제 분석하고 사회복지직공무원 시험 대비하자! | 어대훈 사회복지학 | 박문각공무원
올해 기출문제가 내년 예상문제다!
2021 지방직 9급 해설강의
공무원사회복지학 기출문제 확실하게 분석하자!
사회복지학 어대훈 교수님의 지방직 해설강의입니다.
사회복지직공무원 시험 준비하신 수험생들 고생하셨습니다.
#공무원해설강의 #9급지방직해설강의 #2021지방직해설강의
▼합격예측 정확도 100%! ▼
6월5일 합격결과 지금 예측해드림!
https://bit.ly/3uSetk5
박문각공무원 : ▼합격예측 정확도 100%! ▼
6월5일 합격결과 지금 예측해드림!
https://bit.ly/3uSetk5
제7광구 : 이번 2021 서울시 사복 조정점수 아시는분?..
90 85 80 이중에 아시면 좀 알려주셔요~~~~ㅠㅠ
박문각공무원 : 안녕하세요! 서울시 사복 조정점수 자료를 가지고 있는, 어대훈 교수님의 공식카페 주소를 아래 남겨드립니다. 아래 카페에서 질문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cafe.daum.net/firstwelfare
2021년 19회, 사회복지 조사론 기출문제 풀이 1
사회복지사1급 시험 응시생들을 위한 채널, 사회복지사 1급 합격을 응원합니다.
복지 in 연구소 채널 구독과 좋아요, 알람과 친구 맺기를 통해 소통할 수 있습니다.
26. 사회과학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연과학에 비해 인과관계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
②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현상을 규명한다.
③ 관찰대상물과 관찰자가 분명히 구분된다.
④ 인간의 행위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⑤ 사회문화적 특성의 영향을 받는다.
27. 사회과학과 사회복지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사회복지학은 사회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학문이다.
ㄴ. 사회과학은 사회복지의 실천적 지식의 제공 및 이론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ㄷ. 사회복지학은 응용 과학이 아닌 순수 과학에 속한다.
ㄹ. 사회복지학은 사회과학에 의해 발전된 개념들을 활용할 수 있다.
① ㄴ, ㄷ ②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ㄱ, ㄷ, ㄹ
28. 양적조사와 질적조사의 비교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질적조사에 비하여 양적조사의 표본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다.
② 질적조사에 비하여 양적조사에서는 귀납법을 주로 사용한다.
③ 양적조사에 비하여 질적조사는 사회 현상의 주관적 의미에 관심을 갖는다.
④ 양적조사는 가설검증을 지향하고 질적조사는 탐색, 발견을 지향한다.
⑤ 양적조사에 비하여 질적조사는 조사결과의 일반화가 어렵다.
29. 사회복지조사를 위한 수행단계로 옳은 것은?
① 문제설정→가설설정 →조사설계→자료수집→자료분석 →보고서작성
② 문제설정→가설설정 →자료수집→자료분석→조사설계 →보고서작성
③ 가설설정→문제설정 →자료수집→조사설계→자료분석 →보고서작성
④ 가설설정→문제설정 →자료수집→자료분석→조사설계 →보고서작성
⑤ 가설설정→문제설정 →조사설계→자료수집→자료분석 →보고서작성
30. 다음 ( )에 알맞은 내용으로 옳은 것은?
○ 독립변수 앞에서 독립변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 ㄱ )라고 한다.
○ 독립변수의 결과인 동시에 종속변수의 원인이 되는 변수를 ( ㄴ )라고 한다.
○ 다른 변수에 의존하지만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 변수를 ( ㄷ )라고 한다.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제3의 변수를 ( ㄹ )라고 한다.
① ㄱ: 외생변수, ㄴ: 더미변수, ㄷ: 종속변수, ㄹ: 조절변수
② ㄱ: 외생변수, ㄴ: 매개변수, ㄷ: 종속변수, ㄹ: 더미변수
③ ㄱ: 선행변수, ㄴ: 조절변수, ㄷ: 종속변수, ㄹ: 외생변수
④ ㄱ: 선행변수, ㄴ: 매개변수, ㄷ: 외생변수, ㄹ: 조절변수
⑤ ㄱ: 선행변수, ㄴ: 매개변수, ㄷ: 종속변수, ㄹ: 외생변수
31. 다음 ( )에 알맞은 조사유형을 모두 나열한 것은?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연구대상을 표본추출하여 반복적으로 조사하는 방법에는 ( ), ( ), 동년배 조사 등이 있다.
① 패널조사, 경향조사 ② 패널조사, 문헌조사 ③ 전수조사, 경향조사
④ 전수조사, 표본조사 ⑤ 문헌조사, 전문가조사
32. 다음 ( )에 알맞은 내용으로 옳은 것은?
○ 내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 ㄱ ) 이외의 다른 변수가 ( ㄴ )에 개입할 조건을 통제하여야 한다.
○ 외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 ㄷ )으로 연구대상을 선정하거나 표본크기를 ( ㄹ ) 하여야 한다.
① ㄱ: 원인변수, ㄴ: 결과변수, ㄷ: 확률표집방법, ㄹ: 크게
② ㄱ: 원인변수, ㄴ: 결과변수, ㄷ: 무작위할당, ㄹ: 작게
③ ㄱ: 원인변수, ㄴ: 결과변수, ㄷ: 확률표집방법, ㄹ: 작게
④ ㄱ: 결과변수, ㄴ: 원인변수, ㄷ: 확률표집방법, ㄹ: 크게
⑤ ㄱ: 결과변수, ㄴ: 원인변수, ㄷ: 무작위할당, ㄹ: 작게
33.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정한 규칙에 따라 측정대상에 값을 부여하는 과정이다.
② 이론적 모델과 사건이나 현상을 연결하는 방법이다.
③ 사건이나 현상을 세분화하고 통계적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④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설문문항 수가 적을수록 좋다.
⑤ 측정의 수준에 따라 명목, 서열, 등간, 비율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34.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명목척도는 응답범주의 서열이 없는 척도이다.
ㄴ. 비율척도의 대표적인 유형은 리커트 척도이다.
ㄷ. 비율척도는 절대 0점이 존재하는 척도이다.
ㄹ. 서열척도는 변수의 속성에 따라 일정한 범주로 분류한다.
① ㄱ, ㄴ ② ㄴ, ㄹ ③ ㄷ, ㄹ ④ ㄱ, ㄴ, ㄷ ⑤ ㄱ, ㄷ, ㄹ
35. 다음 사례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타당도로 옳은 것은?
연구자는 새로 개발한 우울척도 A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아존중감 척도 B와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A와 B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① 동시타당도(concurrent validity) ② 판별타당도(discriminant validity)
③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④ 수렴타당도(convergent validity)
⑤ 예측타당도(predictive validity)
36.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재검사법 ㄴ. 대안법
ㄷ. 반분법 ㄹ. 내적일관성분석법
①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ㄱ, ㄴ, ㄷ, ㄹ
37. 다음이 설명하는 척도로 옳은 것은?
○ 사회복지사에 대해 느끼는 감정에 대해 해당 점수에 체크하시오.
1점 2점 3점 4점 5점 6점 7점
1. 친절한 I-----I-----I-----I-----I-----I-----I 불친절한
2. 행복한 I-----I-----I-----I-----I-----I-----I 불행한
① 리커트척도(Likert scale)
② 거트만척도(Guttman scale)
③ 보가더스척도(Borgadus scale)
④ 어의적 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⑤ 써스톤척도(Thurstone scale)
개인후원 https://toon.at/donate/637483081684492145
블로그 _ https://blog.naver.com/rabbatry77
페이스북 _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2104104503
핑크뮬리 : 19회 기출풀이 다 봤습니다~!! 강의가 귀에 정말 쏙쏙 잘 들어와요! 담주 토요일이 시험인데 꼭 좋은 결과 가지고 오도록 할게요! 이 강의 듣고 뭔가 붙을 수도 있겠다 할 정도로 정말 잘 들었습니다!! 다른분들도 20회 시험 화이팅하세요~!!!
조영미 : 변수, 타당도, 신뢰도에 대한 설명이 상당히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신나고 즐거운 채연♥송아 : 교수님 남은시간도 끝까지 강의 듣고 공부하겠습니다 좋은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수심월TV : 감사합니다
반복 계속 잘 듣고있습니다^^
현숙 윤 : 이해가 정말 잘되네요. 감사 감사합니다.
2021년 19회, 사회복지 조사론 기출문제 풀이 2, 제주, 복지 in 연구소, 말말복지 김진훈
사회복지사1급 시험 응시생들을 위한 채널, 사회복지사 1급 합격을 응원합니다.
복지 in 연구소 채널 구독과 좋아요, 알람과 친구 맺기를 통해 소통할 수 있습니다.
38. 표본크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② 신뢰수준을 높이려면 표본의 크기도 커져야 한다.
③ 표본의 크기가 증가하면 표본오차(sampling error)도 커진다.
④ 모집단이 이질적인 경우에는 표본의 크기를 늘려야 한다.
⑤ 같은 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한다면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대표성은 커진다.
39. 질적조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본추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론적(theoretical) 표본추출 ② 집락(cluster) 표본추출
③ 눈덩이(snowball) 표본추출 ④ 극단적 사례(extreme case) 표본추출
⑤ 최대변이(maximum variation) 표본추출
40.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기존자료에 의존하기 때문에 연구의 범위가 무제한적이다.
ㄴ. 선정편향(selection bias)이 발생할 수 있다.
ㄷ. 연구대상자의 반응성을 배제할 수 있다.
ㄹ. 기존자료를 활용하는 질적조사이기 때문에 가설검증은 필요하지 않다.
① ㄴ ② ㄱ, ㄴ ③ ㄱ, ㄹ ④ ㄷ, ㄹ ⑤ ㄱ, ㄴ, ㄹ
41. 외부사건(history)을 통제할 수 있는 실험설계를 모두 고른 것은?
ㄱ. 솔로몬 4집단 설계(Solomon four-group design)
ㄴ.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ㄷ. 단일집단 사후검사 설계(one-group posttest-only design)
ㄹ.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posttest-only control group design)
① ㄹ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42. 단일사례설계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ABCD설계는 여러 개의 개입효과를 개별적으로 증명하기 위한 설계이다.
② AB설계는 외부요인을 충분히 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유형의 문제에 적용가능하다.
③ 복수기초선설계는 기초선 단계 이후 여러 개의 다른 개입방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한다.
④ ABAB설계는 외부요인을 통제할 수 있어 개입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⑤ 평균비교는 기초선이 불안정할 때 기초선의 변화의 폭과 기울기까지 고려하여 결과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43. 외적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옳은 것은?
① 실험대상의 탈락 ② 외부사건(history) ③ 통계적 회귀
④ 개입의 확산 또는 모방 ⑤ 연구 참여자의 반응성
44. 다음에서 설명하는 근거이론의 분석방법은?
수집된 자료에서 나타난 범주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범주들을 특정한 구조적 틀에 맞추어 연결하는 과정이다. 중심현상을 설명하는 전략들, 전략을 형성하는 맥락과 중재조건, 그리고 전략을 수행한 결과를 설정하여 찾아내는 과정이다.
① 조건 매트릭스 ② 개방코딩 ③ 축코딩
④ 괄호치기 ⑤ 선택코딩
45. 다음 사례에서 설명하는 표본추출방법은?
사회복지사들의 감정노동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은 전국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연령(30세 미만, 30세 이상 50세 미만, 50세 이상)을 고려하여 연령 집단별 각각 100명씩 총 300명을 임의 추출하였다.
① 비례 층화 표본추출 ② 할당 표본추출 ③ 체계적 표본추출
④ 눈덩이 표본추출 ⑤ 집락 표본추출
46. 질적조사의 엄격성(rigor)을 높이는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장기간 관찰 ㄴ. 표준화된 척도의 사용
ㄷ. 부정적 사례(negative cases)분석 ㄹ. 다각화(triangulation)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ㄱ, ㄴ, ㄷ, ㄹ
47. 초점집단(focus group) 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집단을 활용한 자료수집방법이다.
② 익명의 전문가들을 패널로 활용한다.
③ 욕구조사에서 활용된다.
④ 직접적인 자료수집 방법이다.
⑤ 연구자의 개입에 의해 편향이 발생할 수 있다.
48. 설문지 작성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개방형 질문은 미리 유형화된 응답범주들을 제시해놓은 질문 유형이다.
② 행렬식(matrix) 질문은 한 주제의 응답에 따라 부가질문을 연결해서 사용하는 질문이다.
③ 많은 정보가 필요할 경우 이중질문을 사용한다.
④ 신뢰도 측정을 위해 짝(pair)으로 된 문항들은 이어서 배치한다.
⑤ 다항선택식(multiple choice) 질문은 응답범주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도록 하는 질문이다.
49. 실험설계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다중 시계열 설계(multiple time-series design)는 통제집단을 설정하지 않는다.
②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는 검사효과를 통제하기 어렵다.
③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posttest-only control group design)는 사전검사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④ 시계열 설계(time-series design)는 검사효과와 외부사건을 통제하기 어렵다.
⑤ 정태적 집단 비교설계(static group design)는 두 집단의 본래의 차이를 확인하기 어렵다.
50. 서베이(survey) 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전화조사는 무작위 표본추출이 가능하다.
ㄴ. 우편조사는 심층규명이 쉽다.
ㄷ. 배포조사는 응답 환경을 통제하기 쉽다.
ㄹ. 면접조사는 우편조사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든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개인후원 https://toon.at/donate/637483081684492145
블로그 _ https://blog.naver.com/rabbatry77
페이스북 _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2104104503
정순 심 : 너무너무 도움이 됩니당~ 막연한 조사론인데, 꼼꼼하게 설명해주셔서 참으로 감사드립니다^^
조영미 : 선생님 해설 강의만 다 들으면 만점 받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송형자 : 지금까지 조사론을비롯해서 기출17,18,19회 5과목 3회이상,인행사19회 3회 이상 교수님의 강의로 공부했어요~~실천론,실천기술론은 안하시니까 너무 아쉽습니다~~~아무튼 열정 넘치게 강의하신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꼭 합격으로 보답해 드리겠습니다~~~
김현진 : 오랫만에 공부 하려니 너무 적응이 힘드네요. 좋은 강의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영 : 다시 새로운 마음으로 설명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1 지방직 9급 해설강의] 공무원사회복지학 기출문제 분석하고 사회복지직공무원 시험 대비하자! | 어대훈 사회복지학 | 박문각공무원
올해 기출문제가 내년 예상문제다!
2021 지방직 9급 해설강의
공무원사회복지학 기출문제 확실하게 분석하자!
사회복지학 어대훈 교수님의 지방직 해설강의입니다.
사회복지직공무원 시험 준비하신 수험생들 고생하셨습니다.
#공무원해설강의 #9급지방직해설강의 #2021지방직해설강의
▼합격예측 정확도 100%! ▼
6월5일 합격결과 지금 예측해드림!
https://bit.ly/3uSetk5
박문각공무원 : ▼합격예측 정확도 100%! ▼
6월5일 합격결과 지금 예측해드림!
https://bit.ly/3uSetk5
제7광구 : 이번 2021 서울시 사복 조정점수 아시는분?..
90 85 80 이중에 아시면 좀 알려주셔요~~~~ㅠㅠ
박문각공무원 : 안녕하세요! 서울시 사복 조정점수 자료를 가지고 있는, 어대훈 교수님의 공식카페 주소를 아래 남겨드립니다. 아래 카페에서 질문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cafe.daum.net/firstwelfare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