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열재온돌이
페이지 정보
본문
INSULATION EXECUTION_신촌동 주택 단열시공1-온돌이10T
본래 열반사 단열재를 시공할 때는 접착면이 있는 부위를 벽에 빈틈없이 잘 붙인 후 그위에 다루끼상(한치각)을 450(석고)혹은 407(합판)간격으로상을 대줍니다. 혹은 상을 미리 댄 후 그 사이를 열반사 단열재로 끼워 넣기도합니다. 이 경우는 그만큼 기밀하게 단열재를 채워넣어야 하는 번거러움은 있습니다. 상을 고정시킬 때는 ST38-45로 박으면 되구요. 군데군데 칼브럭으로 고정을 시켜줘야합니다. 그 위에 석고나 합판을 쳐서 공간층을 형성시켜줘야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가 있습니다. 뭐든 동전의 양면성이 있듯이 정석대로 하면 그만큼 실내공간이 좁아지는 희생을 감안해야합니다. 이번 현장도 본래는 다루끼상을 407각으로 댄 후 합판을 치는게 사실상 맞습니다. 하지만 조금이라고 실내공간이 좁아지는 것을 원하지 않는 주인의 요구에 단열재 위에 곧바로 25미리 콘크리트 못으로 합판을 치게 되었습니다. 이방법은 야매이긴 하지만 흔히들 쓰는 방법입니다. 그렇다고 단열효과가 떨어지느냐. 그것도 아닙니다. 온돌이 위에 왜 실리콘을 바르느냐. 비웃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거기에 실리콘 바르지 많으면 후에 반드시 합판이 덜 뜨게 됩니다.
만소유 : 최근 시골집 단열작업에 관심이 생겨서 열심히 나름 공부중입니다. 열반사단열재는 반사판이 공기층을 형성해야 반사단열 역할을 한다고 하던데 각재로 공기층을 만들지않고 합판을 바로 덧붙이면 반사단열지 역할은 하나요? 그리고 연결부위는 은박이던 금박이던 반사테이프를 붙여야 하지 않을까요?
정중히 부탁드리지만 모르면 모른다고 하고 공사 하지마세요. 아니면 배우시고 하던지....
맘마 : 단열공사 생각처럼 쉽지 않습니다 ^^::
주코짱 : ㄱ,러면 열반사단열재위에 단열벽지바로붙여도 되나요?
Hyborian Adventure : 2:45 벽지제거 아주 칭찬해~
마스타 : 단열은 내부보다 외부시공이 훨씬 더 좋아요. 열반사는 외부에 하는건데.우리나라는 전문가가 없다. 다 어깨너머로 배우니,심각하네요.
INSULATION EXECUTION_신촌동 주택 단열시공3-온돌이10T
본래 열반사 단열재를 시공할 때는 접착면이 있는 부위를 벽에 빈틈없이 잘 붙인 후 그위에 다루끼상(한치각)을 450(석고)혹은 407(합판)간격으로상을 대줍니다. 혹은 상을 미리 댄 후 그 사이를 열반사 단열재로 끼워 넣기도합니다. 이 경우는 그만큼 기밀하게 단열재를 채워넣어야 하는 번거러움은 있습니다. 상을 고정시킬 때는 ST38-45로 박으면 되구요. 군데군데 칼브럭으로 고정을 시켜줘야합니다. 그 위에 석고나 합판을 쳐서 공간층을 형성시켜줘야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가 있습니다. 뭐든 동전의 양면성이 있듯이 정석대로 하면 그만큼 실내공간이 좁아지는 희생을 감안해야합니다. 이번 현장도 본래는 다루끼상을 407각으로 댄 후 합판을 치는게 사실상 맞습니다. 하지만 조금이라고 실내공간이 좁아지는 것을 원하지 않는 주인의 요구에 단열재 위에 곧바로 25미리 콘크리트 못으로 합판을 치게 되었습니다. 이방법은 야매이긴 하지만 흔히들 쓰는 방법입니다. 그렇다고 단열효과가 떨어지느냐. 그것도 아닙니다. 온돌이 위에 왜 실리콘을 바르느냐. 비웃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거기에 실리콘 바르지 많으면 후에 반드시 합판이 덜 뜨게 됩니다.
김경자 : 사장님은 불가능이란 없군요.오늘은 단열시공을 이런 공법으로 하네요! 헌집 수리가 더 힘들고 먼지도 날리는데 마스크 꼭 쓰고 하세요. 구경 잘하고 갑니다. 수고하세요...........
성동길 : 인코너쪽엔 말아서 넘겨야되는거 아닌가요!
Chals Han : 온돌이가 시멘트벽 위에도 잘 붙네요..
타카가 벽을 못뚫는지 알았는데 그것도 아니고..
하여간 꼼꼼하시네요..
근데 배th님 욕실리모델링 전문 아니세요?
으악약자층을도와요 : 사장님 저 좀 직원채용해주셍 면접보시구요
BATH MASTER : 감사합니다. 명절 잘 보내시고 건강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단열재 #5. 완벽하게 잘못알고 있는 2가지(열반사단열재, 수성연질폼)
열반사단열재와 수성연질폼에대한 잘못 알려진 상식
우민식 : 소장님 최근에 채널 알게 되어서 시간 날때 마다 지난 동영상들 찾아서 듣고 있습니다. 저도 현장에서 관리직으로 생활중입니다. 배울점이 많아서 차근차근 기초 부터 다시 하려 합니다. 소중한 정보와 자료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honsu Park : 정말 건축 전문가의 포스를 느낄수 있는 명쾌한 설명입니다...
열반사단열재에 대한 궁굼증이 있었는데... 단번에 해결되었습니다...ㅎ
윤튜브 : 오랫만에 올라온 좋은 컨텐츠 잘 봤습니다. 요즘 수성연질폼 얘기가 자주 들려 궁금했는데, 시의적절하게 잘 강의해주셔서 고맙습니다.
한영욱 : 역시 소장님.. 아무리 인테리어 경력 많고 업체에서 경험, 경험 이야기해도 데이터로 보는게 확실하겠죠. 역시 대형 건설사에서 안쓰면 안쓰는 이유가 있네요!
cast P : 잘 보고 있습니다. 혹시 천장공사에 대해서도 영상 만들어 주실 수 있을까요? 흔치않은 공사지만 과하게 기울어진 집들도 눈에 띄어서 너무 궁금하네요.
본래 열반사 단열재를 시공할 때는 접착면이 있는 부위를 벽에 빈틈없이 잘 붙인 후 그위에 다루끼상(한치각)을 450(석고)혹은 407(합판)간격으로상을 대줍니다. 혹은 상을 미리 댄 후 그 사이를 열반사 단열재로 끼워 넣기도합니다. 이 경우는 그만큼 기밀하게 단열재를 채워넣어야 하는 번거러움은 있습니다. 상을 고정시킬 때는 ST38-45로 박으면 되구요. 군데군데 칼브럭으로 고정을 시켜줘야합니다. 그 위에 석고나 합판을 쳐서 공간층을 형성시켜줘야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가 있습니다. 뭐든 동전의 양면성이 있듯이 정석대로 하면 그만큼 실내공간이 좁아지는 희생을 감안해야합니다. 이번 현장도 본래는 다루끼상을 407각으로 댄 후 합판을 치는게 사실상 맞습니다. 하지만 조금이라고 실내공간이 좁아지는 것을 원하지 않는 주인의 요구에 단열재 위에 곧바로 25미리 콘크리트 못으로 합판을 치게 되었습니다. 이방법은 야매이긴 하지만 흔히들 쓰는 방법입니다. 그렇다고 단열효과가 떨어지느냐. 그것도 아닙니다. 온돌이 위에 왜 실리콘을 바르느냐. 비웃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거기에 실리콘 바르지 많으면 후에 반드시 합판이 덜 뜨게 됩니다.
만소유 : 최근 시골집 단열작업에 관심이 생겨서 열심히 나름 공부중입니다. 열반사단열재는 반사판이 공기층을 형성해야 반사단열 역할을 한다고 하던데 각재로 공기층을 만들지않고 합판을 바로 덧붙이면 반사단열지 역할은 하나요? 그리고 연결부위는 은박이던 금박이던 반사테이프를 붙여야 하지 않을까요?
정중히 부탁드리지만 모르면 모른다고 하고 공사 하지마세요. 아니면 배우시고 하던지....
맘마 : 단열공사 생각처럼 쉽지 않습니다 ^^::
주코짱 : ㄱ,러면 열반사단열재위에 단열벽지바로붙여도 되나요?
Hyborian Adventure : 2:45 벽지제거 아주 칭찬해~
마스타 : 단열은 내부보다 외부시공이 훨씬 더 좋아요. 열반사는 외부에 하는건데.우리나라는 전문가가 없다. 다 어깨너머로 배우니,심각하네요.
INSULATION EXECUTION_신촌동 주택 단열시공3-온돌이10T
본래 열반사 단열재를 시공할 때는 접착면이 있는 부위를 벽에 빈틈없이 잘 붙인 후 그위에 다루끼상(한치각)을 450(석고)혹은 407(합판)간격으로상을 대줍니다. 혹은 상을 미리 댄 후 그 사이를 열반사 단열재로 끼워 넣기도합니다. 이 경우는 그만큼 기밀하게 단열재를 채워넣어야 하는 번거러움은 있습니다. 상을 고정시킬 때는 ST38-45로 박으면 되구요. 군데군데 칼브럭으로 고정을 시켜줘야합니다. 그 위에 석고나 합판을 쳐서 공간층을 형성시켜줘야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가 있습니다. 뭐든 동전의 양면성이 있듯이 정석대로 하면 그만큼 실내공간이 좁아지는 희생을 감안해야합니다. 이번 현장도 본래는 다루끼상을 407각으로 댄 후 합판을 치는게 사실상 맞습니다. 하지만 조금이라고 실내공간이 좁아지는 것을 원하지 않는 주인의 요구에 단열재 위에 곧바로 25미리 콘크리트 못으로 합판을 치게 되었습니다. 이방법은 야매이긴 하지만 흔히들 쓰는 방법입니다. 그렇다고 단열효과가 떨어지느냐. 그것도 아닙니다. 온돌이 위에 왜 실리콘을 바르느냐. 비웃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거기에 실리콘 바르지 많으면 후에 반드시 합판이 덜 뜨게 됩니다.
김경자 : 사장님은 불가능이란 없군요.오늘은 단열시공을 이런 공법으로 하네요! 헌집 수리가 더 힘들고 먼지도 날리는데 마스크 꼭 쓰고 하세요. 구경 잘하고 갑니다. 수고하세요...........
성동길 : 인코너쪽엔 말아서 넘겨야되는거 아닌가요!
Chals Han : 온돌이가 시멘트벽 위에도 잘 붙네요..
타카가 벽을 못뚫는지 알았는데 그것도 아니고..
하여간 꼼꼼하시네요..
근데 배th님 욕실리모델링 전문 아니세요?
으악약자층을도와요 : 사장님 저 좀 직원채용해주셍 면접보시구요
BATH MASTER : 감사합니다. 명절 잘 보내시고 건강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단열재 #5. 완벽하게 잘못알고 있는 2가지(열반사단열재, 수성연질폼)
열반사단열재와 수성연질폼에대한 잘못 알려진 상식
우민식 : 소장님 최근에 채널 알게 되어서 시간 날때 마다 지난 동영상들 찾아서 듣고 있습니다. 저도 현장에서 관리직으로 생활중입니다. 배울점이 많아서 차근차근 기초 부터 다시 하려 합니다. 소중한 정보와 자료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honsu Park : 정말 건축 전문가의 포스를 느낄수 있는 명쾌한 설명입니다...
열반사단열재에 대한 궁굼증이 있었는데... 단번에 해결되었습니다...ㅎ
윤튜브 : 오랫만에 올라온 좋은 컨텐츠 잘 봤습니다. 요즘 수성연질폼 얘기가 자주 들려 궁금했는데, 시의적절하게 잘 강의해주셔서 고맙습니다.
한영욱 : 역시 소장님.. 아무리 인테리어 경력 많고 업체에서 경험, 경험 이야기해도 데이터로 보는게 확실하겠죠. 역시 대형 건설사에서 안쓰면 안쓰는 이유가 있네요!
cast P : 잘 보고 있습니다. 혹시 천장공사에 대해서도 영상 만들어 주실 수 있을까요? 흔치않은 공사지만 과하게 기울어진 집들도 눈에 띄어서 너무 궁금하네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