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이후수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보나 조회 18회 작성일 2022-05-03 23:45:46 댓글 0

본문

인서울 대학 수시 vs. 정시

Instagram dear.m.y

여러분 안녕하세요!!
다들 중간고사 보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ㅠㅠ

시험 끝난 기념으로 우선 조금은 놀고 쉬시고!!ㅋㅋㅋ
다시 5월부터 목표설정을 하는 게 좋을 것 같아 수시vs. 정시 라인 비교해보는 영상을 가져왔습니다.
인서울 대학을 목표로 하는 친구들은, 내가 어느 전형을 노려야 확률을 올릴 수 있는지 차분히 판단해보시길!

[타임라인]
0:00 시작
0:44 내신 2~3 수시(자연)
2:44 내신 2~3 수시(인문)
4:02 인서울 대학 정시 합격선(자연)
7:07 인서울 대학 정시 합격선(인문)
9:38 목표 설정하기

#수시 #정시 #2등급 #3등급 #인서울
신이나 : 정시 준비하시는 문과분들 수학 잘 챙기시는 거 강추드립니당!
2~3문제 정도 있는 킬러문제 빼고는 다 풀만한 문제들이고 작년같은 경우는 킬러문제조차 난이도가 어렵지 않았어요.. 확통 기준 2~3문제 선에서 막아주면 메리트 엄청 클 거에요!
이송하 : 민영쌤 이번 영상 너무 잘 봤어요! 뜬구름만 잡는 느낌이었는데 덕분에 더 구체적으로 목표를 세울 수 있었어요..❤ 혹시 인문 정시에서 이화여대는 어느 학교와 함께 보면 될까요?
ㅎ0ㅎ : 민영쌤 과기원(카이스트 포스텍 유니스트 지스트 등..) 컨텐츠도 보고 싶어요 !! 수시 때 내신 산출 반영되는 과목이나 다른 학교들이랑 다른 점 등..
김태민1 : 민영쌤 영상 항상 잘보고 있는 학생입니다
내신이 2.1이였는데 개인 사정으로 자퇴를 하고 정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원래 갈 수 있었던 대학라인 만큼은 가고 싶은데 수학이 굉장히 실력이 안좋습니다 ㅠㅠ 어떻게든 하면 3컷은 맞을 수 있을 것 같은데 다행히 국어가 잘 나와서요 국어1컷 수학3컷 영어2등급 탐구 1등급,2등급이면 어느정도까지 가능할까요?
갹갹 : 호...옥시 간호학과도 대학별 수시랑 정시 점수로 얘기해주실 수 있나요..???
민영쌤 바쁘시겠지만 혹시 괜찮으시다면 부탁드려요ㅠㅠㅠ
열심히 찾아보긴 했는데 잘 모르겠어서요ㅜ
정시 입결도 다른 과랑 좀 많이 다른가요??

현재 고2 대입 양극화...수도권은 수능 비중↑, 비수도권은 학생부 위주 / YTN

[앵커]
현재 고등학교 2학년이 대학에 갈 때는 수도권 대학은 수능 위주 선발이, 비수도권 대학은 학생부 위주 선발이 주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학령인구가 감소하면서 비수도권 지방대학은 선발 인원을 줄였음에도 여전히 신입생을 채우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입니다.

신현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현재 고등학교 2학년생이 대학에 가는 2024학년도 대입 모집 인원은 34만 4천여 명.

내년보다 4,800명 넘게 줄어듭니다.

학령인구 감소로 비수도권 대학이 정원을 5천 명 넘게 줄인 탓입니다.

정시 비중은 21%, 수시 비중이 79%로 수시가 4배 가까이 많지만, 실상은 좀 다릅니다.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도권 대학은 정시 비율이 35.6%로 적지 않고,

주요 16개 대학은 정시 비율이 해마다 상승해 40%를 넘었습니다.

비수도권 대학은 정시로 11.9%만 뽑아 역대 최저입니다.

나머지는 모두 수시, 그것도 대부분 내신 위주의 학생부 교과 전형으로 선발합니다.

양극화 현상이 더 뚜렷해진 겁니다.

[김병진 /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 : 비수도권은 수시중심, 수도권 지역은 전형별로 고르게 균형감을 유지하는 그래서 둘사이에 격차가 커졌다는 것이 전년도 대비 2023학년도 대비 더 극명하게 벌어진…]

하지만 수시에서도 비수도권 대학은 학생선발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에도 수시 경쟁률이 서울 지역은 16대 1, 비수도권은 6대 1로 크게 차이가 났기 때문입니다.

[임성호 / 종로학원 대표 : 지난해에도 지방권 수시 경쟁률은 사실 평균적으로 미달 상황인데, 여기에다 수시 모집 정원을 더 늘렸기 때문에 수시 선발이 사실은 지난해보다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입시 전문가들은 주요대의 정시 비중이 확대된 만큼 상위권 수험생은 수능과 내신에 골고루 집중하고, 중위권 수험생은 내신에 보다 관심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다만 비수도권의 의약학 계열은 지역인재 선발 인원이 늘면서 수시에서 지방권 소재 학생들에게 기회가 될 전망입니다.

YTN 신현준입니다.






YTN 신현준 (shinh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205020507167159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u0026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석 : 수도권은 어차피 내신 안나오니까 정시에 올인하고, 지방은 어차피 수능 안나오니까 학생부에 올인하고... 교실에는 아예 수업을 듣지 않는 학생과 학생부노린 열심히 듣는 학생 둘라 갈라짐... 학교가보면 분위기 어쩔이다...
Lighka : 댓글들 보니 사람들이 화가 많이 나 있네요. 다들 수험생이실 텐데 그 나이부터 서로 갈라져서 싸우고 있다는 사실이 정말로 안타깝습니다.
응응 : 솔찍히 수시는 내신 수능은 성적인데
좀 과장되게 예를들면
내신은 학교 내 상대평가라
어느학교에선 모의고사 1등급 맞는 학생이
다른학교에서 모의고사 5-6등급 맞는 학생하고 같은 점수 받는데

교육열이 과한 수도권에서 수시를 선호하긴 힘들죠

그리고 추가로 내신에는 선생님들의 주관이 10퍼인가 들어가지 않았나요?
한두명도 아닌 선생님들한테도 잘보이고 공부도 잘하려면 스트레스가 얼마나 큰데
cho : 수시:누가누가 더 잘 외우나 판단
정시:누가누가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지 판단
차건 : 대학 와서 느낀건데
학교 어딘지 sns에 자랑하고 애교심이 넘치면 수시고
반수 마렵다 입에 달고 살면 정시더라

[05~03년생 필독] 수시가 대체 뭔지 제대로 알아보자 | 입시덕후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수시를 알고 나를 알면
대학에 갈 수 있다
후~

#수시 #대학 #수능

영상에 PIXTA 출처의 이미지가 사용되었습니다.

입시덕후 굿즈는 http://bit.ly/store_ipdk 여기서

!유니브의 다른 채널들

연고티비 : http://bit.ly/yonkotv
입시덕후 : http://bit.ly/Ipsiduck
고등개미 : https://bit.ly/Go_Ant
유니브클래스 : http://bit.ly/Younivclass
입시덕후 팬카페_유니버씨티 : http://bit.ly/cafe_ipsiduckhoo

!입시덕후에게 협업/광고/제휴 문의
- contact@youniv.video

ⓒ YOUNIV. Corp ALL RIGHTS RESERVED 모든 영상의 저작권은 ㈜유니브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엄격히 금지합니다.
입시덕후 : 또 알고싶은 정보 있으면
댓글 ㄱㄱ
형이 다 알랴줌

후~
밥쿠우 : 유튭 그만보고 공부 하는것도 대학 가는 좋은 방법입니다
연준러버 : 주제 추천! 아직 진로가 없는데 세특 써야하거나 동아리를 골라야할 때 뭘 선택하면 나중에 진로가 생겼을 때 도움이 될지 알려주세요! 글구 세특 활동 추천해주세요..세특 도저히 뭐로 채워야할지 감이 안와요ㅠㅠ
고해진 : 세특 체운다고 수행평가 후속활동 준비하디가 쉬려고 유튜브 들어온 고1이 이 영상을 보고 세특의 중요성을 한번 더 느꼈죠.... 고등학교 들어와서부터 세특 채우겠다고 별거 다 하고 있어서 의욕이 사라지려던 참인데 한번 더 상기시켜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ㅎㅎ
dd : 아직은 중학생이지만 꿀팁 잘 보고 갑니다요!

... 

#수능이후수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354건 771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