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마감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천상여자 조회 29회 작성일 2022-06-22 23:10:44 댓글 0

본문

주택 외장재의 종류

집의 아름다움을 결정짓는 외장재 선택

전원생활 카페 https://cafe.naver.com/sunnyville
Anda :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지붕재인 스페니쉬칼라강판과 트라일론의 내구성, 가격, 시공법 등등도 한번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슬기로운 담양생활 - 슬담부부 : 주택외장재종류도 엄청나게 많군요 ㅎㅎㅎㅎ 전문가가 아니라 이해는 잘안되지만
혹 나중에 집을 또 리모델링 할 기회가 생긴다면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굿감상했습니다 ^^
seong jung kim : 외벽 모델링을 알아보고있는데.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스타코와 미장스톤 중에서 대체적인 시공비는 비슷한가요?
북진통일freedom : 벽돌벽과 세라믹 사이딩 종류와 지붕재중 징크와 서양기와의 종류와 장단점들을 별도로 영상제작 부탁드립니다...
라이프이즈굿 : 코리아빌드 같은 곳에 많이 다니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전원주택 살면서 브이로그도 하다보니 이런 건축 정보도 많이 알게 되네요

자재 전문가가 선택한 최고의 외장재, 최악의 외장재는?

나만의 최고 최악 외장재를 뽑아보고 싶다면https://bit.ly/3ctI1Oa

이번 영상은 말씀드렸던대로 최고, 최악의 외장재를 뽑아보는 시간입니다.
나중에 저는 어떤 최고의 외장재를 가지고 건물을 지을지 행복한 고민을 하게 되더라고요!
어떤 기준으로 최고와 최악의 외장재를 뽑았을지 궁금하시죠?
집중해서 끝까지 시청해주세요.
여러분만의 베스트 외장재를 뽑는데 도움이 되실거예요.
선례의 건축이야기 : 외장재 비교를 자세히 하고 싶으시면 여기로https://bit.ly/3ctI1Oa

이번에는 외장재를 비교를 하는 시간을 가졌어요.
우리가 옷을 살 때 다양한 기준으로 비교해보고 골라서 사잖아요 건물의 옷 외장재도 마찬가지입니다.
다양한 기준으로 외장재를 비교해보세요!
그리고 여러분의 최고, 최악의 외장재를 뽑아보시고 알려주세요!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나래나루 : 유익한 영상 잘보고 갑니다 ㅎㅎ
이윤제 : 비슷하게 내장재 비교도 해주셨으면 좋겠어요 ! 그리고 과거, 현재, 미래 순서대로 어떤 건축 자재들이 쓰였는지 알아봐주셨으면 합니다 !
MyPlaus : 유익한 방송이네요
구독신청했습니다...
한가지부탁드리고싶은점은
주로 주택용에 촛점이 맞춰진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건물이나 용도로 나눠서 설명된다면 더 좋은 방송되겠네요
팅코벨 : 댓글 달아주시는 분이 선례님이신가요? 건축에 관심이 많은데,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늘 감사해요 배워가는 입장이고 같은 또래이신거 같아 함께 건축이야기 나누고도 싶네요 왠지모르는 친밀감,,

외장재 최고의 마감재. 스타코. 장단점 알아봅니다.

가성비 짱 최고의 단열재 스타코 마감. 장단점을 알고 잘 사용하면 최고의 단열재입니다.

*유선 건축 상담 : 1533-2291 / 02-718-3390
*온라인 건축 상담 : https://docs.google.com/forms/d/1xnYZH3Z6RZrjCoLMD1z9K4is6YnpCv70eB1tRBSfAqE/viewform?edit_requested=true
*실시간 건축 상담: http://pf.kakao.com/_xjXsCb

*이현욱건축가 진행현장 유튜브(광장건축사사무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DTyy-t94EXhw8d9hRdB6OA/featured
*광장건축사사무소 카페 : http://cafe.naver.com/duplexhome

#스타코#외장재#마감
진하늘 : 1988년에 건설된기존의 붉은 벽돌에 1995년에 타일 시공을 했는데 그것 마저 오래 되어 타일이 군데 군데 떨어졌습니다. 이경우에도 스타코 가 가능합니까? 또 드라이비트와 스타코는 다른 가요? 다르다면 드라이비트 시공은 어떤가요?
woo : 우연히 연관 추천 영상에 떠서 보기 시작한 이현욱 선생님의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일반인들도 알아듣기 쉽게 쉬운 용어와 부가적인 사진자료를 적절히 활용해 설명해 주셔서 매우 유용합니다. 좋은영상 감사드립니다.
알딴콘 :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요즘 스타코 시공비는 대략 어느정도 되나요? 철콘 주택 벽돌이나 세라믹 사이딩에 비해 어느정도 가성비가 좋은지 궁금합니다.
Ksun : EPS를 구조체에 접착시키고 화스너를 박는 시공은 사실 RC조를 위한 외단열법으로 개발된거죠. 저는 목조주택에 이 공법이 효과적이라 생각하진 않습니다. 레인스크린을 만든다면 이미 외기 투입으로 보기때문에, 외단열재는 이미 기능을 상실했다 보구요. 드레인랩 방식이라도 그 드레인 및 통기 효과 또한 그리 크지 않을 듯 합니다. 중요한 건 EPS의 고정인데, 원래 EPS 외단열은 외벽에 밀착해야 하는게 가장 중요한데....이를 위해 EPS를 밀착시키는 접착제가 주 고정재이며, 화스너는 풍압에 대비한 보조재로 알고 있습니다. 밀착 시공이 안되고, 화스너 고정에만 의존하는 형태인 목조주택 외단열 스타코 방식엔 이걸 제대로 구현하기가 힘들어요.

근본적인 이야기지만 목조주택에 유기단열재를 쓴다는 거 자체도....어울리지 않다고 봅니다.
BEING : 콘크리트 벽에 스타코로 마감할 때 반드시 외단열과 함께 해야 하나요? (스티로폼 없이 바로 스타코를 하면 안되나요?)

... 

#외부마감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354건 730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