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택배왔어요 조회 20회 작성일 2022-07-18 11:24:24 댓글 0

본문

불기와 서기는 어떻게 다른가?

팔만사천가지 불교 이야기와 함께 하는 佛說입니다.

코로나-19로 얼룩진 서기 2020년도 이제 저물고 있습니다.
아마도 세계적인 대재앙으로 기록될 코로나-19는
현대사 전체를 가르는 분수령이 되리라 여겨집니다.

이 감염병은 본래 2019년 말쯤 처음 발생했다는 뜻에서
코로나-19란 공식적인 이름이 붙었다고 하는데요
이런 경우처럼 서기는 이 시대의 일반적인 연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서기는 서력기원의 줄임말이며
예수님이 태어나신 해를 원년으로 삼고 있습니다.
처음엔 서양에서부터 쓰이다가 차츰 범위를 넓혀
오늘날엔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국가나 종교에 따라 해당연도를 나타내는
연호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의 불자들이라면 주로 사찰에서 만드는
달력을 보게 될 텐데요, 거기엔 서기 말고도
단기와 불기도 함께 인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선 불기에 대해 살펴볼 텐데요, 불기와 서기의
차이점과 불기가 제정된 내력 등을 알아볼 것입니다.

먼저 불기는 서기보다 544년이 앞서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역사로 비유하면 조선 초기와 현재 대한민국
만큼이나 큰 세월의 차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론 서기가 예수님이 태어나신 해를 원년으로 삼았다면
불기는 부처님이 돌아가신 해를 원년으로 삼고 있다는 점입니다.
만약 2021년 부처님오신날 봉축행사를 앞두고 길거리에
“봉축 불기2565년 부처님오신날”과 같은 플랭카드가 걸렸다고
가정해볼까요? 이때 불기의 내력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올해가 부처님이 태어나신 지
2565년째 되는 해인가보다’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오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기란 불멸기원의 줄임말이란 사실에서 알 수 있듯
부처님이 돌아가신 해를 기원으로 삼는 연호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부처님의 생몰연대에 관해선 정확한 근거가
있는 게 아닙니다. 다만 역사상 처음으로 인도 대륙을
통일했고 불교를 크게 중흥시킨 아쇼카 대왕의 생몰연대나
재위 기간과 비교해 부처님의 생몰연대를 추론하는 게
현재로선 유력한 근거가 되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과거엔 부처님이 출생하신
연도를 지역이나 국가마다 서로 다르게
표기해왔습니다.

그 뒤 불기가 공식적으로 정해지고 오늘날처럼
통용되기 시작한 것은 1956년 네팔에서
열렸던 제4차 세계불교도대회 이후의 일입니다.
이 대회에 참석한 각국의 불교대표들은 부처님이
서기전 624년에 태어나셔서 서기전 544년에
열반하신 것으로 공식적으로 정리했다고 합니다.
이와 함께 부처님이 돌아가신 해를 불기의
원년으로 정했던 것이죠.

역사적으로 볼 때 어떤 나라에서나 성직자들이 연호를 정할 때는
나라를 처음 세운 해라든지 임금이 즉위한 해, 예수와 같은 성인이
태어난 해 등을 기준으로 삼는 게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부처님이 돌아가신 해를 연호의 기준으로
정한 불기는 매우 독특한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제4차 세계불교도대회에 참석한 각국
불교대표들은 어째서 부처님이 돌아가신 해를 불기의
원년으로 삼았던 것일까요?
그들은 부처님 육신의 소멸을 단순히 한 성인의 죽음으로
여긴 게 아니라 부처님의 깨달음과 진리가 본격적으로 전파되는
출발점으로 보고 그 해를 불기의 원년으로 정했다고 합니다.
마치 졸업이 어떤 과정의 끝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과정의
시작이라는 의미를 가진 것과 같습니다.

이런 결정에 대해 부처님이 출가한 뒤 큰 깨달음을 얻으신 35세
되던 해를 불기의 원년으로 삼았으면 더욱 좋았을 것이란
의견도 있습니다.
불교란 모든 사람들이 진리를 깨닫고 부처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을 강조하는 신앙체계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서기와 불기에 어떤 차이가 있으며 그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BTN특별생방송] 불기 2566년 부처님 오신 날 봉축 법요식 : 2022년 5월 8일 오전 10시 조계사 #봉축법요식

'불기2566(2022)년 부처님 오신 날 봉축 법요식'이 5월 8일 (일) 오전 10시 서울 조계사를 비롯한 전국 사찰에서 일제히 봉행됩니다. 조계사에서 봉행되는 봉축법요식은 조계종 총무원장 원행스님을 비롯해 사부대중 1만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봉행될 예정입니다. 기획실장 법원스님의 사회로 관불 및 마정수기, 조계사 주지 지현스님 축원, 총무원장 원행스님 봉축사, 종정예하 법어, 미래세대 발원문 등으로 진행됩니다. 또한 불법홍포와 불교발전을 위해 노력해온 불자들을 격려하는 ‘불자대상’ 시상식도 열립니다.

BTN불교TV는 봉축 법요식을 오전 9시 55분부터 TV뿐만 아니라 인터넷 모바일 앱과 유튜브로 생중계합니다.

불기2566년 부처님오신날 봉축 법요식 식순
- 도량결계
- 육법공양
- 명고/명종
- 개회
- 삼귀의례
- 반야심경
- 관불
- 마정수기
- 헌촉, 헌향, 헌다, 헌화
- 축원
- 불자대상 시상 (최민정, 함종한, 구자욱, 박대섭, 스롱피아비)
- 봉축사
- 축사
- 법어 (종정예하)
- 발원문 (이소원 학생)
- 봉축가
- 헌화
- 사홍서원
- 폐회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 #조계사


●BTN 유튜브를 후원해주세요.
https://btn.co.kr/youtube/cms.html (링크 누르고 가입 신청)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3k5nt10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이이 : 부처님 오신날 두손모아 감사인사 올립니다 석가모니부처님 오신날 맞이하여 오늘도 일체중생이 모두 행복하여 지이다 나무 석가모니불 석가모니불 나무시아본사 석가모니불 진여심 합장
별님 : 부처님 오신날을 경축합니다. ❤
Fine Big : 시방세계 항상계신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시방세계 항상계신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시방세계 항상계신 스님네께 귀의합니다.

시방세계 항상계신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시방세계 항상계신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시방세계 항상계신 스님네께 귀의합니다.

시방세계 항상계신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시방세계 항상계신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시방세계 항상계신 스님네께 귀의합니다.
아미타 : 불기 2566년 부처님 오신 날 봉축드림니다
부처님의 자비가 온 누리에 가득하길 기원드림니다!
서자월 : 부처님 오신 날
봉 축드립니다
온누리에 부처님 가피가 함께 하시길 기원합니다
석가모니불
석가모니불
석가모니불

불기2566년 7월 17일(일) 백중기도 3재법문_우진스님(통도사 서축암 감원)

불기2566년 7월 17일(일) 백중기도 3재법문_우진스님(통도사 서축암 감원)
정순옥 : 부처님께귀하니다 불법승 삼보에귀의합니다 스님께 귀의합니다 일체 영가 극락왕생 발원 드립니다
남작 : 해마다 백중기도 올리고 나면 돈이 생겨요
정말 신기함

... 

#불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354건 708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