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두뇌훔치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뽀또샵 조회 12회 작성일 2022-10-25 00:19:49 댓글 0

본문

[선공개] ′천재′ 아인슈타인 성적 체크(!) 몰랐던 천재 이야기 차이나는 클라스(jtbclecture) 111회

고전역학의 시간과 공간의 절대성을 무너뜨리고
새로운 빛의 세계를 연 과학자
천재의 대명사,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에 대한 오해
왜 아인슈타인이 ′낙제생′이라 불렸을까?

이상욱 교수 클라스 ′우리가 몰랐던 ′천재′이야기′
6월 5일 수요일 밤 9시 30분 〈차이나는 클라스〉 본방사수!
세실리아세실리아 : 교수님의 유익한 강의에 감사합니다. 정말 멋지세요. 천재 과학자이자 철학자는 바로 이상욱 교수님.  누군가 강의 전편을 유튜브에 보내주시면 감사하겠네요.
Studio Garrison : A : 과학자의 대명사의 뒷이야기
불불타는방맹이 : 오 일반한국애들과는 다르다
司诗㢽 : 멍청한 사람들 않혀놓고 설명하는 전문가는 머리 아프겠다
박성원 : 아인슈타인은 친구들의 이론을 너무 많이 베껴서 친구들이 피해 다닐 정도였다.
그가 상대성이론을 만드는데 그는 머리를 많이 쓸 필요가 없었다.
진실은 이렇게 나타난다:그는 말한다.인간이 평생 10%의 두뇌 정도 밖에 못 쓴다고.저는 그의
말이'내가 상대성이론을 만드는데 나의 머리는 10%정도 밖에 쓰지 못 했다'.라고 풀이가 됩니다.
오히려 인간은 머리를 너무 많이 써서 문제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제대로 된 뛰어난 과학자들은 아인슈타인을 천재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천재는 있습니다.베토벤,카프카,스티브 잡스가 존경한 앨런 튜링,뉴튼,괴델,니체,장자 그리고
고전경제학을 뒤집은 '게임이론'을 만든 존 내쉬.
더 많지만 다음에 쓸게요.

병원에 있던 아인슈타인의 뇌를... 유가족도 모르게 훔친 남자 (지금은 어디에?)

놀라운 실화...
한 사람의 머릿속에서 일어난 과학과 도덕 사이의 충돌...


필라델피아 무터 박물관에 대해서 한 번 찾아보는 것도 흥미로우실 것 같아요. (심약자는 안 보는 걸 추천드리구요) 다소 징그럽게 느껴지는 의학 표본들이 많이 있어요ㄷ
김재민 : 중학교때 수학선생님이 미국에 가면 박물관에 아인슈타인 뇌를 볼수있게 슬라이스 해놨다고 그랬는데 그땐 본인이 기증한건줄 알았더니 범죄였네;
Your Museum : 저 뇌 훔친 박사도 어지간히 천재일텐데;;
그런 사람도 동경할만큼 아인슈타인은 천재중에 천재였다 이거임
Hirs Türen : 그의 논문과 저서는
누구나 존경하고 질책하죠.

하지만 저렇게까지 두뇌를 분해 하면서까지
연구 하는걸 보면 우리 인간은 얼마나 호기심이 강한지 다시 한번 생각해봅니다.
Justin S. : 모의고사마다 철수와 영희를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우주선에 태우고 수성이 세차운동을 하게하고 금속에 led에 빛을 쬐게하는 엄청난 천재죠
On-line Biker : 저게 어떻게 알려졌냐 하면 골때림... 저 의사의 초딩 자식이 수업시간에 선생에게 자기집에 아인슈타인 뇌가 있다고 자랑질 하다 밝혀짐... ㄷ ㄷ ㄷ

만약 뇌를 100% 사용한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4분 삭제) l 아인슈타인처럼 될 수 있을까?

#아인슈타인 #뇌창 #천재
안녕하세요 만약 유튜버 고구마머리입니다!
오랜만에 찾아뵙네요! 자주 올린다고 말만 하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바빠지네요... 흑흑

'만약'이라는 말에는 큰 힘이 담겨있습니다. '만약'은 인류역사에 있어서 수많은 이론과 발견의 불을 붙인 불꽃입니다. 인간이 밝혀낸 대부분의 것들은 “만약 그랬다면 어떻게 될까?”라고 스스로 물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들이었습니다.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들을 '만약'을 통해서 새로운 관점을 얻고 상상력을 높여보는건 어떨까요?
양현서 : 생각해보면 인간의 뇌를 연구하는게 인간의 뇌라서 다 알지는 못할듯
정법진 : 며칠전에 어떤 의사분이 했던 얘기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네요.
인간이 생각이라는 것을 할 때는 뇌의 모든 세포를 사용하기 때문에
10%만 사용한다는 건 잘못 알려진 사실이라고 했었죠.
White Maple : 인공지능 공부하면서 느끼는 점은... 신경망을 잘 써도 가중치에 오류가 있으면 인공지능이 뻑남... 아마 반복학습이 이런거 인듯 뇌의 몇%를 쓰냐보다 가중치에 오류가 얼마나 적은가(얼마나 반복학습 했는가)가 중요할듯
성이름 : 진짜 인간은 특이하고 신비로운 생물같아요 특히 우주도요 도대체 어떤세상일까요
손주연 : 고구마머리님!!다음에는 "만약 세상에 숫자가 없다면?"해주세용~~

... 

#아인슈타인두뇌훔치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354건 625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