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학의이념엄밀한학으로서의철학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톰과제리 조회 7회 작성일 2025-03-22 14:34:01 댓글 0

본문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내용 구성

1. 현상학의 기본 개념(00:00-02:28)
2. 실증주의, 엄밀성, 사태 자체(02:29-06:03)
3. 현상학적 환원, 초월론적 환원, 형상적 환원(06:04-10:01)

참고

후설, 에드문트., 『엄밀한 학문으로서의 철학』, 이종훈 옮김,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4 [1911].
____________., 『순수현상학과 철학적 현상학의 이념들』, 제1권, 이종훈 옮김, 한길사, 2009 [1913].
____________., 『유럽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 이종훈 옮김, 한길사, 1997 [1936].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4.
테브나즈, 피에르.,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김동규 옮김, 그린비, 2011.
Cunningham, Suzanne., Language and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s of Edmund Husserl, The Hague: Martinus Nijhoff, 1976.

스크립트

오징어의 철학 노트: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https://blog.naver.com/1019milk/221970237933

더 알아보기

현상학적 환원들: 현상학적 환원, 초월론적 환원, 형상적 환원
https://blog.naver.com/1019milk/220751864718

블로그

잡념과 공상
https://blog.naver.com/1019milk

... 

#현상학의이념엄밀한학으로서의철학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354건 60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