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동이 조회 10회 작성일 2023-02-10 13:45:34 댓글 0

본문

소련을 붕괴시키고 미국 보수의 역사가 되다, 레이건 대통령 일대기! | 미국사, 냉전, 소련 해체, 신자유주의, 공산주의

#레이건 #역사 #공산주의 #신자유주의 #소련 #냉전

배우 출신 대통령, 진정한 애국보수(?)가 되어 공산주의를 타도하다?
레이건 대통령 일대기! | 미국 역사, 신자유주의, 냉전, 소련

즐거움과 유익함이 가득가득
김지윤 박사가 들려주는 재미있는 이야기
구독 , 좋아요! 김지윤의 지식Play

kimjyTV@gmail.com

참고문헌

Bates, T. G. (2011). The Reagan Rhetoric: History and Memory in 1980s America (1st ed.).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Bertram, C. (2020, November 13). Ronald and Nancy Reagan’s Timeless Love Story. Biography.
https://www.biography.com/news/ronald-nancy-regan-love-story-facts

Feldstein, M. (www.dw.com). (2013, November 4). Revolutionaries. DW.COM.
https://www.dw.com/en/the-reagan-thatcher-revolution/a-16732731

Fountain, B. (2018, February 9). American crossroads: Reagan, Trump and the devil down south.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us-news/2016/mar/05/trump-reagan-nixon-republican-party-racism

Gilbert, R. (2014). The politics of presidential illness: Ronald Reagan and the Iran-Contra Scandal. Politics and the Life Sciences, 33(2), 58-76.

History.com Editors. (2021, May 17). Ronald Reagan. HISTORY.
https://www.history.com/topics/us-presidents/ronald-reagan

Jackson, B. (2010). At the Origins of Neo-Liberalism: The Free Economy and the Strong State, 1930–1947. The Historical Journal, 53(1), 129-151.

Reagan, R. (1964, October 27). A Time for Choosing Speech, October 27, 1964.
https://www.reaganlibrary.gov/reagans/ronald-reagan/time-choosing-speech-october-27-1964

Velasco, J. (2010). Neoconservatives in U.S. Foreign Policy under Ronald Reagan and George W. Bush: Voices behind the Thron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Weisberg, J. (2016, January 8). The Road to Reagandom. Slate Magazine.
https://slate.com/news-and-politics/2016/01/ronald-reagans-conservative-conversion-as-spokesman-for-general-electric-during-the-1950s.html

김봉중 (2018).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과 냉전의 종식. 미국사연구, 48, 249-280.
BUY USA : 밥 잘사주는 누나보다, 설명 잘해주는 누나가 더 좋다.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Jane Shin : 박사님 매번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상식이 쌓이고 뉴스를 이해하는 폭이 훨씬 넓어지고 있는것 같아요. 역사가 이렇게 재밌던 적은 처음이에요! 이번 영상 처럼 Alexander Hamilton, Thomas Jefferson, Nixon 대통령 등 미국의 유명한 정치인/대통령 개별 영상 제작 해주셔도 너무 유익하고 재미있을것 같습니다 ☺️ 미국의 정치인/ 대통령 일대기 시리즈로 ㅎㅎ
매번 감사합니다!
망고레몬 : 매편마다 너무 유익하고 쉽게 설명해주셔서 항상 잘 보고 있어요! UN편도 재밌게 보았는데 혹시 g4 상임이사국 진출 반대하는 커피클럽에 대해 저세히 알려주실 수 있나요? 박사님의 설명 듣고 싶어요!
TH C : 박사님의 세계가 돌아가는 식견과 깊이있는 지식에 존경을 하게 되네요.
안지훈 : A time for choosing
전쟁이냐 평화냐 파트는 진짜...
제가 가장 좋아하는 연설입니다

레이건 암살미수범 '제2인생 어렵네'…데뷔공연 줄줄이 취소 / 연합뉴스 (Yonhapnews)

레이건 암살미수범 '제2인생 어렵네'…데뷔공연 줄줄이 취소

(서울=연합뉴스) 1981년 당시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에게 총을 쐈던 존 힝클리(67), 기억하시나요?

힝클리가 41년만에 완전한 자유의 몸이 됐습니다.

그러나 대통령 저격범이었던 그에게 미국인들은 긴장을 풀지 못하고 있습니다.

가수로서 제2의 인생을 살아보려고 계획했던 콘서트가 '지역사회의 안전' 문제로 전격 취소됐다고 뉴욕타임스가 16일(현지시간) 전했습니다.

힝클리는 25세였던 그해 3월 30일 워싱턴DC 힐튼호텔 앞에서 레이건 당시 대통령을 저격했습니다. 레이건은 가슴에 총탄을 맞았지만 병원서 수술을 받고 목숨을 건졌습니다.

힝클리는 정신이상 판정으로 무죄를 선고받았고, 대신 한 정신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오다 2016년부터는 집에서 보호관찰을 받아왔습니다.

최근엔 안정적인 정신상태를 유지한다는 조건으로 모든 제약에서 풀려났습니다. 67세가 된 그는 "41년 2개월 15일, 마침내 자유다"라고 트윗을 올렸는데요.

총 대신 기타를 잡은 그는 가수를 꿈꿨습니다.

2020년부터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자작곡을 기타로 연주하는 영상을 올려 3만명의 팔로워도 모았습니다.

풀려난 힝클리가 뉴욕 브루클린의 한 호텔에서 첫 공연을 하는 계획을 세우자 전 좌석이 매진되기도 했는데요.

그러나 호텔 측은 '지역사회의 안전'을 이유로 공연을 취소하고 말았습니다.

뉴욕에 이어 시카고와 코네티컷주(州)의 공연도 취소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힝클리는 실망감을 나타내면서도 새 장소를 물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제작 : 진혜숙·정다운]
[영상 : 로이터·John Hinckley 유튜브·트위터@JohnHinckley20·트위터@didkis4life·트위터@VLuca1971·트위터@Buzzersplace]

#연합뉴스 #레이건 #대통령 #자유

◆ 연합뉴스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yonhap
◆ 연합뉴스 홈페이지→ http://www.yna.co.kr/
◆ 연합뉴스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yonhap/
◆ 연합뉴스 인스타 : https://goo.gl/UbqiQb

◆ 연합뉴스 비디오메타 채널https://www.youtube.com/channel/UCTMCrbtHU0M0SR6TuBrL4Pw
Jun tak Kim : 영상에 반복내용 없었으면
올바른 한국역사이야기 : 멀쩡한 사람을 하반신 마비시켜 영구 장애인으로 만들어 놓고,
자신은 한가하게 공연하겠다는 것은... 참으로 어이없는 현실이다.
최철순 : 이야 대통령을 쏴도 무죄판결 받은 거 보면 대통령빽도 법앞에선 무의미했네 저땐
좋은하루 : 암살미수범의 음악이 영혼에 좋은 영향을 줄것인가? 범죄자는 절대 미화할 수 없다
RedHead Shanks : 저걸 살려두네 살인미수인데;;

레이건,부시 그리고 트럼프 입에서 나온 '악(惡)' / YTN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지난 19일, UN 총회 기조연설) : 미국과 동맹을 방어해야만 한다면 우리는 북한을 '완전히 파괴하는 것' 외에 다른 선택이 없을 것입니다. '로켓맨(김정은)이' 자신과 그의 정권에 대해 자살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 UN 총회 기조연설 중 북한에 대해 언급된 말들입니다.

김정은이라고 부르는 대신 '로켓맨'이라고 칭하기도 했지요.

인권 탄압과 주민들의 굶주림, 그리고 김정남 암살까지 북한 정권의 악행을 하나하나 열거한 뒤 트럼프 대통령이 한 마지막 말은 "맞서 싸우지 않으면 악(惡)이 승리한다"였습니다.

그런데 '싸우지 않으면 악이 승리한다'라는 트럼프의 발언에 겹쳐지는 역대 미국 대통령들이 있습니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조지 부시 대통령입니다.

[로널드 레이건 / 당시 美 대통령 (1983년) : 그들(공산주의자들)은 현 세계에서 악의 중심입니다다. 저는 여러분이 미국을 군사적, 도덕적 위험에 놓이게 하는 나라들을 강력히 반대할 것을 촉구합니다. 악의 제국(소련)이 가진 공격성을 애써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미국과 소련의 냉전 시대였던 1983년.

레이건 전 대통령은 연설에서 공산주의 소련을 악의 제국(Evil Empire)으로 지칭했습니다.

"소련이 역사의 마지막 페이지를 쓰고 있다" 라고도 덧붙였습니다.

그러자 '역대 대통령 연설 중 최악'이라는 혹평도 나왔습니다.

냉전을 심화시켰다는 것이지요.

하지만 레이건 대통령은 소련을 있는 그대로 묘사한 것이라며 맞섰습니다.

이 연설이 있고 10년이 채 지나지 않은 1991년 소련은 붕괴했습니다.

2001년 뼈아픈 9.11 테러를 겪은 이듬해인 2002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테러를 지원하고 대량살상무기를 제조하는 북한과 이란, 이라크를 '악의 축'으로 규정했습니다.

[조지 부시 / 당시 美 대통령 (2002년) : (이라크, 이란, 북한) 이 세 나라와 그들의 테러리스트 동맹국들은 '악의 축(Axis of evil)'을 구축하고, 세계 평화를 위협하기 위해서 무장하고 있습니다. 대량 살상 무기를 만드는 이 나라들은, 심각하고 큰 위험 속에 있습니다.]

이 연설이 있고 난 다음 해 부시 대통령은 이라크를 공격했습니다.

그리고 사담 후세인이 붙잡혀 처형을 당하면서 후세인 정권이 붕괴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어제 연설은 미리 작성된 원고를 그대로 읽은 것...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4_20170921141712074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mo mo : 트럼프
미합중국 : 레이건 대통령 카리스마 보소..
wj h : 솔직히 맞는말임 싸워야 착한사람들이 이기지 싸우지 않으면 악이이김
아베카도 : 여기서 공통점은 '북한' 즉 공산주의를 강하게 비판하는거다.
자유대한민국 : 저3분께 박수를짝짝짝!

... 

#레이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354건 540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