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장애병원
페이지 정보
본문
나도 모르게 '큼큼'...음성 틱 장애 발병 원인 찾았다 / YTN
[앵커]
자신도 모르게 이상한 소리를 반복적으로 내는 걸 '음성 틱' 장애라고 하는데요.
지금까지는 정확한 원인을 알지 못했던 음성 틱의 발병 원인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밝혀냈습니다.
양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자신도 모르게 신체 일부를 움직이거나 이상한 소리를 내는 틱 장애.
틱 장애는 어린이 10명 가운데 1~2명이 일시적으로 증상을 보일 만큼 흔하지만, 일부는 성인이 돼도 증상이 계속됩니다.
[손보경 / 서울대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틱 장애는) CT나 MRI를 찍었다고 해서 병변이 눈에 띄게 드러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러 연구를 종합해볼 때 뇌 질환의 기전으로 기저핵이라는 운동에 관련된 부분에 도파민이라는 물질을 교란돼 나타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한국뇌연구원 연구팀이 음성 틱 장애의 발병 원인을 밝혀냈습니다.
뇌 안쪽에 감정과 보상을 담당하는 '중격의지핵'이라는 부위가 있는데 여기서 나오는 알파파가 인지나 운동 영역에서 나오는 알파파와 일치했을 때 음성 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케빈 맥케언 /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 책임연구원 : 뇌에서 나오는 알파파의 수치가 정상보다 높아지고, 중격의지핵과 두 영역의 알파파와 동기화가 일어나면서 음성 틱 장애가 일어납니다.]
연구팀은 원숭이 모델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중격의지핵의 이상이 음성 틱 발병의 주원인임을 확인했습니다.
[정성진 /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 책임연구원 : 현재 신경망 중에서도 운동이 잘못된다거나 음성이 잘못되는 거에 대해서 아직 치료법이 없는데, (음성 틱의) 원인을 알았기 때문에 뇌에 있는 심부를 전기적으로 자극해서 이런 것들을 치료할 수 있도록….]
음성 틱 치료를 위한 치료제는 물론 외과적 시술법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는 이번 연구결과는 신경과학분야 국제학술지인 '뉴론'에 실렸습니다.
YTN science 양훼영[hwe@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5_20160121020245511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AMWS : 이야 대단하네요 조금 쉽게 설명해줬으면 하지만 국내연구진이라 자랑스럽네요.
뺚먉뛃 : 저도 어릴때 자꾸 기침하듯이 큼큼….큼 이랬어요. 독서실,도서관처럼 조용한곳에 있으면 너무 죄송하고 자책도 많이 했어요. 그런데 어느날부터 그냥 자연스럽게 사라졌어요…가끔씩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다시 생기긴합니다. 틱이 심하신 분들 진짜 힘드신거 알아요…그래도 끝까지 힘내시길 바래요
키워 : 기침 계속해서 병웠갔더니 틱이래서 놔뒀는데 알고보니 폐렴이였음ㅋㅋ..
김은성 : 틱장애를 겪었다 치료한 1인으로 첨엔 몸도 부르르떨고 눈도 깜빡거리고 어깨도 들썩거렸는데 즐거울때 좀 줄어들더라구요 ㅎㅎ 예로 들면 게임할때,운동할때,친구들과 놀때 자신의 취미를 찾아서 즐기면 치료할수있을거에욯ㅎㅎㅎ
개구리공주 : 저도 옛날에 틱장애있었는데 너무 힘들었어요.. ㅠㅠ 막 " 음! 음! "이러고 눈도 찡긋 찡긋 거리고 코도 막 움찔 거리고 그랬는데 제가 너무 빡치고 짜증나서 안할라고 생각하고 막 어떻게 하다보니깐 사라졌어요
틱 치료 20년 간 가장 많이 받은 질문 BEST 10 (2편)
틱 치료 20년 간 가장 많이 받은 질문 BEST 10 (2편)
틱장애한의사가 20여 년간 진료를 하면서 가장 많이 받은 질문 10가지를 모아봤습니다.
1편 보러가기 ☞
Q3. 틱이 완치가 가능한가요?
A3. 틱의 특성상 재발이 일어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밥을 먹고 체했는데 그 뒤에 좋아졌어도 이 사람은 또 체할 수 있습니다. 허리 같은 경우도 물건을 들다가 삐끗했는데 그게 좋아져도 나중에 또 삐끗할 수 있습니다.
그처럼 틱도 치료가 돼도 나중에 또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 빙산으로 비유를 해보면, 바다에 빙산이 있는데 우리가 보는 빙산은 빙상의 일각이며 바다 밑에 훨씬 큰 얼음덩어리가 있다고 합니다.
틱이라고 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 눈에 보이는 틱은 그게 다가 아니라 바다 밑에 신경학적인 취약성이 있고 그게 틱 증상으로 발현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눈에 보이는 틱 증상이 사라졌다는 것은 바다에 있는 빙산이 완전히 없어진 것이 아니라 바닷물 속으로 들어 갔다고 비유해 볼 수 있으며 나중에 또 떠오를 수도 있습니다.
Q4. 틱이 심해지는 상황이 어떤 상황인가요?
A4. 틱이 심해지는 상황을 미리 알고 있으면 그런 상황들을 미리 피할 수 있습니다.
→ 첫 번째는 불안, 긴장, 스트레스 상황입니다.
틱, 불안, 강박 이런 것들은 우리 뇌에서도 같은 CSTC회로 안에서 일어나다 보니까 틱이 있는 아이들이 불안을 많이 갖고 있는 경우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 두 번째는 흥분되거나 들뜨는 상황입니다.
흥분하고 들뜨면 뇌에서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많이 나오게 되는데
그런 부분들이 오히려 틱을 심하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세 번째는 감기에 걸리거나 또는 컨디션이 안 좋을 때, 피곤할 때입니다.
감기약으로 복용하는 약 중에 일부는 틱을 심하게 할 수 있고 피로감은 틱에 있어서 굉장히 안 좋기 때문입니다.
→ 네 번째는 스마트폰, TV시청, 게임을 오래 할 때입니다.
일방적으로 시청각 자극을 받거나 또는 게임을 할 때에도 굉장히 흥분하고 들뜨기 때문입니다.
→ 다섯 번째는 주로 저녁이나 밤으로 갈수록, 집 밖보다는 집안에서 틱을 더 많이 합니다.
보통 부모님들께서 저녁에 집에서 아이를 관찰하시는데 그때가 하루 중에 틱을 가장 많이 할 때라고 보시면 됩니다. 때문에 아이가 저녁에 틱을 많이 한다고 해서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겠습니다.
★ 틱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문의해주세요. 틱장애 한의사가 직접 답변해 드립니다. ★
#틱치료 #틱장애 #틱질문
@user-fq6lu1vo5y : 틱은 몸을 이동하면서 재발하는거 같습니다.
우리 아이들 둘을 관찰해 보니 그래요.
큰애, 작은애 모두 초등학교 입학1학년때 눈을 깜박거리는 걸로 시작해서, 방학때는 잠잠하다가 개학후에 다시 심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큰 아이는 저학년때 학습양을 줄이고 놀이터에서 많이 뛰어놀게 해서 5학년 정도 되니까 사라졌습니다.
아들은 누나 보다 틱이 심해서 눈만 깜박거리는게 아니라, 머리를 흔들고, 그 다음으로 넘어가 어깨를 듵썩들썩 거렸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컥컥 거리는 소리와 함께 책을 집중해서 보려고 하면 눈이 돌아가서 약물 치료 중입니다.
@jjinl9632 : 초등6학년 남아의엄마입니다
매번 심해졌다 조금나아지다 늘반복이네요ㅠ
현재 틱으로 한의원내원중이며 한약과 치료를 병행중인데도 음성틱이 요즘 심해서
아이도저희도 너무힘이드네요
3학년부터조금씩시작되어 5학년부터심해지더니
지금이절정같습니다.
여러병원도 다녀보고 심리적 약물적 치료도받아봤는데 반복이네요--::
댓글은 처음이지만 늘 경청해서 잘듣고있습니다.
앞으로도 틱에대한 많은정보를 부탁드려요~
@user-un7ob5oj6n : 선생님...
틱 3년차입니다
완화되었다가 심해졌다가를. 반복중입니다.
미디어를 최소한으로 줄인뒤
아이가 책에빠졌는데요.
과도한집중이 안좋다는말이있어서요
책을많이보는게 틱에 안좋은영향을미치는지
궁금합니다,
@user-qj4kd5vj3x : 성인입니다! 틱장애가없었는데 어늘날갑자기 눈을감는 틱이생이생기더니 지금은 고양이소리와같은 음성틱과 함께 크게 수시로 나타내고있어요! 스트레스 불안 피곤하면 더하고 잠들기전까지하니 남편은 아무말하지않지만 미안해요! 습관성인것같구요! 그렇게해야 속이후련하고 조은느낌이나는데 미치겠어요 방법조없나요
@user-cg3sl4mu8w : 선생님..이제 만 41개월 정도된 남자 아이 아빠입니다. 저희 아이는 작년에 눈깜빡임 증상이 1달정도 가다가 사라졌습니다.
그런데 약 6주전부터 그르렁 소리를 내는데 문장의 끝과 시작사이 말이 멈추는 텀에 호흡을 들이마시며 소리를 냈습니다..이 증상은 거의 하루종일 보입니다..
가끔 배를 크게 들이마셨다 내미는 행동도 보이구요..
이게 주된 증상이고..
어제는 목에 Balm을 살짝 발랐는데 목을 돌리는 틱을 하더니..
방금 잘때는 눈알을 계속 돌리는 모습을 관찰했습니다..목을 돌리는 모습은 오늘은 관찰하지 못했습니다..
지금은 일단 저희가 다니는 한의원에서 약을 2주차 먹고는 있는데 너무 걱정이되어 지푸라기라도 잡고싶은 심정입니다.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겠습니다..나을수 있을까요?
조언을 위해 정보가 될까하여 드리는 말씀인데 아이는 정말 똑똑합니다..지금 한글도 점점 늘고있고 테트리스도 조금 할줄 압니다.
책도 좋아해서 매일 밤 책을 읽지 않으면 안자려고합니다..
특히 자기 직전에 틱이 심해지는 것 같습니다..
두서가 없었는데..무슨 말씀이라도 듣고 싶어서 올립니다..
틱장애, 뚜렛증후군! 완치가능한가요?_육아전문의학채널
#틱 #뚜렛장애 #틱클리닉
눈을 깜빡거리거나, 코를 킁킁거리기, 헛기침 소리를 내는 아이를 보면 걱정이 많이 되시죠?
나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근육이 움직여서 나오는 행동이나 소리를 틱(tic)이라고 합니다.
아이가 틱을 하는데, 너무 오래 지속되어서 걱정이 되시거나,
틱 때문에 아이가 힘들어하거나,
친구들이 놀리거나 혹은 틱을 하지 말라고 혼내다가 엄마와의 사이가 틀어져버리기도 하죠.
우리아이의 이런 틱증상이 뚜렛장애가 되면 어쩌죠?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박쌤이 틱에 대해 자세히, 알기쉽게 알려드립니다^^
Zeze : 만 3세경부터 시작해서 운동 음성 할것 없이 정말 다양한 틱을 돌아가며 했는데요. 딱히 아이에게 틱에대해 많이 언급하지는 않았었고 다행히 아무도 뭐라하는 친구들도 없어서 학교 생활도 문제없이 잘했어요. 그래도 점점 심해져서 한 초3경에 상담한번 받았고요. 전조증상이 있을 때 손을 주무른다거나 하는 요령을 배웠었어요. 그 요령도 아이가 스스로 적용하기에는 쉽지는 않더라고요. 그런데 어느순간부터 틱이 보이지 않네요. 한 4ㅡ5학년부터는 못본것 같아요. 지금 6학년인데 방금 영상보고 불러서 틱 있냐고 물어보니 계속 없었다고 하네요. 본인도 언제부터 없어졌는지 모를정도 자연스럽게요. 너무 걱정하시는 부모님들에게 알려드리고 싶어서 적어보았습니다.
Shannon Yi : 틱한의사란 사람 영상이 떠서 기가막혔는데 이렇게 제대로된 정보 주시는 의사선생님들 감사드려요.
다정 석 : 정말 감사한 영상입니다. 2년째 심리센터를 다니면서 좋아졌다 심해졌다를 반복해서 병원을 가서 약을 먹어야하나? 말씀해주신 고민들을 하며 찾아본 영상입니다. 궁금했던 부분들과 걱정했던 부분들을 정확히 안내하고 이해시켜주셔서 ㅠㅠ 너무 감사하네요!
부사장 : 정말 감탄하고 갑니다. 많은 부모님들에게 큰 도움이 될꺼에요. 의사분들 요즘 힘든일 많으실텐데 힘내시고 파이팅하십쇼~!!
네종NEJONG : 걱정되는 부분인데 좋은 설명 감사드려요
[앵커]
자신도 모르게 이상한 소리를 반복적으로 내는 걸 '음성 틱' 장애라고 하는데요.
지금까지는 정확한 원인을 알지 못했던 음성 틱의 발병 원인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밝혀냈습니다.
양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자신도 모르게 신체 일부를 움직이거나 이상한 소리를 내는 틱 장애.
틱 장애는 어린이 10명 가운데 1~2명이 일시적으로 증상을 보일 만큼 흔하지만, 일부는 성인이 돼도 증상이 계속됩니다.
[손보경 / 서울대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틱 장애는) CT나 MRI를 찍었다고 해서 병변이 눈에 띄게 드러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러 연구를 종합해볼 때 뇌 질환의 기전으로 기저핵이라는 운동에 관련된 부분에 도파민이라는 물질을 교란돼 나타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한국뇌연구원 연구팀이 음성 틱 장애의 발병 원인을 밝혀냈습니다.
뇌 안쪽에 감정과 보상을 담당하는 '중격의지핵'이라는 부위가 있는데 여기서 나오는 알파파가 인지나 운동 영역에서 나오는 알파파와 일치했을 때 음성 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케빈 맥케언 /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 책임연구원 : 뇌에서 나오는 알파파의 수치가 정상보다 높아지고, 중격의지핵과 두 영역의 알파파와 동기화가 일어나면서 음성 틱 장애가 일어납니다.]
연구팀은 원숭이 모델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중격의지핵의 이상이 음성 틱 발병의 주원인임을 확인했습니다.
[정성진 /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 책임연구원 : 현재 신경망 중에서도 운동이 잘못된다거나 음성이 잘못되는 거에 대해서 아직 치료법이 없는데, (음성 틱의) 원인을 알았기 때문에 뇌에 있는 심부를 전기적으로 자극해서 이런 것들을 치료할 수 있도록….]
음성 틱 치료를 위한 치료제는 물론 외과적 시술법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는 이번 연구결과는 신경과학분야 국제학술지인 '뉴론'에 실렸습니다.
YTN science 양훼영[hwe@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5_20160121020245511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AMWS : 이야 대단하네요 조금 쉽게 설명해줬으면 하지만 국내연구진이라 자랑스럽네요.
뺚먉뛃 : 저도 어릴때 자꾸 기침하듯이 큼큼….큼 이랬어요. 독서실,도서관처럼 조용한곳에 있으면 너무 죄송하고 자책도 많이 했어요. 그런데 어느날부터 그냥 자연스럽게 사라졌어요…가끔씩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다시 생기긴합니다. 틱이 심하신 분들 진짜 힘드신거 알아요…그래도 끝까지 힘내시길 바래요
키워 : 기침 계속해서 병웠갔더니 틱이래서 놔뒀는데 알고보니 폐렴이였음ㅋㅋ..
김은성 : 틱장애를 겪었다 치료한 1인으로 첨엔 몸도 부르르떨고 눈도 깜빡거리고 어깨도 들썩거렸는데 즐거울때 좀 줄어들더라구요 ㅎㅎ 예로 들면 게임할때,운동할때,친구들과 놀때 자신의 취미를 찾아서 즐기면 치료할수있을거에욯ㅎㅎㅎ
개구리공주 : 저도 옛날에 틱장애있었는데 너무 힘들었어요.. ㅠㅠ 막 " 음! 음! "이러고 눈도 찡긋 찡긋 거리고 코도 막 움찔 거리고 그랬는데 제가 너무 빡치고 짜증나서 안할라고 생각하고 막 어떻게 하다보니깐 사라졌어요
틱 치료 20년 간 가장 많이 받은 질문 BEST 10 (2편)
틱 치료 20년 간 가장 많이 받은 질문 BEST 10 (2편)
틱장애한의사가 20여 년간 진료를 하면서 가장 많이 받은 질문 10가지를 모아봤습니다.
1편 보러가기 ☞
Q3. 틱이 완치가 가능한가요?
A3. 틱의 특성상 재발이 일어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밥을 먹고 체했는데 그 뒤에 좋아졌어도 이 사람은 또 체할 수 있습니다. 허리 같은 경우도 물건을 들다가 삐끗했는데 그게 좋아져도 나중에 또 삐끗할 수 있습니다.
그처럼 틱도 치료가 돼도 나중에 또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 빙산으로 비유를 해보면, 바다에 빙산이 있는데 우리가 보는 빙산은 빙상의 일각이며 바다 밑에 훨씬 큰 얼음덩어리가 있다고 합니다.
틱이라고 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 눈에 보이는 틱은 그게 다가 아니라 바다 밑에 신경학적인 취약성이 있고 그게 틱 증상으로 발현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눈에 보이는 틱 증상이 사라졌다는 것은 바다에 있는 빙산이 완전히 없어진 것이 아니라 바닷물 속으로 들어 갔다고 비유해 볼 수 있으며 나중에 또 떠오를 수도 있습니다.
Q4. 틱이 심해지는 상황이 어떤 상황인가요?
A4. 틱이 심해지는 상황을 미리 알고 있으면 그런 상황들을 미리 피할 수 있습니다.
→ 첫 번째는 불안, 긴장, 스트레스 상황입니다.
틱, 불안, 강박 이런 것들은 우리 뇌에서도 같은 CSTC회로 안에서 일어나다 보니까 틱이 있는 아이들이 불안을 많이 갖고 있는 경우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 두 번째는 흥분되거나 들뜨는 상황입니다.
흥분하고 들뜨면 뇌에서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많이 나오게 되는데
그런 부분들이 오히려 틱을 심하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세 번째는 감기에 걸리거나 또는 컨디션이 안 좋을 때, 피곤할 때입니다.
감기약으로 복용하는 약 중에 일부는 틱을 심하게 할 수 있고 피로감은 틱에 있어서 굉장히 안 좋기 때문입니다.
→ 네 번째는 스마트폰, TV시청, 게임을 오래 할 때입니다.
일방적으로 시청각 자극을 받거나 또는 게임을 할 때에도 굉장히 흥분하고 들뜨기 때문입니다.
→ 다섯 번째는 주로 저녁이나 밤으로 갈수록, 집 밖보다는 집안에서 틱을 더 많이 합니다.
보통 부모님들께서 저녁에 집에서 아이를 관찰하시는데 그때가 하루 중에 틱을 가장 많이 할 때라고 보시면 됩니다. 때문에 아이가 저녁에 틱을 많이 한다고 해서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겠습니다.
★ 틱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문의해주세요. 틱장애 한의사가 직접 답변해 드립니다. ★
#틱치료 #틱장애 #틱질문
@user-fq6lu1vo5y : 틱은 몸을 이동하면서 재발하는거 같습니다.
우리 아이들 둘을 관찰해 보니 그래요.
큰애, 작은애 모두 초등학교 입학1학년때 눈을 깜박거리는 걸로 시작해서, 방학때는 잠잠하다가 개학후에 다시 심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큰 아이는 저학년때 학습양을 줄이고 놀이터에서 많이 뛰어놀게 해서 5학년 정도 되니까 사라졌습니다.
아들은 누나 보다 틱이 심해서 눈만 깜박거리는게 아니라, 머리를 흔들고, 그 다음으로 넘어가 어깨를 듵썩들썩 거렸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컥컥 거리는 소리와 함께 책을 집중해서 보려고 하면 눈이 돌아가서 약물 치료 중입니다.
@jjinl9632 : 초등6학년 남아의엄마입니다
매번 심해졌다 조금나아지다 늘반복이네요ㅠ
현재 틱으로 한의원내원중이며 한약과 치료를 병행중인데도 음성틱이 요즘 심해서
아이도저희도 너무힘이드네요
3학년부터조금씩시작되어 5학년부터심해지더니
지금이절정같습니다.
여러병원도 다녀보고 심리적 약물적 치료도받아봤는데 반복이네요--::
댓글은 처음이지만 늘 경청해서 잘듣고있습니다.
앞으로도 틱에대한 많은정보를 부탁드려요~
@user-un7ob5oj6n : 선생님...
틱 3년차입니다
완화되었다가 심해졌다가를. 반복중입니다.
미디어를 최소한으로 줄인뒤
아이가 책에빠졌는데요.
과도한집중이 안좋다는말이있어서요
책을많이보는게 틱에 안좋은영향을미치는지
궁금합니다,
@user-qj4kd5vj3x : 성인입니다! 틱장애가없었는데 어늘날갑자기 눈을감는 틱이생이생기더니 지금은 고양이소리와같은 음성틱과 함께 크게 수시로 나타내고있어요! 스트레스 불안 피곤하면 더하고 잠들기전까지하니 남편은 아무말하지않지만 미안해요! 습관성인것같구요! 그렇게해야 속이후련하고 조은느낌이나는데 미치겠어요 방법조없나요
@user-cg3sl4mu8w : 선생님..이제 만 41개월 정도된 남자 아이 아빠입니다. 저희 아이는 작년에 눈깜빡임 증상이 1달정도 가다가 사라졌습니다.
그런데 약 6주전부터 그르렁 소리를 내는데 문장의 끝과 시작사이 말이 멈추는 텀에 호흡을 들이마시며 소리를 냈습니다..이 증상은 거의 하루종일 보입니다..
가끔 배를 크게 들이마셨다 내미는 행동도 보이구요..
이게 주된 증상이고..
어제는 목에 Balm을 살짝 발랐는데 목을 돌리는 틱을 하더니..
방금 잘때는 눈알을 계속 돌리는 모습을 관찰했습니다..목을 돌리는 모습은 오늘은 관찰하지 못했습니다..
지금은 일단 저희가 다니는 한의원에서 약을 2주차 먹고는 있는데 너무 걱정이되어 지푸라기라도 잡고싶은 심정입니다.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겠습니다..나을수 있을까요?
조언을 위해 정보가 될까하여 드리는 말씀인데 아이는 정말 똑똑합니다..지금 한글도 점점 늘고있고 테트리스도 조금 할줄 압니다.
책도 좋아해서 매일 밤 책을 읽지 않으면 안자려고합니다..
특히 자기 직전에 틱이 심해지는 것 같습니다..
두서가 없었는데..무슨 말씀이라도 듣고 싶어서 올립니다..
틱장애, 뚜렛증후군! 완치가능한가요?_육아전문의학채널
#틱 #뚜렛장애 #틱클리닉
눈을 깜빡거리거나, 코를 킁킁거리기, 헛기침 소리를 내는 아이를 보면 걱정이 많이 되시죠?
나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근육이 움직여서 나오는 행동이나 소리를 틱(tic)이라고 합니다.
아이가 틱을 하는데, 너무 오래 지속되어서 걱정이 되시거나,
틱 때문에 아이가 힘들어하거나,
친구들이 놀리거나 혹은 틱을 하지 말라고 혼내다가 엄마와의 사이가 틀어져버리기도 하죠.
우리아이의 이런 틱증상이 뚜렛장애가 되면 어쩌죠?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박쌤이 틱에 대해 자세히, 알기쉽게 알려드립니다^^
Zeze : 만 3세경부터 시작해서 운동 음성 할것 없이 정말 다양한 틱을 돌아가며 했는데요. 딱히 아이에게 틱에대해 많이 언급하지는 않았었고 다행히 아무도 뭐라하는 친구들도 없어서 학교 생활도 문제없이 잘했어요. 그래도 점점 심해져서 한 초3경에 상담한번 받았고요. 전조증상이 있을 때 손을 주무른다거나 하는 요령을 배웠었어요. 그 요령도 아이가 스스로 적용하기에는 쉽지는 않더라고요. 그런데 어느순간부터 틱이 보이지 않네요. 한 4ㅡ5학년부터는 못본것 같아요. 지금 6학년인데 방금 영상보고 불러서 틱 있냐고 물어보니 계속 없었다고 하네요. 본인도 언제부터 없어졌는지 모를정도 자연스럽게요. 너무 걱정하시는 부모님들에게 알려드리고 싶어서 적어보았습니다.
Shannon Yi : 틱한의사란 사람 영상이 떠서 기가막혔는데 이렇게 제대로된 정보 주시는 의사선생님들 감사드려요.
다정 석 : 정말 감사한 영상입니다. 2년째 심리센터를 다니면서 좋아졌다 심해졌다를 반복해서 병원을 가서 약을 먹어야하나? 말씀해주신 고민들을 하며 찾아본 영상입니다. 궁금했던 부분들과 걱정했던 부분들을 정확히 안내하고 이해시켜주셔서 ㅠㅠ 너무 감사하네요!
부사장 : 정말 감탄하고 갑니다. 많은 부모님들에게 큰 도움이 될꺼에요. 의사분들 요즘 힘든일 많으실텐데 힘내시고 파이팅하십쇼~!!
네종NEJONG : 걱정되는 부분인데 좋은 설명 감사드려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