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만든먼나라이웃나라세트
페이지 정보
본문
새로 만든 먼나라 이웃나라 저자 이원복 강연회
유럽에 대한 이해와 오해!
영국편, 영국은 신사의 나라가 아니다!
흙수저도 아닌 '돌수저' 이원복이 만화 '먼나라 이웃나라'를 그린 이유?
(서울=뉴스1) 문동주 기자 = 이원복 덕성여대 석좌교수가 '먼나라 이웃나라' 24번째 이야기 '인도와 인도아대륙'으로 돌아왔다. 올해로 41년째 세계의 이야기를 만화로 전하고 있는 이원복 교수를 만나 그의 만화인생을 들어봤다.
이 교수가 41년 전 처음 만화로 소개했던 나라는 프랑스였다. 그는 "75년도에 독일로 유학을 하면서 옆 나라인 파리를 들렀다. 당시 우리나라는 유신으로 군사독재가 심하고 억압됐던 사회였는데 프랑스에 가보니 우리나라와 너무 달랐다"며 당시를 떠올렸다.
그는 "도대체 민주주의란 뭐고, 어떻게 이 사람들은 그것을 쟁취했는지 궁금했다. 쭉 역사를 올라가 보니 '프랑스 혁명'이 있어 그것을 다뤄보고 싶었다"며 "당시에는 '혁명' 자만 나오면 기겁했는데, 만화니까 괜찮았던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에는 만화를 깔보던 분위기 때문에 조금 괜찮은 내용이면 '만화인데도', 조금 덜 떨어지면 '만화니까'라는 말을 들었다"며 "그럼에도 '인데도'와 '니까'의 사이에서 굉장한 자유의 영역이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가 만화의 주제를 '세계'로 정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 교수는 '양심'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유학 당시는 구로공단에서 여성들이 남동생 학교 보내려 가발 만들며 고생하던 그런 시대였다. 우리나라에서 힘들게 번 달러를 쓴다는 게 보통 양심을 꺼리는 게 아니었다"며 "내가 할 수 있는 게 뭐냐, 한국 사람들이 겪지 못하는 이 고귀한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그 시절 해외 유학을 했던 이 교수에게 '금수저였냐' 물었다. 그는 되려 "흙수저도 못 되는 돌수저였다"고 답했다. 그는 "46년생이니까 해방 직후에 태어났다. 5살 때 6.25가 터졌다"며 "대전에서 꽤 잘 잘 살던
유지 집안이었는데 6·25 동란 때 완전히 다 쫄딱 망해 알거지가 됐다"고 회상했다.
그는 "당시에는 돈이 있거나 백이 있거나, 이 두 가지가 다 없으면 유일한 유리 천장을 뚫는 길이
'가방끈 긴 거'밖에 없었다"며 "그 당시만 해도 외국 유학했으면 좀 봐줬으니까, 살길이 외국 나가서
학위 받아오는 거밖에 없다고 생각해 형제들이 알바하며 흙수저 유학을 했다"고 말했다.
'먼나라 이웃나라' 이원복 교수가 말하는 그의 만화 인생을 영상으로 확인해보자.
#먼나라이웃나라 #이원복 #세계사
magnolia : 와! 정말 명료한 말씀이십니다. 대한민국에는 중도가 없다라는 말씀에 공감합니다. 강대국 사이에서 살아남으려면 진영논리보다는 유연한 사고가 필요할 때죠. 세계역사를 알아야 뚜렷한 현실파악도 되고. 어제 시내 책방에 들렀다가 반갑게도 매대에 먼 나라 이웃나라가 진열되어 있는 것을 봤습니다. 새로운 마음으루다가 새로운 시즌 작품들 사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wakawaka kilo : 진정한 지성적인 교수님이신듯
유성진 : 국민학교때 공부 잘한 친구가 읽던
먼나라 이웃나라..
지금 전 역사덕후에 밀덕이되었습니다.
교수님 덕분에..
화산검법 수도자修道者 : 이원복 교수님이 이정도로 전략가이신줄 이제 알았네요. 이 시대의 한국에 꼭 계셔야하는 전략가이십니다.
minor dinor : 이원복 교수님, 존경하고 감사합니다.
오래오래 건강하셔서, 더많은 먼나라 이웃나라를, 우리 독자들에게 선물해주세요.
새로 만든 먼나라 이웃나라. 아이에게 세계를 선물하세요.
아이에게 세계를 선물하세요!
세계를 품은 아이, 꿈의 크기가 다릅니다.
시대가 변했다, 세상이 달라졌다! 새로 만든 먼나라 이웃나라를 아이와 함께 읽으세요.
페이스북 원복씨를 찾아라 이벤트 참여
▷http://apps.facebook.com/gybooksfindwonbok
유럽에 대한 이해와 오해!
영국편, 영국은 신사의 나라가 아니다!
흙수저도 아닌 '돌수저' 이원복이 만화 '먼나라 이웃나라'를 그린 이유?
(서울=뉴스1) 문동주 기자 = 이원복 덕성여대 석좌교수가 '먼나라 이웃나라' 24번째 이야기 '인도와 인도아대륙'으로 돌아왔다. 올해로 41년째 세계의 이야기를 만화로 전하고 있는 이원복 교수를 만나 그의 만화인생을 들어봤다.
이 교수가 41년 전 처음 만화로 소개했던 나라는 프랑스였다. 그는 "75년도에 독일로 유학을 하면서 옆 나라인 파리를 들렀다. 당시 우리나라는 유신으로 군사독재가 심하고 억압됐던 사회였는데 프랑스에 가보니 우리나라와 너무 달랐다"며 당시를 떠올렸다.
그는 "도대체 민주주의란 뭐고, 어떻게 이 사람들은 그것을 쟁취했는지 궁금했다. 쭉 역사를 올라가 보니 '프랑스 혁명'이 있어 그것을 다뤄보고 싶었다"며 "당시에는 '혁명' 자만 나오면 기겁했는데, 만화니까 괜찮았던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에는 만화를 깔보던 분위기 때문에 조금 괜찮은 내용이면 '만화인데도', 조금 덜 떨어지면 '만화니까'라는 말을 들었다"며 "그럼에도 '인데도'와 '니까'의 사이에서 굉장한 자유의 영역이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가 만화의 주제를 '세계'로 정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 교수는 '양심'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유학 당시는 구로공단에서 여성들이 남동생 학교 보내려 가발 만들며 고생하던 그런 시대였다. 우리나라에서 힘들게 번 달러를 쓴다는 게 보통 양심을 꺼리는 게 아니었다"며 "내가 할 수 있는 게 뭐냐, 한국 사람들이 겪지 못하는 이 고귀한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그 시절 해외 유학을 했던 이 교수에게 '금수저였냐' 물었다. 그는 되려 "흙수저도 못 되는 돌수저였다"고 답했다. 그는 "46년생이니까 해방 직후에 태어났다. 5살 때 6.25가 터졌다"며 "대전에서 꽤 잘 잘 살던
유지 집안이었는데 6·25 동란 때 완전히 다 쫄딱 망해 알거지가 됐다"고 회상했다.
그는 "당시에는 돈이 있거나 백이 있거나, 이 두 가지가 다 없으면 유일한 유리 천장을 뚫는 길이
'가방끈 긴 거'밖에 없었다"며 "그 당시만 해도 외국 유학했으면 좀 봐줬으니까, 살길이 외국 나가서
학위 받아오는 거밖에 없다고 생각해 형제들이 알바하며 흙수저 유학을 했다"고 말했다.
'먼나라 이웃나라' 이원복 교수가 말하는 그의 만화 인생을 영상으로 확인해보자.
#먼나라이웃나라 #이원복 #세계사
magnolia : 와! 정말 명료한 말씀이십니다. 대한민국에는 중도가 없다라는 말씀에 공감합니다. 강대국 사이에서 살아남으려면 진영논리보다는 유연한 사고가 필요할 때죠. 세계역사를 알아야 뚜렷한 현실파악도 되고. 어제 시내 책방에 들렀다가 반갑게도 매대에 먼 나라 이웃나라가 진열되어 있는 것을 봤습니다. 새로운 마음으루다가 새로운 시즌 작품들 사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wakawaka kilo : 진정한 지성적인 교수님이신듯
유성진 : 국민학교때 공부 잘한 친구가 읽던
먼나라 이웃나라..
지금 전 역사덕후에 밀덕이되었습니다.
교수님 덕분에..
화산검법 수도자修道者 : 이원복 교수님이 이정도로 전략가이신줄 이제 알았네요. 이 시대의 한국에 꼭 계셔야하는 전략가이십니다.
minor dinor : 이원복 교수님, 존경하고 감사합니다.
오래오래 건강하셔서, 더많은 먼나라 이웃나라를, 우리 독자들에게 선물해주세요.
새로 만든 먼나라 이웃나라. 아이에게 세계를 선물하세요.
아이에게 세계를 선물하세요!
세계를 품은 아이, 꿈의 크기가 다릅니다.
시대가 변했다, 세상이 달라졌다! 새로 만든 먼나라 이웃나라를 아이와 함께 읽으세요.
페이스북 원복씨를 찾아라 이벤트 참여
▷http://apps.facebook.com/gybooksfindwonbok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