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저장장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모노 조회 17회 작성일 2023-07-12 08:15:33 댓글 0

본문

저장장치의 역할! 하드디스크&SSD의 차이점 쉽게 설명해줄게~[브로리퀘스트]

오늘은 나의 소중한 데이터를 책임지는 저장장치에 관해 공부해볼게요~!
기술이 발전되고 SSD가 출시되면서 요즘엔 SSD로 넘어가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아직 하드디스크도 현역입니다! 일반적으로 SSD와 하드디스크를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는데요,
SSD가 더 좋은 거 아닌가요? 왜 SSD와 하드디스크를 병행해서 사용할까요?
한번 함께 공부해볼까요~

PS. 아... TDW를 진작 알았으면 데이터 안 날렸을텐데 아오 내 과거의 사진들 안녕...
TDW의 중요성을 모른 과거의 나 죽어라ㅜㅜ

#SSD #하드디스크 #내_소중한_데이터 #컴알못 #PC #컴퓨터

▶구독하기 http://bit.ly/2s8JmD1\r
Presented by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BroLee : 1:09 제목이 그래픽카드의 브랜드로 되어있습니다. "저장장치의 역할과 하드디스크 & SSD의 차이점"맞습니다. 시청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suuuuu2153 : 학교 정보 시간에 이런거 알려주면 개즣을텐데
@Rami_UP : 이 시리즈를 보면서 드는생각이 컴퓨터 부품을 구매하시는 초보자 분들에게 소개해주면 좋은영상이라는것인데

정작 이 영상을 찾아서 보는 사람은 매니아밖에 없다고 생각이 드네요 ㅋㅋㅋ
옵테인 메모리와, SSD컨트롤러, Raid같은 부분도 그리고 최신기술인 PCI 4.0이 나왔으면 했는데 아쉽네요 그래도 정말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기대할게요~!
@Queen-oq4sb : 반도체 공부하려고 기본 영상 찾다가 보게 되었는데, 기초적인 부분 잘 설명해 주셔서 재밌게 보고 갑니다 ^^
@ydlee1116 : SSD 입문자 잘 보고 갑니다 ^^ 감사합니다!!!

어떤 SSD를 사야할까? 어떤 HDD를 사야할까? 컴퓨터 저장장치의 모든 것! l 용팔이 훈련소

안녕하세요 용팔이훈련소의 이승규입니다!

SSD 선정시, 그리고 HDD 선정시 대체 뭐가 주안점이야!!!! 하는 느낌으로 제가 좀 빠르게 진짜 핵심의 핵심만 축약축약축약해서 넣어봤습니다.

정리하자면 인터페이스 빠른 컨르롤러 좋은 인터페이스 빠른 NVMe 같은 거 사라는 거죠!

하드는 용량 크고 싼게 좋다는 거죠!

어라.. 두 줄로 끝낼 수 있었네요?

그래도 영상은 재밌게 봐주실 거죠? 감사합니다.

댓글로 많은 참여 부탁드리겠습니다 충성!!

#컴퓨터부품 #SSD와HDD #저장장치
@jungfu88 : 진짜 저도 에지간히 컴덕 영상 많이 보고 다니는데 기본 영역에서 설명 제일 깔끔하게 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것이 용팔이의 진심인가...! 잘 보고 갑니다.
@dmin9053 : 정말 유익한 영상이네요
저장장치의 기본적인 내용들을 쉽고 빠르게 설명해주셔서 뭐 넘기거나 하는거 없이 빠져들며 잘 봤습니다
램 등의 영상도 있던거 같은데 보러 가야겠네요 ㅎㅎ
@CompanyLHusei5-750computer : 용팔이형님은 정직하시게 정석정보만 딱딱 알려주셔서 복잡함 없이 많은걸 알게되는거 같습니다!
@user-sy9sh7sy5d : 요즘 컴에 관심생겨서 이것저것 영상 다보는데. 이형 영상이 가장 알아듣기 편함. 참... 영상 몇개 더봤는데 , 영상속 이렇게 뭔가 설명할때는 고급진데... 용팔이 세계쪽 사람이란게 믿기지가 않네.. 여튼 약간 진짜 인강느낌 처럼 이해잘됨.
레크레이션 강사했으면 크게 성공했을듯ㅋㅋ
@taylorshin : 플래쉬 메모리 구조를 조금 더 복잡하게 설명하면, (이것도 단순화된 것임)

금속 판때기 두 개 있는데 그 사이에 매우 얇은 유리를 넣어 두는 겁니다. (사실 유리가 아닙니다 요즘엔) 그러면 그 금속 판때기 한 쪽에 전압을 일정 이상 가하면 위쪽 판때기에 있는 전자(혹은 정공)이 다른 한 쪽으로 유리판을 통해 전이(?) 됩니다. 이걸 '터널링' 이라 하죠.

터널링이 이론적으로 설명될 때는 그냥 확률적으로 유리판 뒤에도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해서 그냥 쉽게 통과할 거 같지만 사실은 물리적으로 유리판에 무리가 가게 됩니다. 결국 유리판이 깨지면 그 cell 은 죽었다고 보면 되는 거죠. 이래서 데이터를 쓰거나 지울 때(지우는 것도 사실 0로 쓰는 거죠?) 되도록이면 cell 을 건드리지 않거나 덜 건드리는 게 수명에 유리한 겁니다. 이 때 cell을 최대한 보호하면서 데이터들의 움직임을 교통정리 해 주는 게 컨트롤러죠. 그래서 컨트롤러가 중요합니다.

<
조금 더 설명하자면, SSD는 기록시 그냥 연속된 cell들에 주루루루루룩 기록하는 게 아닙니다. 여러 cell에 동시에 넣기도 하고, 되도록이면 앞쪽에 있는 cell에 데이터가 많이 들어가도록 저장할 때 예를 들어 '용팔이개그영상.m4v'가 있다면 1분 까지는 1번 cell, 10분 까지는 30번, 20분 까지는 230번cell, 대충 이런식으로 한 파일을 여러 조각으로 분산해서 기록 합니다(사실은 분산만 시키는 게 아니라 동시에 여러 cell 에 같은 내용을 기록하기도 합니다. 재수 없이 셀이 하나 죽으면 그 위치 데이터는 날아가니까요.) 읽어올 때 영상 속도에 맞춰서 읽기만 하면 되고, 속도가 빨라서 그게 가능하니까요. 반면 HDD는(공간이 남기만 한다면) 그냥 통째로(아니면 나눠도 SMR방식으로) 한 지역에 넣어 버립니다. 때문에 SSD만큼 데이터를 교통정리 해 줄 필요는 없습니다. 느려서 문제죠.
>

한편, 이런 터널링이 가능한 금속 판때기가 여러개면 SLC->TLC->QLC 이런식으로 올라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당연히 여러 겹 쌓으니 수율이 내려가지요. 공정 수율은 공정 단계의 제곱에 반비례 하거든요. 다른 말로, 기술이 발전되면 될 수록 SLC, TLC는 도태되고 QLC나 더 많이 집적되는 녀석이 가성비로 각광받게 될 겁니다.

3D 낸드라는 건 쉽게 말해서 옛날에는 한 판에 쫙 깔아놓고 끝냈는데 거기 위에다 비슷한 판때기를 계속 쌓아 올린다(연결하는 건 실리콘 기판을 뚫는 구멍을 통해 하죠. Through Silicon Via (TSV) 라고 합니다)는 개념입니다. 요즘엔 CPU, RAM도 이렇게 만들려 하고 있지요. 쉽게 말해 예전에는 상가 건물이 1층이었는데 요즘엔 10층이다.. 이겁니다.

HDD는 쉽게 말해서 옛날 옛적에 쓰이던 LP비닐 레코드랑 비슷한 거라 보시면 됩니다. 다만 금속판에 자석 대서 신호를 기록하는 거죠. 초등학교 때 물체주머니에 자석 기억 하시죠? 금속 문지르면 그 금속도 자석이 되는 거? 그 원리입니다.

당연하게도 금속 디스크를 물리적으로 돌리고, 기록하는 팔을 기계적으로 움직여야 하니 모든 걸 전자식으로 조종하는 SSD보다 속도가 빠를 수가 없지요. 다만 HDD는 가격대비 용량이 아직도 크기 때문에 영상 저장하는 용도(감시 카메라 돌리는 컴퓨터 등)로는 SSD보다 좋습니다.

저장매체의 역사 : 발전은 진행중 | HDD, 플로피 디스크, CD, USB 메모리, SSD

안녕하세요~ 정말 오랜만에 새 영상으로 다시 왔습니다!
혹시.. 저 이미 잊혀졌나요?!!
오랜만에 영상 업로드했음에도 보러 와주신 구독자분들,
영상 클릭해주신 시청자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user-gb9up4ol2r : ㄹㅇ 잊어지고 나서 돌아오네
@WonpyoKimwonpyokim : 1:53 500GB - 1TB - 2TB HDD , 3:00 CD(1982)(Digital Audio 표준) , 5:02 SD카드(1999) , 6:21 USB(2000) , 6:40 SSD(2006) , 8:00 무어의 법칙 , 8:13
@rfe1809 : 플로피 디스크는 아직까지도 전세계적으로 사용되고있는 저장매체. 단순히 PC에서 사용하는것 뿐만이 아닌 공장에서 기계를 사용할때 특히 많이 쓰임.
@dspark2131 : 플로피와 CD-R/RW의 사이에 MO가 있었죠.
3.5인치 플로피 사이즈에 640MB를 저장하는 집 드라이브의 라이벌이.
알아보니 마지막 버전은 3.5인치에 2.3GB / 5.25인치에 9.1GB더군요.
이 MO를 좀 더 소형/대중화하기 위해 개발된게 MD.
광학 디스크로 BD다음으로 소니에서 만든 AD도 있죠.
MO처럼 케이싱한 120mm 디스크 한장에 5.5TB 용량이 담기는 데이터 센터용 괴물이.
@kimbo_day : 저는 초등학생때 디스켓을 사용했는데 지금은 ssd 외장하드를 사용하고 있네요. 20년 남짓 지난 시간인데 지금부터 20년이 흐르면 또 어떤 저장장치를 쓰고 있을지 궁금합니다!

... 

#컴퓨터 저장장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354건 451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