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적성
페이지 정보
본문
나에게 맞는 직업 고르는 방법
승제쌤 인스타\r
▣ https://www.instagram.com/seungje.chung\r
승제카페\r
▣https://cafe.naver.com/mathkiller
@user-rz4et5xm5w : ㄱㅈ
@user-np8es3bd4d : 저는 인생이 적성에 안 맞는거 같아요
@user-tr4rt1uq8b : 본인의 가치를 정확히 이해하시고 개그맨을 선택하신 정승제님 리스펙합니다.
@97exitmusic : 여기 혹시 학생들 있으면 꼭봐요. 꽤 오랜시간 전문직이지만 안맞는거 하면서 버텨오면서 페이는 괜찮았지만 번아웃증세오면서 힘든 날을 겪었는데 이쌤 말대로 우연히 내 적성을 찾고 진짜 왜 다른 사람들은 저러고 있을까 하는때가 오더군요. 그냥 나는 당연한데 남들은 힘들어 하는거 그게 적성에 가깝다고 볼 수 있는거.. 그걸 찾는게 인생같아요. 돈은 따라오는거라는거 항상 명심하세요. 자기 자신을 탐구하고 자기가 뭘 좋아하고 잘할 수있는지 그걸 찾으세요. 그리고 그거는 한편으로 남들도 행복하게 해줄수 있는 길입니다.
@june__ee : 내가 수능 보고 10년이 지나서도 몇몇 인강선생님들의 유튜브를 보는이유
어릴때는 정말 몰랐는데 점점 진리를 말씀하신다는게 느껴짐.. 공부해서 성적을 올리는게 핵심이 아니라 삶의 본질을 알려주는 참선생..
직업선택, 내가 잘하고 즐거워하는 건 뭐지? - 직업적성, 능력의 종류, 관계 방식, 행동특성으로 알아보기, 직업종류 고르는 방법
아이캔유튜브대학 https://www.ican.co.kr/
입학하기 https://www.ican.co.kr/crm/25/%EC%9E%85%ED%95%99%ED%95%98%EA%B8%B0
http://cafe.naver.com/culturepossible
http://www.instagram.com/possibilities_book/
내게 맞는 직업이 뭐지?
생각은 하지만 이거 찾기 위해서 시간 투자하나요?
적성검사는 하지만 그냥 해보고 치우는 경우가 많잖아요.
저는 적성검사 결과도 적극적으로 참고하시고요,
또 책도 보시고, 한국 고용직업분류표도 유심히 보시고 하기를 권합니다.
이거 시간 투자해서 해보실 가치 충분히 있습니다.
근데 이런 직업명들을 보면서 꼭 검증을 해보셔야 해요.
이게 내게 맞나?
이거 하면서 살면 내가 행복할까?
이걸 검증하는 방법을 이 영상에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능력의 종류, 관계의 방식, 행동의 특성
이 세 가지를 체크하시면서 직업 선택을 해보시기를 권합니다.
그리고 그 직업을 갖기 위해 차근차근 준비해 가셔야 하는 거지요.
우리 사회에는 그냥 우연히 직업을 갖게 되는 분들이 많아요.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그렇게 하므로 삶이 힘든 경우가 너무 많아요.
이 영상 참고하셔서 내게 맞는 직업 미리 미래 찾아두시기 바랍니다.
직업 선택을 위한 시간 투자가 우리의 행복에 많은 영향을 미치니까요.
#직업 #진로 #적성검사
블로그: https://blog.naver.com/kgbloge
@Dani_hp : 저는 32살인데 아직도 진로에 고민합니다... 사회생활한지 8년정도 됐고 회사도 잘 다니고 있는데 요즘 평생직장,평생직업이 없잖아요 4차산업이 시작됨으로 내가 앞으로 뭘 해먹고 살 수 있을까 고민이 많은데 영상을 보니 좀 더 고민이 되고 더 많은 직업을 알아보고 싶네요
@user-lf5xg2fs9v : 교수님 계정에 있는 모든 영상들이 유익하고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대학생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실용적으로 쓸 수 있는것들이 많아서 더더 좋은것 같아요. 앞으로 좋은 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GS-om6yv : 저는 새내기 대학생입니다~ 누구도 알려주지 않는 이야기 하지만 정말 중요한 이야기를 알려주시는 교수님의 유익하고 좋은영상 보는게 제 요즘 하나의 행복입니다!!~보고서 작성법부터 책요약법 까지 많은 영상을 보면서 진짜 도움 많이 얻었고 과제도 더 수월하게 하고 있어요~요즘 친구들한테도 이 채널 완전 추천 많이하고 있어요~!!오늘영상도 요즘 진로 포트폴리오 같은거 써야되서 막막했는데 교수님이 하나의 해답을 주신가같아요~정말 감사합니다 학생들에게 본보기가 되는 좋은 어른이신거 같아요~앞으로 유익하고 좋은 영상들 많이 업로드 해주세요~ 그리고 저도 교수라는 직업을 희망하고 있는데..<교수라는 직업의 장단점, 이런 사람이 교수가 되면 좋다, 교수되는법>이나 <인생에서 해보면 좋을만한것, 좋은 배우자 찾는법, 영어실력향상법, 교수님의 패션스타일,인생 책이나 노래 추천>같은 주제로 영상을 찍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mai_2017 : 교수님! 요즘에 교수님 영상을 보며 정말 많은 도움을 얻고 있어요ㅜㅜ
대학생이 되었지만 진정한 대학생이 되어가는 것도, 사회에 나가는 것들도
참 어렵고 힘들고 막막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제가 얻고 싶은 답을 교수님 채널에서 찾아가는 기분이 들어요 :)
세상에서 요구하는 획일적인 선택들이 너무 싫어서
저만의 선택을 할 수 있기를 바랐었는데,
이기기 위해 스스로 힘을 내는 것이 벅차던 순간에,
교수님께서 제 생각에 힘을 불어 넣어주시는 것 같아 참 많은 위로가 되었네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
학생들에게 든든한 정신적 지조가 되어주세요!ㅎㅎ
@songjihae : 20대 중반 대학생입니다 ㅠㅠ 아직도 제 진로에 대한 고민도 많고 불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는데, 이렇게 영상으로 누구에게 듣지 못했던 대학생에게 알맞는 지혜들을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교수님..:-)!!
진로 고민에 대한 가장 실질적인 조언! 내 적성에 꼭 맞는 전공/직업 찾는 방법 [타인의 심리 읽어드립니다 EP.15] | 김경일 교수
출연 :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교수
공부해서 대학 가고, 힘들게 취업까지 했지만..
지금 하고 있는 전공과 업무가 적성에 맞지 않는 것 같다고요?
확신이 없는 당신을 위해, 실질적이고도 따뜻한 조언을 드립니다!
현대인의 스트레스 원인 1위, 인간관계!
타인으로부터 나를 지키기 위한 친절한 심리 대백과
사피엔스 오리지널 〈타인의 심리 읽어드립니다〉 EP.15
0:00 오프닝
1:00 열다섯 번째 타인, 일이 맞지 않아 고민인 당신을 위해!
2:45 적합 이론가 vs 개발 이론가, 당신의 열정 유형은?
6:43 김경일 교수님의 경험으로 보는 '적성' 찾기!
8:36 나에게 딱 맞는 일을 분명하게 알 수 있는 방법
12:26 오늘도 적성을 찾고 있는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사피엔스 #타인의심리읽어드립니다 #김경일교수
@sapiens_studio : 365일 무기력하고 피곤해보이는 직장 동료, 대체 왜 그러는 걸까요?!
@user-oc7eq2kn9d : 누가 어떻게 하라고 갈피라도 잡아줬으면....
@K1mmary : 몇개월 안다닌 직장에서 권고사직 당하고 이제 또 다른 취업자리를 알아보고 있는 상태에서 이 강의를 보았는데, 너무 좋은 강의라 무료로 들어도 될지 모르겠네요 ㅎㅎ 댓글 다신분들 말씀도 다 너무 따뜻하시고 인류애 느끼고 갑니다..♡ 우리 다같이 이 사회에서 살아남아요!!!!
@hyewonchang8084 : <요약>
1.나는 일을 할때 어떻게 열정을 찾을 수 있나
보통 사람은 두 유형이 있다.
(1)개발이론가(Develop Theorist)
:일단 어떤일이든 시작하면서 열정,몰입이 슬슬 나오는 경우
-일단 부딪히면서 배우면서 노하우 쌓아가며 열정생김
-좋고 싫고가 적합이론가보다 덜 뚜렷함
-잘하고 못하고 또한 적합이론가보다 덜 뚜렷함
-일이 안맞을 때 직업이 아닌 직무를 변경해야 함
-현실에서 이 유형이 다수
(2)적합이론가(Fit Theorist)
:본인과 딱 들어맞는일을 찾아야만 열정을 찾을 수 잇음
-자주 직업 바꿀 수 있는 환경이 최적
-이 유형은 반드시 적성을 찾아야만 열정이 생김
-좋고 싫고가 매우 뚜렷함
-잘하고 못하고 또한 매우 뚜렷함
-일이 안맞을 때 직무가 아닌 직업을 변경해야함
-현실에서 이 유형은 소수 (ADHD 중 이 유형이 많음)
-> 난 소수에 해당 할 뿐 아주 딱 맞는 일에서 분명히 열정을 찾을 수 있으니 용기내서 계속 내게 맞는일을 도전하며 찾아가기!
결론: 두 유형을 장기적으로 추적해보니 비슷했다. 누가 맞고 틀리고는 없다는 결과 발견
2.좋아하는것을 직업으로 하는 것에 대해
(1)일단 좋아하는 것이란?
오랜 시간을 투자해서 하는 것,결과가 좋던 나쁘던 시간가는줄 모르고 하는것
(2)직업으로 선택할 때는
-그냥 좋아하는 대상으로 직업을 가지면 안됌
: 좋아하는 정도의 구분이 없이 다 그냥 좋다면 취미로 해야함
-까탈스럽게 좋아하는 일을 해야 성공,행복확률이 높아짐
:좋고 싫은게 분명해야함
ex.백종원이 똑같아 보이는 두 칼국수를 먹고 하나는 맛있어하고 하나는 별로라고 평가하는것같은
(3)반면 너무 싫은데 또 막상 잘하는 일인 경우?
: 잘해서 결과가 달콤하고 좋으면 계속 꾸준히 하게 되는 것은 있으니 나쁘지만은 않음
(즉 작은 행복이 높은 빈도로 발생하면 존버가 가능)
(4)그러나 너무 싫고, 일하는 과정도 힘들지만 결과는 좋음 하지만 기쁘고 보람되지 않음
: 이런 경우는 다른직업을 알아보는게,,
결론: 행복은 목표가 아니라 도구, 행복은 크기가 아니라 빈도이다
@user-vc4gc7he3e : 격하게 공감이 되네요. 10년 음악하고 결국 놓았는데 딱 들어맞습니다.
저는 모든장르 구별 없이 다 좋아하고 다 듣는데 열심히 해도 실력이 들인 시간만큼은 안늘더군요.
반면에 실력이 쭉쭉 늘어나서 돈도 잘 버는 친구들 보면 분명 한 두가지 장르에 미쳐있고 다른건 그냥 듣는다 정도구.. 그러다보니 기본적인 실력이 올라 다른것도 할 수 있다 정도더군요.
음악학교에서 교수님이 정말 좋아하는것이 음악이면 지금이라도 자퇴하고 취미로 즐기라고 하셨는데 그 말을 들을 걸 그랬습니다 ㅋㅋ
이미 대학도 안나온 27살이라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학창시절 나름 잘 했던 공부를 다시 해보렵니다!
승제쌤 인스타\r
▣ https://www.instagram.com/seungje.chung\r
승제카페\r
▣https://cafe.naver.com/mathkiller
@user-rz4et5xm5w : ㄱㅈ
@user-np8es3bd4d : 저는 인생이 적성에 안 맞는거 같아요
@user-tr4rt1uq8b : 본인의 가치를 정확히 이해하시고 개그맨을 선택하신 정승제님 리스펙합니다.
@97exitmusic : 여기 혹시 학생들 있으면 꼭봐요. 꽤 오랜시간 전문직이지만 안맞는거 하면서 버텨오면서 페이는 괜찮았지만 번아웃증세오면서 힘든 날을 겪었는데 이쌤 말대로 우연히 내 적성을 찾고 진짜 왜 다른 사람들은 저러고 있을까 하는때가 오더군요. 그냥 나는 당연한데 남들은 힘들어 하는거 그게 적성에 가깝다고 볼 수 있는거.. 그걸 찾는게 인생같아요. 돈은 따라오는거라는거 항상 명심하세요. 자기 자신을 탐구하고 자기가 뭘 좋아하고 잘할 수있는지 그걸 찾으세요. 그리고 그거는 한편으로 남들도 행복하게 해줄수 있는 길입니다.
@june__ee : 내가 수능 보고 10년이 지나서도 몇몇 인강선생님들의 유튜브를 보는이유
어릴때는 정말 몰랐는데 점점 진리를 말씀하신다는게 느껴짐.. 공부해서 성적을 올리는게 핵심이 아니라 삶의 본질을 알려주는 참선생..
직업선택, 내가 잘하고 즐거워하는 건 뭐지? - 직업적성, 능력의 종류, 관계 방식, 행동특성으로 알아보기, 직업종류 고르는 방법
아이캔유튜브대학 https://www.ican.co.kr/
입학하기 https://www.ican.co.kr/crm/25/%EC%9E%85%ED%95%99%ED%95%98%EA%B8%B0
http://cafe.naver.com/culturepossible
http://www.instagram.com/possibilities_book/
내게 맞는 직업이 뭐지?
생각은 하지만 이거 찾기 위해서 시간 투자하나요?
적성검사는 하지만 그냥 해보고 치우는 경우가 많잖아요.
저는 적성검사 결과도 적극적으로 참고하시고요,
또 책도 보시고, 한국 고용직업분류표도 유심히 보시고 하기를 권합니다.
이거 시간 투자해서 해보실 가치 충분히 있습니다.
근데 이런 직업명들을 보면서 꼭 검증을 해보셔야 해요.
이게 내게 맞나?
이거 하면서 살면 내가 행복할까?
이걸 검증하는 방법을 이 영상에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능력의 종류, 관계의 방식, 행동의 특성
이 세 가지를 체크하시면서 직업 선택을 해보시기를 권합니다.
그리고 그 직업을 갖기 위해 차근차근 준비해 가셔야 하는 거지요.
우리 사회에는 그냥 우연히 직업을 갖게 되는 분들이 많아요.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그렇게 하므로 삶이 힘든 경우가 너무 많아요.
이 영상 참고하셔서 내게 맞는 직업 미리 미래 찾아두시기 바랍니다.
직업 선택을 위한 시간 투자가 우리의 행복에 많은 영향을 미치니까요.
#직업 #진로 #적성검사
블로그: https://blog.naver.com/kgbloge
@Dani_hp : 저는 32살인데 아직도 진로에 고민합니다... 사회생활한지 8년정도 됐고 회사도 잘 다니고 있는데 요즘 평생직장,평생직업이 없잖아요 4차산업이 시작됨으로 내가 앞으로 뭘 해먹고 살 수 있을까 고민이 많은데 영상을 보니 좀 더 고민이 되고 더 많은 직업을 알아보고 싶네요
@user-lf5xg2fs9v : 교수님 계정에 있는 모든 영상들이 유익하고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대학생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실용적으로 쓸 수 있는것들이 많아서 더더 좋은것 같아요. 앞으로 좋은 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GS-om6yv : 저는 새내기 대학생입니다~ 누구도 알려주지 않는 이야기 하지만 정말 중요한 이야기를 알려주시는 교수님의 유익하고 좋은영상 보는게 제 요즘 하나의 행복입니다!!~보고서 작성법부터 책요약법 까지 많은 영상을 보면서 진짜 도움 많이 얻었고 과제도 더 수월하게 하고 있어요~요즘 친구들한테도 이 채널 완전 추천 많이하고 있어요~!!오늘영상도 요즘 진로 포트폴리오 같은거 써야되서 막막했는데 교수님이 하나의 해답을 주신가같아요~정말 감사합니다 학생들에게 본보기가 되는 좋은 어른이신거 같아요~앞으로 유익하고 좋은 영상들 많이 업로드 해주세요~ 그리고 저도 교수라는 직업을 희망하고 있는데..<교수라는 직업의 장단점, 이런 사람이 교수가 되면 좋다, 교수되는법>이나 <인생에서 해보면 좋을만한것, 좋은 배우자 찾는법, 영어실력향상법, 교수님의 패션스타일,인생 책이나 노래 추천>같은 주제로 영상을 찍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mai_2017 : 교수님! 요즘에 교수님 영상을 보며 정말 많은 도움을 얻고 있어요ㅜㅜ
대학생이 되었지만 진정한 대학생이 되어가는 것도, 사회에 나가는 것들도
참 어렵고 힘들고 막막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제가 얻고 싶은 답을 교수님 채널에서 찾아가는 기분이 들어요 :)
세상에서 요구하는 획일적인 선택들이 너무 싫어서
저만의 선택을 할 수 있기를 바랐었는데,
이기기 위해 스스로 힘을 내는 것이 벅차던 순간에,
교수님께서 제 생각에 힘을 불어 넣어주시는 것 같아 참 많은 위로가 되었네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
학생들에게 든든한 정신적 지조가 되어주세요!ㅎㅎ
@songjihae : 20대 중반 대학생입니다 ㅠㅠ 아직도 제 진로에 대한 고민도 많고 불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는데, 이렇게 영상으로 누구에게 듣지 못했던 대학생에게 알맞는 지혜들을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교수님..:-)!!
진로 고민에 대한 가장 실질적인 조언! 내 적성에 꼭 맞는 전공/직업 찾는 방법 [타인의 심리 읽어드립니다 EP.15] | 김경일 교수
출연 :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교수
공부해서 대학 가고, 힘들게 취업까지 했지만..
지금 하고 있는 전공과 업무가 적성에 맞지 않는 것 같다고요?
확신이 없는 당신을 위해, 실질적이고도 따뜻한 조언을 드립니다!
현대인의 스트레스 원인 1위, 인간관계!
타인으로부터 나를 지키기 위한 친절한 심리 대백과
사피엔스 오리지널 〈타인의 심리 읽어드립니다〉 EP.15
0:00 오프닝
1:00 열다섯 번째 타인, 일이 맞지 않아 고민인 당신을 위해!
2:45 적합 이론가 vs 개발 이론가, 당신의 열정 유형은?
6:43 김경일 교수님의 경험으로 보는 '적성' 찾기!
8:36 나에게 딱 맞는 일을 분명하게 알 수 있는 방법
12:26 오늘도 적성을 찾고 있는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사피엔스 #타인의심리읽어드립니다 #김경일교수
@sapiens_studio : 365일 무기력하고 피곤해보이는 직장 동료, 대체 왜 그러는 걸까요?!
@user-oc7eq2kn9d : 누가 어떻게 하라고 갈피라도 잡아줬으면....
@K1mmary : 몇개월 안다닌 직장에서 권고사직 당하고 이제 또 다른 취업자리를 알아보고 있는 상태에서 이 강의를 보았는데, 너무 좋은 강의라 무료로 들어도 될지 모르겠네요 ㅎㅎ 댓글 다신분들 말씀도 다 너무 따뜻하시고 인류애 느끼고 갑니다..♡ 우리 다같이 이 사회에서 살아남아요!!!!
@hyewonchang8084 : <요약>
1.나는 일을 할때 어떻게 열정을 찾을 수 있나
보통 사람은 두 유형이 있다.
(1)개발이론가(Develop Theorist)
:일단 어떤일이든 시작하면서 열정,몰입이 슬슬 나오는 경우
-일단 부딪히면서 배우면서 노하우 쌓아가며 열정생김
-좋고 싫고가 적합이론가보다 덜 뚜렷함
-잘하고 못하고 또한 적합이론가보다 덜 뚜렷함
-일이 안맞을 때 직업이 아닌 직무를 변경해야 함
-현실에서 이 유형이 다수
(2)적합이론가(Fit Theorist)
:본인과 딱 들어맞는일을 찾아야만 열정을 찾을 수 잇음
-자주 직업 바꿀 수 있는 환경이 최적
-이 유형은 반드시 적성을 찾아야만 열정이 생김
-좋고 싫고가 매우 뚜렷함
-잘하고 못하고 또한 매우 뚜렷함
-일이 안맞을 때 직무가 아닌 직업을 변경해야함
-현실에서 이 유형은 소수 (ADHD 중 이 유형이 많음)
-> 난 소수에 해당 할 뿐 아주 딱 맞는 일에서 분명히 열정을 찾을 수 있으니 용기내서 계속 내게 맞는일을 도전하며 찾아가기!
결론: 두 유형을 장기적으로 추적해보니 비슷했다. 누가 맞고 틀리고는 없다는 결과 발견
2.좋아하는것을 직업으로 하는 것에 대해
(1)일단 좋아하는 것이란?
오랜 시간을 투자해서 하는 것,결과가 좋던 나쁘던 시간가는줄 모르고 하는것
(2)직업으로 선택할 때는
-그냥 좋아하는 대상으로 직업을 가지면 안됌
: 좋아하는 정도의 구분이 없이 다 그냥 좋다면 취미로 해야함
-까탈스럽게 좋아하는 일을 해야 성공,행복확률이 높아짐
:좋고 싫은게 분명해야함
ex.백종원이 똑같아 보이는 두 칼국수를 먹고 하나는 맛있어하고 하나는 별로라고 평가하는것같은
(3)반면 너무 싫은데 또 막상 잘하는 일인 경우?
: 잘해서 결과가 달콤하고 좋으면 계속 꾸준히 하게 되는 것은 있으니 나쁘지만은 않음
(즉 작은 행복이 높은 빈도로 발생하면 존버가 가능)
(4)그러나 너무 싫고, 일하는 과정도 힘들지만 결과는 좋음 하지만 기쁘고 보람되지 않음
: 이런 경우는 다른직업을 알아보는게,,
결론: 행복은 목표가 아니라 도구, 행복은 크기가 아니라 빈도이다
@user-vc4gc7he3e : 격하게 공감이 되네요. 10년 음악하고 결국 놓았는데 딱 들어맞습니다.
저는 모든장르 구별 없이 다 좋아하고 다 듣는데 열심히 해도 실력이 들인 시간만큼은 안늘더군요.
반면에 실력이 쭉쭉 늘어나서 돈도 잘 버는 친구들 보면 분명 한 두가지 장르에 미쳐있고 다른건 그냥 듣는다 정도구.. 그러다보니 기본적인 실력이 올라 다른것도 할 수 있다 정도더군요.
음악학교에서 교수님이 정말 좋아하는것이 음악이면 지금이라도 자퇴하고 취미로 즐기라고 하셨는데 그 말을 들을 걸 그랬습니다 ㅋㅋ
이미 대학도 안나온 27살이라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학창시절 나름 잘 했던 공부를 다시 해보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